$\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나무버섯속 버섯의 분류와 산림생태학적 및 병리학적 중요성
Significance of Armillaria Species in Taxonomy, Forest Ecology and Plant Pathology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5 no.1, 2017년, pp.1 - 13  

구창덕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김진건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이화용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박용우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이희수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림에서 나는 뽕나무버섯속(Armillaria)은 봄부터 가을에 걸쳐 나는 식용버섯으로 유기물을 분해하는 백색부후 부생균(saprophyte)이면서 동시에 나무를 죽이는 뿌리기생 병원균으로 비절대기생체(nonobligate parasite) 또는 임의기생체 (facultative parasite)이다. 이들은 산림생태계에서 자연간벌과 천이에 큰 기여를 한다. 이 속에는 전세계 40여 종이 알려져 있고 기주식물로는 침엽수, 활엽수, 목본덩굴식물과 초본식물도 포함한다. 이 버섯의 유전적 개체(genet)는 산림에서 수명이 길어서, 약 2,000여년을 살면서 약 960 ha의 면적까지도 퍼져 나가기도 한다. 간벌 등 숲가꾸기로 그루터기가 많이 생기는 요즘 산림에서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산촌에서 중요한 소득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뽕나무버섯에 대하여 정확한 동정이 필요하다. 이 총설에서는 뽕나무버섯속의 분류학적 문제와 국내 7개 분포 종의 형태에 의한 분류검색표, 산림생태학적 및 산림병리학적 의미를 토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millaria species are non-obligate root pathogens, as well as facultative parasites. The genus consists of about 40 species with worldwide distribution that are difficult to identify morphologically. Their hosts include conifers, hardwoods, vines, and even herbs. These fungi contribute to natural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뽕나무버섯의 주름살은 무슨색인가? 뽕나무버섯의 형태는 종에 따라 변이가 크지만 일반적으로, 갓은 꿀 같은 갈색이고 표면에 짙은 갈색 털이 있다. 주름살은 흰색이며, 줄기와는 만곡상으로 붙어있다. 포자문은 흰색, 줄기는 흰색에서 갈색이며, 표면에는 불규칙한 점무늬가 있다.
뽕나무버섯속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산림에 나는 뽕나무버섯속(Armillaria)은 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나 침엽수의 생물이나 사물에 군생하며 전 세계에 분포한다. 이 버섯들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백색부후균으로 부생균(saprophyte)이면서 나무를 죽게도 하는 뿌리기생 병원균으로 비절대기생체(nonobligate parasite) 또는 임의기생체(facultative parasite)이다[1].
뽕나무버섯이 가진 3가지 특성은 무엇인가? 뽕나무버섯은 균사체, 근상균사속, 다발발생의 3가지 특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는 부채형 균사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Garbelotto M. Root and butt rot diseases. In: Burley J, Youngguist J, Evans J, editors. Encyclopedia of forest sciences. Oxford: Elsevier; 2004. p.750-8. 

  2. Volk TJ, Burdsall HH Jr. A nomenclatural study of Armillaria and Armillariella species (Basidiomycotina, Tricholomataceae). Oslo: Fungiflora; 1995. 

  3. Stamets P. Mycelium running: how mushrooms can help save the world. Berkeley: Ten Speed Press; 2005. 

  4. Yoo YB. Mushroom science. Seoul: Kyohaksa; 2015. 

  5. Strapac I, Baranova M, Smrcova M, Bedlovicova Z. Antioxidant activity of honey mushrooms (Armillaria mellea). Folia Vet 2016;60:37-41. 

  6.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List of mushrooms in Korea. Seoul: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2013. 

  7. Choi HP. The great illustrated mushroom. Seoul: Academy Book; 2015. 

  8. Lee JS, Choi SY, Kim C, Lee HB. Twelve undescribed species of macrofungi from Korea. Kor J Mycol 2016;44:233-9. 

  9. Burdsall HH Jr, Volk TJ. Armillaria solidipes, an older name for the fungus called Armillaria ostoyae. North Am Fungi 2008;3:261-7. 

  10. Ota Y, Kim MS, Neda H, Klopfenstein NB, Hasegawa E.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an Armillaria species from Amani-Oshima, a subtropical island of Japan, based on elongation factor and ITS sequences. Mycoscience 2011;52:53-8. 

  11. Kikuchi G, Yamaji H. Identification of Armillaria species associated with Polyporus umbellatus using ITS sequences of nuclear rebosomal DNA. Mycoscience 2010;51: 366-72. 

  12. Burdsall HH Jr, Volk TJ. The state of taxonomy of the genus Armillaria. McIlvainea 1993;11:4-11. 

  13. Watling R, Kile GA, Burdsall HH Jr. Nomenclature, taxonomy and identification. 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e handbook. Washington, D.C.: U.S. GPO; 1996. p. 1-9. 

  14. Hintikka V. A note on the polarity of Armillariella mellea. Karstenia 1973;13:32-9. 

  15. Korhonen K. Interfertility and clonal size the in Armillaria mellea complex. Karstenia 1978;18:31-42. 

  16. Anderson JB, Ullrich RC. Biological species of Armillaria mellea in North America. Mycologia 1979;71:402-14. 

  17. Anderson JB, Korhonen K, Ullrich RC. Relationships between European and North American biological species of Armillaria mellea. Exp Mycol 1980;4:78-86. 

  18. Anderson JB. Biological species of Armillaria in North America: redesignation of groups IV and VIII and enumeration of voucher strains for other groups. Mycologia 1986;78:837-9. 

  19. Marxmuller H. Some notes on the taxonomy and nomenclature of five European Armillaria species. Mycotaxon 1992;44:267-74. 

  20. Bendel M, Kienast F, Rigling D.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of three Armillaria species at the landscape scale: a case study from Swiss Pinus mugo forests. Mycol Res 2006;110:705-12. 

  21. Ferguson BA, Dreisbach TA, Parks CG, Filip GM, Schmitt CL. Coarse-scale population structure of pathogenic Armillaria species in a mixed-conifer forest in the Blue Mountains of northeast Oregon. Can J For Res 2003;33:612-23. 

  22. Worrall JJ. Population structure of Armillaria species in several forest types. Mycologia 1994;86:401-7. 

  23. Peet FG, Morrison DJ, Pellow KW. Rate of spread of Armillaria ostoyae in two Douglas-fir plantations in the southern interior of British Columbia. Can J For Res 1996;26:148-51. 

  24. Chapman B, Xiao G. Inoculation of stumps with Hypholoma fasciculare as a possible means to control Armillaria root disease. Can J Bot 2000;78:129-34. 

  25. Lodge DJ, Ammirati JF, O'Dell TE, Mueller GM. Collecting and describing macrofungi. In: Mueller GM, Bills GF, Foster MS, editors. Biodiversity of fungi: inventory and monitoring methods. Amsterdam: Elsevier Academic Press; 2004. p. 128-58. 

  26. Cha JY, Igarashi T. A note on Armillaria mellea subsp. nipponica subsp. nov. in Japan. Mycoscience 1995;36:143-6. 

  27. Cha JY, Sung JM, Igarashi T. Biological speci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millaria mellea complex in Hokkaido: A. sinapina and two new species, A. jezoensis and A. singula. Mycoscience 1994;35:39-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