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콘텐츠 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Barrier on Occupational Engagement of College Student Majoring in Multimedia Content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20 no.3, 2017년, pp.543 - 550  

이정희 (Dept. of Lifelong Education & Adolescent counseling, Dong-Eui University) ,  김치용 (Major of Visual Game Engineering, Dong-Eui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ultimedia content on occupational engagement.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rom 446 students majoring in Multimedia content at D University in Pusan. The data were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새로운 산업분야로 각광받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로 취업을 모색하고 있는 멀티미디어콘텐츠 관련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콘텐츠 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무엇이며 진로장벽이 진로적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이들의 진로교육 및 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콘텐츠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장벽이 진로 관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새로운 산업분야로 각광받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로 취업을 모색하고 있는 멀티미디어콘텐츠 관련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콘텐츠 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무엇이며 진로장벽이 진로적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이들의 진로교육 및 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동아리활동 유무, 전공만족에 따라 진로장벽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성별, 동아리활동 유무, 전공만족에 따라 진로관여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진로장벽은 진로관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 본 논문의 기초적 이론이 되는 진로장벽과 진로관여행동에 대해 검토한 다음, 3장에서 연구방법을 설명한다.
  •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동아리활동 유무, 전공만족에 따라 진로장벽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성별, 동아리활동 유무, 전공만족에 따라 진로관여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진로장벽은 진로관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 본 논문의 기초적 이론이 되는 진로장벽과 진로관여행동에 대해 검토한 다음, 3장에서 연구방법을 설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관여행동 중 탐색이 의미하는 것은? 이들은 진로관여행동을 크게 탐색(exploration)과 강화(enrichment)로 구분하였다. 탐색은 적응적 진로결정 과정과 관련이 된다고 여겨지는 것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적 활동을 의미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진로탐색 행동에 해당된다. 반면 강화는 진로와 직접적인 관련이 되지 않더라도 자신이 살고 있는 세상과 자신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지향하는 행동을 포괄하는 보다 광범위한 개념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오늘날의 직업세계에 있어서 더욱 필요로 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진로 관여행동은 무엇인가? 이들은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어떤 일을 하며 살 것인지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준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진로 준비행동과 관련된 최신 개념으로 진로 관여행동이 있는데, 진로 관여행동(Occupational Engagement)은 직업과 관련된 선택사항을 넓히고 일의 세계와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행동을 의미한다[1]. 진로준비행동, 진로탐색행동, 취업준비행동과 같은 기존의 진로행동변인이 어느 정도 진로의 방향성이 정해진 이후에만 이루어질 수 있는 행동인 반면, 진로관여행동은 보다 확장되고 유연성을 갖춘 개념으로 자신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지속적으로 축적하며 적응적 진로결정을 지향하는 행동이다[2].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진로장벽의 지각은 취업에 대한 불안에 가장 근접해서 발생하는 인지적 개념으로서 취업 등의 진로 달을 방해하는 내적·외적 조건, 사건들을 지각하는 정도를 의미한다[3]. 진로장벽은 크게 내적요인, 외적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9], 이후 연구들은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을 자기명확성 부족, 대인관계의 어려움, 재정적인 어려움, 흥미부족, 직업정보 부족, 신체적 열등감, 경제적 어려움, 나이, 사회적 영향,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성차별, 자신감 부족 등 다양한 요인으로 분류하고 있다[10][11]. 이처럼 진로장벽은 진로와 관련된 모든 발달단계에서 진로 탐색 및 수행과정을 방해하는 내·외적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D.W. Cox, The Operationalization of Occupational Engagement and Validation of the Occupational Engagement Scale for Students, Doctor's Thesis of University Kansas, 2008. 

  2. M.N. Jung,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Making Styl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Master's Thesis of Korea University, 2011. 

  3. J.L. Swanson and M.B. Woitke,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 5, No. 4, pp. 443-462, 1997. 

  4. M.J. You, Impact of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Focused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Master's Thesis of Ewha Womans University, 2008. 

  5. A. Hirschi, B. Lee, E.J Porfeli, and F.W. Vondracek, "Proactive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Career Behaviors: Investigating Direct, Mediated, and Moderated Effec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83, No. 1, pp. 31-40, 2013. 

  6. H.R. Lee, S.M. Kim, M.S. Cheun, and S.K. Choi, "A Structural Analysis of Career Stress, Career Barriers,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1, No. 4, pp. 59-80, 2008. 

  7. R.W. Lent, S.D. Brown, and G. Hackett,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45, No. 1, pp. 79-12, 1994. 

  8. M. London, "Overcoming Career Barriers: A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for Realistic Appraisal and Constructive Cop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 24, No. 1, pp. 25-38, 1997. 

  9. J.O. Crites, Vocational Psychology, McGraw-Hill, New York, 1969. 

  10. E.Y. Son,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Doctor's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1. 

  11. E.Y. Kim, "A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 Korean J 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4, No. 1, pp. 219-240, 2002. 

  12. J.Y. Lee, The Influence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on Occupational Engagement : Testing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Career Control and Meaning-Making, Master's Thesis of Yonsei University, 2015. 

  13. T.S. Krieshok, M.D. Black, and R.A. Mckay, "Career Decision Making: The Limits of Rationality and the Abundance of Non- Conscious Process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75, pp. 275-290, 2009. 

  14. N.R. Kim,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on the Relation Between in Ternal Locus of Control and Career Adaptability in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of Yonsei University, 2013. 

  15. B.H. Kim,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Doctor's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7. 

  16. J.K. Tak, K.H Lee, "The Development of Career Decision Scale: An Exploratory Study," Digital Business Studies, Vol. 1, No. 1, pp. 167-180.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