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포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및 우드펠렛 혼소에 관한 연소 특성 분석 및 비교
Experimental Study of Co-firing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Fueled by Sewage Sludge and Wood Pellet in Bubbling Fluidized Bed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23 no.1, 2017년, pp.80 - 89  

이영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김종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김동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이용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및 우드펠렛의 전소 및 혼소 실험을 위해 내경 0.1 m, 높이가 1.2 m인 기포 유동층 반응기를 적용하였으며, 장치는 유동층 반응기, 연료 공급장치, 사이클론, 냉각기, 그리고 가스분석기로 구성되었다. 층 물질의 평균입자크기는 $460{\mu}m$이며, 최소 유동화 속도$0.21ms^{-1}$이다. 실험에 사용된 연료는 국내산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및 캐나다산 우드펠렛을 적용하였으며, 우드펠렛 기준 혼합율 20, 50, 80%로 고위발열량을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실험 고정변수는 당량비 1.65, 산화제 $100Lmin^{-1}$, 반응기 온도 $800^{\circ}C$, 유동화수 4로 설정하였다. TGA 분석 결과, 하수슬러지의 고형 연료의 연소성이 우드펠렛이 비해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다. 연소시 반응기 온도는 $800{\sim}900^{\circ}C$ 사이로 유지되었으며, 유동층 반응기에서 하수 슬러지 고형연료의 낮은 연소성으로 인해 CO가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NO_X$$SO_X$는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내의 질소함량으로 인해 우드펠렛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으며, 혼소율이 증가될수록 CO, $NO_X$, 그리고 $SO_X$의 배출이 감소하였다. 혼소에 따른 회분의 거동 및 퇴적 경향에서 모든 조건에 대해 슬래깅/파일링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ubbling fluidized bed (BFB) reactor with a diameter of 0.1 m and a height of 1.2 m was used for experimental study of co-firing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fueled by sewage sludge (SS) and wood pellet (WP). The facility consists of a fluidized bed reactor, feeding system, cyclone, condenser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료의 성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두 연료의 전소 및 혼소에 대한 연소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온도와 압력, 그리고 O2, CO2, CO, NOX, SOX의 배가스 측정 결과를 통해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소 과정에서 발생한 회분의 포집 및XRF 분석을 통해서 두 연료의 전소 및 혼소에 대한 회분의 거동 및 퇴적에 대한 연구를 함께 수행하였다. TGA 분석에서 연소 영역은 주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SS는 두 단계 걸쳐서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 본 실험에서 압력은 연소실 내의 압력과 cyclone의 압력 차이를 유지시켜 연소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Table 6과 같이 연소실 내의 압력(P0)과 cyclone에서의 압력(P1)의 차압은 약 15 mmH2O를 유지하기 위해서 ID-Fan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였다.
  •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 고형연료(SS)와 우드펠렛(WP)과의 전소 및 혼소를 통한 연소 특성 분석 및 회분의 거동 및 퇴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료의 성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두 연료의 전소 및 혼소에 대한 연소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온도와 압력, 그리고 O2, CO2, CO, NOX, SOX의 배가스 측정 결과를 통해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를 건조, 고형연료화한 후 발전 에너지원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실험실 규모 기포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하수슬러지 고형연료와 대표적인 바이오매스인 우드펠렛의 전소 및 혼소 실험을 통해서 각 연료에 대한 연소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회분 포집 및 분석을 통해서 슬래깅/파울링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 규모 기포 유동층 반응기를 통해 SS와 WP의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종합적으로 SS을 전소하는 것에 비해 WP와의 혼소를 통해 배가스 내의 CO, NOX, 그리고 SOX의 생성을 저감할 수 있으며, 더불어 연소효율을 소폭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핵심은 하수슬러지 고형연료와 우드펠렛과의 혼소시 연소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료인 SS와 WP에 대해 발열량 기준으로 WP 기준 혼합율 20, 50, 80%의 혼소 실험과 SS와 WP 각 연료에 대한 전소 실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 [5]은 다양한 종류의 펠릿화된 바이오매스와 무독성 폐기물을 이용하여 유동층 연소와 관련된 연료 특성 인자를 도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연료 전환율과 촤연소에 대해 규명하고, 층 물질의 응집 현상에 대해 조명하기 위해 회분 입자의 크기 및 거동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Khan [6]은 기포 유동층 보일러에서 하수슬러지를 포함한 다양한 바이오매스를 적용하여, 유동층 보일러에서의 운전인자의 영향력 분석, 혼소에 따른 연소성 분석, 그리고 회분의 거동 및 층 물질의 응집에 관한 연구를 실험적, 수치적으로 접근하였다.

가설 설정

  • 측정된 particle density는 2,800 kg m-3이며, bulk density는 1,400kg m-3이다. 본 연구에 적용된 층 물질의 구형도는 층 물질의 particle density와 평균 입도를 기반으로 0.62인 land sand를가정하였다. 또한 층 물질의 범위는 Geldart B [8]에 해당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동층 연소의 특징은? 유동층 연소로는 연소기의 특성상 미분탄 연소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료의 크기나 구성 성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바이오매스, 폐자원 그리고 하수슬러지와 같은 에너지원을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연료를 직접 보일러 내에서 직접 연소하여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1-3]. 특히 하수슬러지 에너지화 연구와 관련하여 Amand and Leckner [4]는 하수슬러지와 석탄 및 목질계 바이오매스와의 혼소를 통해 NO와 N2O의 저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수슬러지의 에너지화 기술에서 해결해야 할 부분은? 하지만 기존의 미분탄 화력발전소에서의 바이오매스, 반탄화 연료, 그리고 기타 폐자원을 이용한 발전은 그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기술 개발을 통해서 에너지 안보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하수슬러지의 에너지화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으나, 하수슬러지 내에 함유된 이물질로 인한 발전 설비의 악영향 및 배출 가스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하수슬러지의 에너지화 기술이 주목받게된 배경은? 화력 발전 시장에서 고품위탄 사용 증가 및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환경 문제로 인해 저품위탄 사용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바이오매스 및 폐자원의 에너지화 기술 역시 함께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미분탄 화력발전소에서의 바이오매스, 반탄화 연료, 그리고 기타 폐자원을 이용한 발전은 그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기술 개발을 통해서 에너지 안보 문제를 해결할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하수슬러지의 에너지화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으나, 하수슬러지 내에 함유된 이물질로 인한 발전 설비의 악영향 및 배출 가스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La Nauze, R. D., "A Review of the Fluidized Bed Combustion of Biomass," J. Inst. Energy, 60, 66-76 (1987). 

  2. Saxena, S. C. and Jotshi, C. K., "Fluidized-Bed Incineration of Waste Materials," Prog. Energy, Combust. Sci., 20, 281-324 (1994). 

  3. Anthony, E. J., "Fluidized Bed Combustion of Alternative Solid Fuels: Status, Successes and Problem of the Technology," Prog. Energy. Combust. Sci., 21, 239-268 (1995). 

  4. Amand, L. E., and Leckner, B., "Co-Combustion of Sewage Sludge with Wood/Coal in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A Study of Gaseous Emissions,"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Sweden (2001). 

  5. Salatino, P., "Fluidized Bed Combustion of Pelletized Biomass and Waste-Derived Fuels," Combustion and Flame, 155, 21-36 (2008). 

  6. Khan, A. A., "Combustion and Co-Combustion of Biomass in a Bubbling Fluidized Bed Boiler," Ph.D. Dissertation, Technical University Delft, Netherland (2007). 

  7. Liang, W., Terese, L., and Ehsan, H., "Effect of Sewage Sludge Addition on Potassium Release and Ash Transformation during Wheat Straw Combustion," Chem. Eng. Trans., 2283-9216 (2014). 

  8. Geldart, D., "Types of Gas Fluidization," Powder Technol., 7, 285-292 (1973). 

  9. Wen, C. Y., and Yu, Y. H., "Mechanics of Fluidization," Chem. Eng. Prog. Symposium Series, 62, 100-111 (1966). 

  10. Grace, J. R., "Fluidized-Bed Hydrodynamics," In Handbook of Multiphase System, Ed. Hetsroni, G. Hemisphere, Washington, 8, 5-64 (1982). 

  11. http://www.testo.co.kr/productdetailpage/0632+3510 (accessed Jul. 2016). 

  12. Vamvuka, D., Zografos, D., and Alevizos, G., "Control Methods for Mitigating Biomass Ash-Related Problems in Fluidized Beds," Bioresour. Technol., 99, 3534-3544 (2008). 

  13. Vamvuka, D., et al., "Ash Effects during Combustion of Lignite/Biomass Blends in Fludized Bed," Renewable Energy, 34, 2662-267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