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이 아동·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rain Education Based on Career Camp Program for Child ·adolescent's Career Matur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3, 2017년, pp.215 - 222  

신재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학과) ,  김혜선 ((주)비알뇌교육 연구실) ,  김진아 ((주)비알뇌교육 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두뇌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 및 청소년의 흥미 및 적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물론, 진로성숙도를 함양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생 59명, 중학생 76명 등 135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4일부터 5일까지 1박 2일 동안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은 단순한 진로 탐색 및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이 아니라, 진로성숙도와 같이 직업의식을 함양하기 때문에, 아동 및 청소년의 건전한 직업관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통해서 아동 및 청소년 자신의 흥미 및 적성에 적합한 맞춤형 진로를 탐색하는 것은 물론, 진로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학교급별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진로성숙도 외에 다양한 진로 관련 변인들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계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rains and to identify the students' aptitude and interes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program for recognizing students' desired future careers. A total of 135 students (59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76 middle school adolescent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의 진로 탐색 및 체험을 위한 진로캠프 프로그램은 아동 및 청소년의 직업 흥미 및 적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직업성숙도와 같은 직업관을 제대로 정립하지 못하고 진로 체험 위주의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두뇌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 및 청소년의 흥미 및 적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물론, 진로성숙도를 함양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아동 및 청소년이 올바른 직업관을 가지고 자신의 적성 및 흥미에 적합한 진로를 결정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의 진로 탐색 및 체험을 위한 진로캠프 프로그램은 아동 및 청소년의 직업 흥미 및 적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직업성숙도와 같은 직업관을 제대로 정립하지 못하고 진로 체험 위주의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두뇌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 및 청소년의 흥미 및 적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물론, 진로성숙도를 함양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아동 및 청소년이 올바른 직업관을 가지고 자신의 적성 및 흥미에 적합한 진로를 결정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청소년이 가장 많이 고민하고 있는 항목은 공부 35.33%, 다음으로 자신의 미래 직업 25.6%로서 두 번째로 고민인 이유가 무엇인가? 6%로서 두 번째로 고민하고 있다. 공부와 직업에 대한 고민은 우리나라 대부분의 아동 및 청소년들이 대학 입시 위주의 수업으로 인해 자신의 적성이나 특기를 발견할 기회를 갖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1]. 이로 인해 많은 공부 시간을 투입하는데 비해서, 효과성은 매우 낮은 고비용 저효율의 공부를 하고 있다[1].
‘자유학기제’ 정책은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가? 교육부는 아동 및 청소년의 미래 직업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성격, 흥미, 적성, 가치관을 이해하고 향후 사회 및 직업생활에 필요한 진로탐색, 진로체험을 통해 직업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자유학기제’ 정책을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도입하였다. ‘자유학기제’ 정책은 청소년의 꿈과 끼를 찾아 줄 뿐만 아니라, 교실 수업을 변화시켜 행복한 공교육을 만들어 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4].
우리나라 아동 및 청소년이 확실한 진로계획을 가지게 된다면 어떤 이점이 있는가? 이로 인해 많은 공부 시간을 투입하는데 비해서, 효과성은 매우 낮은 고비용 저효율의 공부를 하고 있다[1]. 우리나라 아동 및 청소년이 확실한 진로계획을 갖게 된다면 자신이 왜 공부해야 하는지 알게 되고 학업에 대한 목적도 분명해 질 수 있다[2, 3]. 교육부는 아동 및 청소년의 미래 직업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성격, 흥미, 적성, 가치관을 이해하고 향후 사회 및 직업생활에 필요한 진로탐색, 진로체험을 통해 직업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자유학기제’ 정책을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를 대상으로 도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S. Kim,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Free Learning Semes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15. 

  2. G. M. Moon, "It should be free to think of the children", Good Teacher, 152, pp. 50-55, 2013. 

  3. S. A. Lim, "Effects of the aptitude for choosing a career choice, the career support from parents, the will to overcome career barriers on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cademic future youth, vol. 9, no. 4, pp. 221-238, 2012. 

  4. H. N. Park, "The free-semester system has been applied well in school", Happy education, 392, pp. 22-31, 2015. 

  5. S. D, Choi, "Action plan of free-semester system",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13. 

  6. E. J. Kim, "Career Education of home economics class and application plan of free-semester system. Korean Home Econocims education", Summer scholarship contest 2013, pp. 67-90, 2013. 

  7. S. J. Lee, "Management and Improvement plans of MiddleSchool Free-Semester Program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2015. 

  8. Ministry of Education, "2009 revised curriculum - Curriculum outline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ol.-", Ministry of Education, 2009. 

  9. Jong-Un Kim, Tae-Gon Le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10, pp. 339-349, 2014. 

  10.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career education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Ministry of Education, 2012. 

  11. B. H. JUNG, "The Effects of Coaching Program Focused on Vision Establishment o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After-School-Academy Children", Unpublished Doctor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012. 

  12. D. E. Super, "Dimensions and measurements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vol. 57, no. 3, pp.pp. 151-163, 1955. 

  13. J. O. Crites, "A model for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8, no. 3, pp. 255-259, 1961. DOI: https://doi.org/10.1037/h0048519 

  14. J. H. Shin, "Brain based self directed learning", education Science Publisher, 2016. 

  15. J. J. Jeong, "Principles and Practice of Brain-Based Learning", hakjisa Publisher, 2015. 

  16. M. H. Kim, Seung-Ho Moon. "A Brain-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Its Implic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 22, no. 4, pp. 135-164, 2004. 

  17. H. S. Shin. "Promotion of humanitarian development by physical and mind training : Focusing on Korean Sundo Culture.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Fall scholarship contest presentation source book, pp. 107-125, 2006. 

  18. S. H. Lee, "The Principles of Brain Education", Chungnam,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2006. 

  19. J. H. Shin. "An Exploration for the Direction of Humanistic Education Based on Brain Education Through the Brain Scientific Considerations",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25, no. 2, pp. pp. 365-381, 2016. 

  20. J. O. Crites, "Problems in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 pp. pp. 21-35, 1974. DOI: https://doi.org/10.1016/0001-8791(74)90088-8 

  21. K.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Yonsei University, Unpublished Doctor's thesis, 1997. 

  22. J. H. Kim,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ystem,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Unpublished Doctor's thesis, 2006. 

  23. E. Lim, G. A. Jung, G. A. Sang, "A Technical Report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01. 

  24. H. G. Kim.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Awareness Maturity and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016. 

  25. M. Csikszentmihalyi, "Finding FLOW" (translated by Hui-Jae, Lee). Finding Flow. Seoul: HaeNaem Publisher. (Original Edition 1998), 1999. 

  26. G. I. Jang, "The Effects of Carr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n Rur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ju University, Jeonju, 2004. 

  27. Y, H. Son, "The Analysis of Executive Function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Unpublisher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