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반도 수재해 관측을 위한 수자원 위성의 적용성
Applicability of Water Resource Specialized Satellites for Observing Disasters o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0 no.1, 2017년, pp.85 - 97  

김동영 (K-water융합연구원) ,  백승협 (K-water융합연구원) ,  박광하 (K-water융합연구원) ,  황의호 (K-water융합연구원) ,  채효석 (K-water융합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등으로 태풍, 지진해일, 폭염 및 폭설 등과 같은 수재해의 피해가 대규모로 확대되었다. 특히 태풍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1960년대 이후 경제개발 및 도시화로 인한 인구과밀지역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차바를 비롯하여 태풍 루사('02), 태풍 매미('03) 및 태풍 볼라벤('12)에 대하여 한반도 내습 전 후 촬영된 위성 현황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존 위성을 활용함에 있어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국내 위성은 주로 기상, 해양, 지형 및 통신 등의 목적으로 개발 운영됨으로 물 관리 및 수재해 대응에 필요한 시 공간적 데이터 관측 정보가 많이 부족하였다. 때문에 국외 위성으로 범위를 넓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GMS, TRMM, COMSGPM 등의 위성 자료를 수집하였다. 향후 한반도에 빠르고 정확한 수재해 정보를 얻기 위하여 시 공간적 데이터 분석단위를 만족시키는 수자원 위성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damage scales of water disasters such as typhoons, tsunamis, and heavy snow have been increasing globally as a result of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s. In particular, the economic loss caused by typhoons has been increasing for overpopulated areas that have undergone econ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국내·외 연구동향 및 위성 활용기술의 흐름에 대한 고찰을 통해 본 연구에서 향후 목표로 하고 있는 수자원 전용 위성의 필요성 및 활용기술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 또한, 태풍 발생으로 한반도 내 피해가 예상될 경우 위험지역 예측 및 태풍 피해현황을 신속·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수자원/수재해 전용 위성의 필요성 및 활용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 영향을 끼친 주요 태풍을 선정하고, 태풍의 한반도 내습 전·후 촬영된 국내·외 모든 위성영상을 검색하고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자원 위성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수자원 위성이란 수문순환, 토양수분, 지하수 변동, 저수용량, 식생지수, 증발산량 등 물 관리에 필요한 수자원 기초자료 및 수문인자를 관측하고 산출할 수 있는 센서가 탑재된 위성을 말한다. 현재 개발 및 운영 중인 수자원 위성으로는 GPM Core, GRACE, SWOT, Aqua/Terra MODIS, RADARSAT 등이 있으며 이러한 위성들은 다양한 센서들을 통하여 강우,물 순환, 지하수, 수위, 토양수분 및 적설 등을 관측하고 있다.
수자원 위성을 통하여 어떤 수문인자들을 산출할 수 있는가? 수자원 위성들은 가뭄 평가, 분석 및 모니터링 분야에 활용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위성들은 Aqua/Terra MODIS, SMAP, SMOS, SNPP,GCOM-W, GRACE 등이 있다. 이러한 위성들은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토양수분, 증발산량 및지하수 등의 수문인자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종합적으로 가뭄 모니터링, 분석 및 예측 등이 가능하다. NASA의 MODIS 자료의 경우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LST(Land Surface Temperature) 자료를 500m, 1km, 2km의 해상도로 8일, 16일 단위로 제공한다(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16).
수자원 위성이란 무엇인가? 수자원 위성이란 수문순환, 토양수분, 지하수 변동, 저수용량, 식생지수, 증발산량 등 물 관리에 필요한 수자원 기초자료 및 수문인자를 관측하고 산출할 수 있는 센서가 탑재된 위성을 말한다. 현재 개발 및 운영 중인 수자원 위성으로는 GPM Core, GRACE, SWOT, Aqua/Terra MODIS, RADARSAT 등이 있으며 이러한 위성들은 다양한 센서들을 통하여 강우,물 순환, 지하수, 수위, 토양수분 및 적설 등을 관측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oopedia. http://www.doopedia.co.kr. (Accessed December 13, 2016) 

  2. Han, J.G., S.P. Kim, D.H. Chang, and T.S. Chang. 2009. Estimation of inundation damages of urban area around Haeundae Beach induced by super storm surge using airborne LiDAR data.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7(3):341-350 (한종규, 김성필, 장동호, 장태수. 2009.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한 슈퍼태풍 내습시 해운대 해수욕장 인근 도심지역 침수 피해 규모 추정,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17(3):341-350). 

  3. Hong, S.S., D.S. Jung, E.H. Hwang, and H.S. Chae. 2016. A study on watershed analysis of the expected flood inundation area in South Han Riv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1):106-119 (홍성수, 정다솜, 황의호, 채효석. 2016. 남한강 유역의 침수예상지역에 대한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9(1):106-119). 

  4. Kim, G.S. and S.Y. Cho. 2012. Summer precipitation forecast using satellite data and numerical weather forecast model data.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7):631-641 (김광섭, 조소현. 2012. 광역위성 영상과 수치예보자료를 이용한 여름철 강수량 예측. 한국수자원학회 45(7):631-641). 

  5. Kim, J.H., C.H. Heo, and J.J. Baik. 2002. A study on typhoons passing around the Korean Peninsula during 1951-2001. Atmosphere 12(3):436-439 (김주홍, 허창회, 백종진. 2002. 1951-2001동안 한반도 주변을 통과하는 태풍에 대한 연구. 대기 12(3):436-439). 

  6. Kim, J.H., Y.S. Choi, and K.T. Kim. 2015. Flow estimation using rainfalls derived from multiple satellite images in Nor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4): 31-42 (김주훈, 최윤석, 김경탁. 2015. 위성 강우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 홍수량 추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4):31-42). 

  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kma.go.kr (Accessed Nov. 29, 2016). 

  8.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16. Pre-planning for technology development of satellite payload technology for water resources. pp.44-83 (한국수자원공사. 2016. 수자원 전용 위성 탑재체 기술 개발 추진을 위한 사전기획 보고서. 44-83쪽). 

  9. Lee, E.G. and H.Y. Lee. 1998. Spatial distribution and causative factors of typhoon disasters in Korea.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3(2):179-190 (이은걸, 이현영. 1998. 한국의 태풍재해의 공간분포와 발생요인. 대한지리학회지 33(2):179-190). 

  10. Lee, S.S. and G.Y. Kim. 2012. Development of empirical typhoon tracking model around Korean Peninsula.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16(2):65-72 (이승수, 김가영. 2012. 한반도 근역의 태풍시뮬레이션을 위한 경험적 태풍진로모형 개발. 한국풍공학회지 16(2):65-72). 

  11. Lee, S.W. and G.Y. Choi. 2013. Spatiotemporal patterns of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by typhoons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9(3):384-400 (이승욱, 최광용. 2013. 태풍 내습 시남한의 극한강수현상의 시.공간적 패턴.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3):384-400). 

  12.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https://aria.jplk.nasa.gov/case_studies (Accessed November 17, 2016). 

  13. NASA Precipition Measurement Missons. http://pmm.nasa.gov (Accessed November 17, 2016). 

  14. Park, J.K., B.S. Kim, W.S. Jung, E.B. Kim, and D.G. Lee. 2006. Change i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yphoon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Atmosphere 16(1):1-17 (박종길, 김병수, 정우식, 김은별, 이대근. 2006.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태풍의 통계적 특성 변화. 대기 16(1):1-17). 

  15. Yun, H.C., K.S. Min, and M.G. Kim. 2010.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hazard information map based on digital image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3):91-101 (윤희천, 민관식, 김민규. 2010.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수치영상기반의 다목적 재해정보지도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3):91-1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