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AV 기반 열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태양광 셀의 발열 검출
The Detection of Heat Emission to Solar Cell using UAV-based Thermal Infrared Sensor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5 no.1, 2017년, pp.71 - 78  

이근상 (전주비전대학교 지적토목학과) ,  이종조 ((주)누리공간산업)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태양광 발전소의 유지관리를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unmanned aerial vehicle(UAV)기반 열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태양광 셀의 발열을 분석하는 것으로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UAV 기반 RGB 센서를 이용하여 정사영상과 digital surface model(DSM)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태양광 셀의 발열 분석에 필요한 태양광 모듈 레이어를 생성하였다. 또한 태양광 모듈 레이어의 위치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virtual reference service(VRS) 측량을 이용하여 검정점에 대한 수평오차를 분석한 결과, 표준오차$dx={\pm}2.4cm$, $dy={\pm}3.2cm$로 높은 위치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그리고 태양광 셀의 발열 실험을 위해 고무패치를 설치한 후 UAV 열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발열이 생기는 고무패치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고무패치 셀 비율과 UAV 열적외선 센서에 의한 셀 비율의 표준오차는 ${\pm}3.5%$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UAV 기반 열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태양광 셀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아울러 발열이 생기는 셀이 위치하고 있는 태양광 모듈의 코드를 자동으로 추출함으로서 효과적인 태양광발전소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studies have been implemented to manage solar plant being supplied widely in recent years. This study analyzed heat emission of solar cell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UAV)-based thermal infrared sensor, and major conclusions are as belows. Firstly, orthomosaic image and digital surface mod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UAV 열적외선 센서를 기반으로 GIS 기법을 통해 태양광 셀의 발열을 분석하는 것으로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UAV와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태양광 모듈을 구성하는 태양광 셀의 초기발열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먼저 태양광 셀에 대한 이상발열 분석을 위해 태양광 셀에 대해 다양한 크기의 고무패치를 설치한 후 UAV 열적외선 센서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온도 자료를 취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정익 UAV에 열적외선을 탑재하여 태양광 셀의 발열을 검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정익 UAV는 회전익 UAV에 비해 비행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주변에 높은 지형지물이 있을 경우 충돌 위험성이 높다.
  • UAV 열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태양광 셀의 발열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되는 태양광 모듈의 위치정확도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모듈 경계 부분에 대해 VRS 측량을 실시하여 취득한 수평좌표와 태양광 모듈 레이어상의 수평좌표를 상호 비교함으로서 UAV 영상 및 태양광 모듈 레이어에 대한 위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 태양광 패널 공간정보에 기반이 되는 최신의 태양광 발전소 정사영상을 구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위스 SenseFly 에서 제작한 eBee 모델에 Sony WX RGB 카메라를 탑재하여 촬영을 수행하였다. eBee 모델은 고정익 UAV로서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양열 발전이란 무엇인가? 태양열 발전이란 햇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발전 방식 으로, 태양열 발전에는 직접적으로 햇빛을 직류 전기로 바꾸어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과 렌즈나 거울을 사용하 여 햇빛을 모아서 그 열을 이용해 발전을 하는 태양열 집중 발전으로 구분된다. 반도체 생산 기술이 발달하고 태양광 발전을 위한 소자 개발 비용이 점차 내려가면서 태양광 발전이 최근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다(Kim and Shim, 2012).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정 기적인 점검과 모니터링이 안정적인 전기 생산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이유는? 태양광 발전소는 다양한 요인 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효율저하에 따른 전력생산에 큰 지장을 가져오게 된다. 태양광 발전소는 손상 발생시 초기에는 셀에 과부하가 걸려 이상발열이 발생하며, 그 후 모듈 전체가 단락되어 전기를 전혀 생 산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정 기적인 점검과 모니터링이 안정적인 전기 생산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Kim et al.
태양열 발전 무엇과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태양열 발전이란 햇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발전 방식 으로, 태양열 발전에는 직접적으로 햇빛을 직류 전기로 바꾸어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과 렌즈나 거울을 사용하 여 햇빛을 모아서 그 열을 이용해 발전을 하는 태양열 집중 발전으로 구분된다. 반도체 생산 기술이 발달하고 태양광 발전을 위한 소자 개발 비용이 점차 내려가면서 태양광 발전이 최근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다(Kim and Shim,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rewer, J., Ames, D. P., Solan, D., Lee R. and Carlisle, J., 2015, Using GIS analytics and social preference data to evaluate utility-scale solar power site suitability, Renewable Energy, Vol. 81, pp. 825-836. 

  2. Cho, H. C. and Sim, K. Y., 2010, Ubiquitous networking based intelligent monitoring and fault diagnosis approach for photovoltaic generator systems,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9, No. 9, pp. 1673-1679. 

  3. Cho, H. C. and Jeong, Y. J., 2013, Probabilistic modeling of photovoltaic power systems with big learning data se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23, No. 5, pp. 412-417. 

  4. Cho, H. C. and Jeong, Y. J. and Lee, G. H., 2013, A study on fault detection for photovoltaic power modules using statistical comparison scheme, Solar Energy, No. 33, No. 4, pp. 89-93. 

  5. Gastli, A. and Charabi, Y., 2010, Solar electricity prospects in Oman using GIS-based solar radiation maps,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No. 14, No. 2, pp. 790-797. 

  6. Ji, P. S., Lee, J. P. Lee, Lee, D. J., Byeon, S. J. and Lim, J. Y., 2011, Monitering system for solar cell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using zigbee technique,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Conference, pp. 64-67. 

  7. Kim, H. Y.,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photovoltaic facility location using the geo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3, No. 2, pp. 146-156. 

  8. Kim, D. G., Park, K. N., Cho, S. Y., Lee, Y. K., Yu, G. J., Jeong, M. H., Choy, I. and Choi, J. Y., 2016, Detecting fault of solar plant using drone, Power Electronics Annual Conference, pp. 471-472. 

  9. Kim, Y. H. and Shim, K. S., 2012, Computing the efficiency of solar cell and detecting failures in the solar cells,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Vol. 39, No. 1B, pp. 10-12. 

  10. Lee, G. S., Kim, S. G. and Choi, Y. W., 2015, A comparative study of image classification method to detect water body based on UA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8, No. 3, pp. 113-127. 

  11. Lee, G. S. and Lee, J. J., 2016, Test of fault detection to solar-light module using UAV Based thermal infrared camer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9, No. 4, pp. 106-117. 

  12. Lee, J. E. and Kim, I. S., 2011, A study on the Fault detection technique of the Grid-connected photovoltaic system using wavelet transformation, The Transactions of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16, No. 1, pp. 79-87. 

  13. Lee, J. Y. and Kang, I. J., 2010, A study of PV system facilities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8, No. 2, pp. 99-105. 

  14. Lee, K. R. and Lee, W. H., 2015, Solar power plant location analysis using G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8, No. 4, pp. 1-13. 

  15. Lee, S. H., Lee, N. H., Choi, H. C. and Kim, J. O., 2012, Study on analysis of suitable site for development of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6, No. 7, pp. 30-38. 

  16. Lim, J. Y. and Ji, P. S., 2016, Development of fault diagnosis algorithm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ELM,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5, Nol. 3, pp. 204-209. 

  17. Park, J. I., 2011, A study on the suitability analysi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plant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GIS, Ph. D.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Korea. 

  18. Polo, J., Bernardos, A., Navarro, A., Fernandez-Peruchena, C., Ramirez, L., Guisado, M. V. and Martinez, S., 2015, Solar resources and power potential mapping in Vietnam using satellite-derived and GIS-based information,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98, pp. 348-358. 

  19. Ramachandra, T. and Shruthi, B., 2007, Spatial mapping of renewable energy potential,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11, No. 7, pp. 1460-1480. 

  20. Song, J. S., Jeong, Y. S. and Lee, S. H., 2014, Analysis of prediction model for solar power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3, pp. 243-24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