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조류 첨가를 통한 하수슬러지 산발효 효율 증대
Enhanced Acidification Efficiency of Sewage Sludge by Seaweed Addition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5 no.1, 2017년, pp.15 - 21  

신상룡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  이모권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  김민균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  홍성민 (아쿠아테크) ,  김동훈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의 유기산 생산에 있어 해조류 첨가를 통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고자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 기질농도를 동일하게 20 g COD/L로 하고 하수슬러지와 해조류의 혼합비율을 COD 기준, 100:0, 75:25, 50:50, 25:75, 0:100으로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온도는 $35^{\circ}C$, 중온에서 이루어졌고 메탄 생산균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90^{\circ}C$, 20분간 열처리된 혐기성소화슬러지를 식종균으로 이용하였다.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해조류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기산의 농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혼합비율별 100:0, 75:25, 50:50, 25:75, 0:100 (하수슬러지:해조류) 유기산 생산량은 각각 1.45, 3.22, 4.28, 5.24, 4.82 g COD/L이었다. 하수슬러지와 해조류만의 유기산 생산량을 기반으로 하여 상승효과를 계산한 결과, 혼합비율 75:25, 50:50, 25:75 에서 각각 0.92, 1.14, 1.26 g COD/L로 나타났다. 이는 해조류가 25% 비율로 첨가 시 전체 생산된 유기산의 40%가 상승효과에 의해 생산되었음을 의미하며, 해조류의 상대적인 높은 C/N비와 생분해도에 기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work, the synergistic effect of seaweed addition on organic acid production from sludge was investigated. The batch experiment was conducted at various mixing ratios of sewage sludge and seaweed (100:0, 75:25, 50:50, 25:75, 0:100 on a COD basis) under the substrate concentration of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12),13)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이는 추가적인 외부 에너지 소모가 필요하므로 비경제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의 적용 대신 슬러지에 비해 생분해도 및 C/N비가 높은 해조류를 추가 기질로 첨가함으로서 슬러지의 산발효율의 증진 가능성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혼합소화란 무엇인가? 한편, 하수슬러지에 다른 종류의 유기성폐기물을 첨가하여 처리하는 혼합소화(co-digestion) 연구도 진행되었는데,5) 크게 두 가지 효과를 통해 증진이 가능하다. 첫째, C/N비로 대변되는 영양물질의 균형과, 둘째, ‘priming effect’이다.
국내의 하수슬러지 발생 현황은? 국내의 하수슬러지 발생량은 약 3,691,150 톤/년 (2014년 기준)이고, 하수 및 폐수의 증가, 하수종말 처리장의 증설 등의 이유로 하수슬러지의 양은 매 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 또한, 국내의 경우 2012년 하수슬러지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되면서 육상처리의 부담이 급증하였다.
혼합소화 연구에 증진을 가져온 효과는 무엇인가? 한편, 하수슬러지에 다른 종류의 유기성폐기물을 첨가하여 처리하는 혼합소화(co-digestion) 연구도 진행되었는데,5) 크게 두 가지 효과를 통해 증진이 가능하다. 첫째, C/N비로 대변되는 영양물질의 균형과, 둘째, ‘priming effect’이다. 여기서 ‘priming effect’는 미생물이 비교적 분해하기 쉬운 물질을 우선적으로 분해함으로서 미생물의 활성도가 증가하여 비교적 분해하기 어려운 물질도 쉽게 분해할 수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용준, 박진규, ?田一雄, 이남훈, "공기주입과 영가철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가용화 연구", 유기물자원화] Kim, Y. J., Park, J. K., Tameda. K., and Lee, N. H., "Assessment of sludge solubilization by aeration and zero-valent ion as a pre-treatment for anaerobic digestion",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24(3), pp. 53-61. (2016). 

  2. Cho, H.U., Park, S.K., Ha, J.M., and Park, J.M., "An Innovative sewage sludge reduction by using a combined mesophilic anaerobic and thermophilic aerobic process with thermal alkaline treatment and sludge recirculation", J. Environ. Manage, 129, pp. 274-282. (2013). 

  3. [이모권, 김동훈, 임소영, 김미선, "가용화와 생분해에 따른 하수슬러지의 성분 분류", 유기성자원학회 춘계학술대회] Lee, M. K., Kim, D. H., Lim, S. Y., and Kim, M. S., "Division of waste activated sludge components by four parts depending on its solubility and biodegradability",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Spring Conference, pp. 184-188. (2012). 

  4. Dhar, B. R., Nakhla, G., and Ray, M. B., "Techno-economic evaluation of ultrasound and thermal pretreatments for enhanced anaerobic digestion of municlpal waste activated sludge", Waste Management, 32, pp. 542-549. (2012). 

  5. [신항식, 김현우, 한선기, 강석태, "하수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의 혼합소화시 혼합비율과 기질농도에 따른 분해 특성", 유기물자원화] Shin, H. S., Kim, H. W., Han, S. K., and Kang, S. T., "Degradation characteristics in anaerobic co-digestion of sewage sludge and food waste",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10(1), pp. 96-101. (2002). 

  6. Aichinger, P., Wadhawan, T., Kuprian, M., Higgins, M., Ebner, C., Fimml, C., murthy, S., and Wett, B., "Synergistic co-digestion of solid-organic-waste and municipal sewage sludge : 1 plus 1 equals more than 2 in terms of biogas production and solids reduction", Water Research, 87, pp. 416-423. (2015). 

  7. Zhang, W., Wei, Q., Wu, S., Qi, D., Li, W., and Dong, R., "Batch anerobic co-digestion of pig manure with dewatered sewage sludge under mesophilic conditions", Applied Energy, 128, pp. 175-183. (2014). 

  8. Zhang, J., Lv, C., Tong, J., Liu, J., Liu, J., Yu, D., Wang, Y., Chen, M., and Wei, Y., "Optimiz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of anaerobic co-digestion of food waste and sewage sludge based on microwave pretreatment", Bioresource Technology, 200, pp. 253-261. (2016). 

  9. Kim, M., Yang, Y., Morikawa-Sakura, M. S., Wang, Q., Lee, M. V., Lee, D. Y., Feng, C., Zhou, Y., and Zhang, Z., "Hydrogen production by anaerobic co-digestion of rice straw and sewage sludge",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37, pp. 3142-3149. (2012). 

  10. [김정민, 이영호, 정성훈, 이진태, 조무환, "해조류의 혐기성 발효를 이용한 메탄생산", Clean Technology] Kim, J. M., Lee, Y. H., Jung, S. H., Lee, J. T., and Cho, M. H., "Production of methane from anaerobic fermentation of marine macro-algae", Clean Technology, 16, pp. 51-58. (2010). 

  11. Costa, J. C., Goncalves, P. R., Nobre, A., and Alves, M. M., "Biomethanation potential of macroalgae Ulva spp. and Gracilaria spp. and in co-digestion with waste activated sludge", Bioresource Technology, 114, pp. 320-326. (2012). 

  12. [백병천, 정은경, "2차 하수슬러지의 혐기성 산발효에 대한 마이크로파 전처리의 영향 연구", 한국도시환경학회지] Baik, B. C. and Jung, E. K., "Effects of microwave pre-treatment on anaerobic fermentation efficiency of secondary activated sludge", Jounal of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6, pp. 55-63. (2006). 

  13. Liu, H., Xiao, H., Yin, B., Zu, Y., Liu, H., Fua, B., and Ma, H., "Enhanced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by a modified biological pretreatment in anaerobic fermentation of waste activated sludge",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84, pp. 194-201. (2016). 

  14. Yuan, H., Chen, Y., Zhang, H., Jiang, S., Zhou, Q., and Gu, G., "Improved Bioproduction of Short-Chain Fatty Acids (SCFAs) from Excess Sludge under Alkaline Conditions", Environ. Sci. Technol, 40, pp. 2025-2029, (2006). 

  15. Pham, T. N., Nam, W. J., Jeon, Y. J., and Yoon, H. H., "Volatile fatty acids production from marine macroalgae by anaerobic fermentation", Bioresource Technology, 124, pp. 500-503. (2012). 

  16. Huang, J., Zhou, R., Chen, J., Han, W., Chen, Y., Wen, Y., and Tang, J., "Volatile fatty acids produced by co-fermentation of waste activated sludge and henna plant biomass", Bioresource Technology, 211, pp. 80-86. (2016). 

  17. Yang, X., Du, M., Lee, D. J., Wan, C., Zheng, L, Li, G., and Chang, J. S., "Enhanced production of volatile fatty acids (VFAs) from sewage sludge by b-cyclodextrin", Bioresource Technology, 110, pp. 688-69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