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음파영상에서의 임신초기 복부피하지방두께를 이용한 임신성당뇨 위험인자 평가
Evaluation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Risk Factors Using 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for Early Pregnancy in the US Imaging 원문보기

방사선기술과학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1, 2017년, pp.35 - 40  

김창수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  양성희 (일신기독병원 영상의학과) ,  김정훈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신초기 초음파에 의해 측정된 임산부의 복부 피하지방두께(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ASFT)와 임신중기 발현되는 임신성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GDM 예측을 위한 ASFT의 기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86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임신초기 ASFT를 측정한 후 임신중기 GDM 선별검사(50 g OGTT) 140 mg/dL 이상을 고위험군으로 산정하고 산모연령, 임신 전 체질량지수, 임신 중 체중증가량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ROC 곡선분석을 이용하여 GDM 예측을 위한 ASFT의 cut-off value를 결정하였다. 산모연령, 임신 중 체중증가량은 임신중기 GDM과 관련성이 없었으며, 임신 전 체질량지수와 임신초기 ASFT는 정상군과 GDM 고위험군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GDM 예측을 위한 ASFT의 cut-off value는 2.23 cm(AUC 0.913, Sensitivity 76.19%, Specificity 93.72%)로 결정하였다. 임신초기 초음파로 측정된 ASFT는 임신중기 GDM 예측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유용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ASFT는 GDM을 조기에 인식하는데 있어서 보조적인 진단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ASFT) and maternal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GDM) measured by ultrasound at period of pregnancy. We compared maternal ag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임신초기 초음 파영상의 ASFT와 임신중기 GDM 발현과 관련된 인자들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GDM의 조기발견 예측 표지자로서 ASFT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DM 관련인자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GDM 관련인자에는 산모연령, 임신 전 체질량지수, 가족 력, 비만(obesity), 임신 중 체중증가량(weight gain; WG) 등이 있으며 이 중 가장 큰 위험인자는 비만이다. 비만은 복부 피하지방두께(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ASFT)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6-8).
산모에게 임신성당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전체 임산부의 3~5% 를 차지하며 GDM에 노출될 경우 출산 후 수년이 지나면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진다1). 산모에게서 GDM은 전자간증(pre-eclampsia), 자간증(eclampsia) 등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태어난 신생아는 거대아(large for gestational age; LGA)를 비롯한 고빌 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 저칼슘혈증(hypokalemia), 적혈구과다증(erythrocytosis) 등 주산기 이환률이 높아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GDM을 미리 예측하고 조기 발견하는 것은 중요하다2,3).
임신성당뇨란 무엇인가? 임신성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란 정도에 관계없이 임신 중에 발견되거나 처음 시작된 당불내성 (carbohydrate intolerance)으로 정의되며 임신 중에 발생 하는 당뇨 또는 내당능장애(Imparied Glucose Tolerance; IGT)로 내과적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전체 임산부의 3~5% 를 차지하며 GDM에 노출될 경우 출산 후 수년이 지나면 제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진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Ratner RE: Prevention of type 2 diabetes in women with previous gestational diabetes. Diabetes Care., 30, 242-245, 2007 

  2. Hedderson MM, Weiss NS, Sadks DA, et al: Pregnancy weight gain and risk of neonatal complications: macrosomia, hypoglycemia, and hyperbilirubinemia. Obstetrics & Gynecology., 108, 1153-1161, 2006 

  3. Joan LN, Michael KG: Infants of diabetic mothers.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51, 619-637, 2004 

  4. Park SN, Cha YJ, Jeong KA, Yoo EH, Chun SH, Kim CI: Clinical efficiency of 50 g oral glucose challenge test, 75 g and 100 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for screening and diagnosis of gestational diabetes.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 131-141, 2008 

  5. Crowther CA, Hiller JE, et al: Effect of treatment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on pregnancy outcome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2, 2477-2486, 2005 

  6. Kim MJ, Lee SK, Lee JA, Lee PR, Park HS: Risk Factors fo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Korean Women.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2, 85-93, 2013 

  7. Kim YK, Han MS: The Usefulness of Visceral Fat Thickness Measured by Ultrasonography as an Abdominal Obesity Index.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1, 249-257, 2008 

  8. Choi HM: Perinatal outcome associated with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3, 981-987, 2010 

  9. Claudia TS, Theodore JD: CT in pregnancy: Risks and benefits. Applied radiology., 42, 6-16, 2013 

  10. Cynthia HM, Beth AS, Thomas DA, et al: Radiation Exposure and Pregnancy: When Should We Be Concerned?. Radiographics., 27, 909-917, 2007 

  11. Kim SK, Kim SH, Rhee YM, et al: The comparison of intra-abdominal fat distance (I-A Fat Distance) and visceral adipose tissue area (VAT) or visceral fat to skeletal muscle area ratio (VMR) measurement by computed tomography (CT).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64, 49-59, 2003 

  12. Choi YJ, Kahng JM, Bin J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ing of Gestational Diabetes Screening and HbA1c Level and Neonatal Outcome. The Korean Society for Laboratory Medicine., 29, 110-115, 2009 

  13.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15-20, 2000 

  14. Catalano PM, Mclntyre HD, Cruickshank JK, et al: The hyperglycemia and adverse pregna ncy outcome study: associations of GDM and obesity with pregnancy outcomes. Diabetes Care., 35, 780-786, 2012 

  15. Vinod GN, Gurpreet SS, Manash B, Ritoo B: Evaluation Of The Incidence And Outcom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Using The Current International Consensus Guidelines For Diagnosing Hyperglycemia In Pregnancy. International Journal of Reproduction, Contrac eption. Obstetrics and Gynecology., 5, 3361-3366, 2016 

  16. Yun SH, Han SW, Lee SH, Jung YW, Kim EH: Comparison of Obstetric and Neonatal Outcomes According to Oral Glucose Challenge Test in Korean Pregnant Women. The Korean Society of Perinatology., 24, 180-186, 2013 

  17. Philipsen A, Carstensen B, Sandbaek A, et al: Reproducibility of ultrasonography for assessing abdominal fat distribution in a population at high risk of diabetes. Nutrition & Diabetes., 3. e82, 2013 

  18. Gur EB, Ince O, Turan GA, et al: Ultrasonographic visceral fat thickness in the first trimester can predict metabolic syndrome a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Endocrine, 47, 478-484, 2014 

  19. De Souza LR, Berger H, Retnakaran R, et al: First-Trimester Maternal Abdominal Adiposity Predicts Dysglycemia a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Midpregnancy. Diabetes Care., 39, 61-64,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