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통계를 활용한 대설피해 예측 및 대설 피해 적설심 기준 결정 방안
Estimation of Snow Damage and Proposal of Snow Damage Threshold based on Historical Disaster Data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7 no.2, 2017년, pp.325 - 331  

오영록 (호서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토목공학과) ,  정건희 (호서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토목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인해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겨울철 대표적인 자연재해인 대설에 의한 재난 발생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대설 피해 저감이나 대설 피해액 예측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22년간 발생했던 대설 피해 사례를 재해연보에서 조사하여 시군구별로 빈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대설 피해 발생 빈도가 높았던 충청도, 전라도, 강원도를 대상으로 대설피해액 예측을 위한 다중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설명변수로 기상학적 요소인 최심신적설량, 최고기온, 최저기온, 상대습도와 사회 경제적인 요소인 시군구의 면적과 비닐하우스 면적, 농가인구, 60세 이상 농가인구를 선택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대설 피해를 야기하는 적설심에 대한 분석을 위해 최심신적설심 별 구간을 구분하여 모형을 별도로 구축하였다. 그 결과, 적설심이 낮았던 피해 사례까지를 모두 고려한 경우에는 모형의 예측력이 매우 낮았지만, 피해를 야기한 적설심이 큰 경우만을 분리하여 모형을 구축한 경우에는 70% 이상의 매우 향상된 예측력을 보였다. 이는 적설심이 25 cm 이상 큰 경우에는 적설하중에 의해 설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대설 피해 기준 적설심이라고 가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climate change, natural disaster has been occurred more frequently and the number of snow disasters has been also increased. Therefore,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predict the amount of snow damages and to reduce snow damages. In this study, snow damages over last 21 years 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재난통계 자료의 특성을 면밀히 살펴보다 합리적이고 정확하게 대설 피해를 예측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과거 대설 피해 관련 재난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대설 피해를 유발하는 적설심을 구간별로 구분하고, 주로 농촌지역 소규모 시설물에 대설 피해가 발생한다는 점을 이해하여 농촌지역의 비닐하우스 면적이나 농가의 60세 이상 인구수 등 적설심 이외에 대설 피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보강하여 재난통계를 활용한 대설피해 예측의 성능 향상을 의도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재난통계를 활용한 대설피해를 예측하기 위해 재해 연보를 분석하였으며, 재해연보상 가장 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시설물은 원예특작시설물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해 연보 대설피해 사상에 따른 기상청 강설량 관측값이 원예 특작시설 최소 적설심 설계기준인 20cm의 절반 이하인 경우가 다수 존재하여, 이에 따른 모형의 성능을 파악하고자 10~25cm 사이 임의의 적설심 기준 6개의 Case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 Fig.
  • 동시입력방식은 사용자가 고려하는 모든 설명변수들을 동시에 분석하는 방법으로, 다른 설명변수들이 통제된 상태에서 특정 설명변수의 영향력을 분석할 수 있으며, 모든 설명변수들이 얼마나 종속변수에 영향을 끼치는지 정도를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설명변수들이 종속변수인 대설피해액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기에 동시입력방식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재난통계에 기반한 대설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국민안전처(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PSS) 에서 매년 발간하는 재해연보를 조사하였다. 재해연보에 따르면 1994년부터 2015년까지 총 22년간, 각 시군구 별로 0건에서 최대 약 20건의 대설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전국의 시군구별 대설 피해 빈도를 나타낸 결과 Fig.
  • 본 연구에서는 재해통계를 기반으로 다중회귀모형을 구축하여 대설피해액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과거 대설에 의한 피해 사례를 재해연보 기준으로 조사하여 피해가 상대적으로 빈번히 발생했던 충청도, 전라도, 강원도 지역의 피해 사례 총 342건을 대상으로 피해를 야기한 최심적설심 별(최소 10cm 이상의 적설심)로 회귀모형을 구축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농촌진흥청의 ‘지역별 원예특작시설물의 적설심 설계 기준’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4)에 따르면 최소 20~40cm 이상의 설계 적설심이 제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해 연보의 비닐하우스 피해사상에 따른 기상청 적설심 데이터를 조사해보면, 관측된 적설심이 10cm 미만인데도 큰 피해가 발생한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최소 설계 적설심인 20cm의 절반 이하인 10cm 이하에서 피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단순히 적설로 인한 피해가 아니고 유지관리나 다른 외적인 영향에 의해 발생한 피해라고 가정하였다. 이런 종류의 피해를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적설심 10cm 이하의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고, 적설심별 Case를 임의로 6개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중회귀모형이란? 다중회귀모형은 종속변수를 설명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설명변수가 사용되는 선형회귀모형을 말하며, 단순회귀모형의 확장이라 할 수 있다. 다중회귀모형의 종속변수 Y를 n개의 설명변수 x1, x2, .
피해 예측을 위해 가장 중요하며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는 자료는? 이와 같이 기존에 진행된 대설 피해 추정 연구들 중 다수가 재난통계를 활용하여 피해액을 예측하였으나, 그 효율이 높지 않아 재난통계의 활용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해 예측을 위해 가장 중요하며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는 자료도 역시 과거 재난통계이다. 그러므로 재난통계 자료의 특성을 면밀히 살펴보다 합리적이고 정확하게 대설 피해를 예측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대설피해는 주로 온실이나 축사 ․ 잠사같은 농가의 경량시설물에서 발생한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과거 대설피해는 주로 온실이나 축사 ․ 잠사같은 농가의 경량시설물에서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량시설물의 피해가 큰 것은 다른 건축물에 비해 설계 적설 하중이 작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강설 시 제설작업이나 시설물의 노후도 등이 피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기도 하다. 농촌 지역에 노령인구가 많을 경우에는 신속한 제설작업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여 시군구의 면적과 비닐하우스 면적, 농가 인구, 60세 이상 농가 인구를 사회 ․ 경제적인 입력변수로 고려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C. H., Bak, J. U., Kim, J. S., Kim, D, H. and Kim, H. S. (2016). "Development of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 using generalized linear model." Proceedings of 2016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in Korean). 

  2. Gooch, C. A. (1999). "Heavy snow loads." Dairy Facilities/Environmental Management Engineering,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3. Jung, S. H., Yoon, J. S., Lee, J. W. and Lee, H. W. (2015). "Comparison and decision of exposure coefficient for calculation of snow load on greenhouse structure."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Vol. 23, No. 3, pp. 226-234 (in Korean). 

  4. Kwon, S. H. and Chung, G. H. (2017). "Estimation of snow damages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 The case of gangwon provinc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7, No. 1 (in Korean). 

  5. Kwon, S. H., Kim, J. H. and Chung, G. H. (2016). "Snow damage estimation of Gangwon province damages using regression analysis."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2, pp. 437-443 (in Korean). 

  6. Kim, J. S., Choi, C. H., Kim, D. H., Bak, J. U. and Kim, H. S. (2016). "Development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Proceedings of 2016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in Korean). 

  7. Lee, Y. K., Lee, C. J. and Ahn, S. G. (2015). "Estimation of freshly fallen snow unit weight and maximum probable snow load."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1, pp. 47-55 (in Korean). 

  8. Lee, K. M. and Lee, S. H. (2006).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now fall and its development mechanism over the Honam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1, No. 4, pp. 457-469 (in Korean). 

  9.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PSS) (2015). "The 2015 Annual Natural Disaster report."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in Korean). 

  10. Park, S. H. (2007). Regression Analysis, The Third Edition, Minyoungsa (in Korean). 

  1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4). Disaster type Standard Design and Specification in Horticultural Special Facility, Vol. 2014, No. 78. 

  12. Shim, K. O. (2005). "Analysis the Probability of the Heavy Snowfall on March 2004." Proceedings of 2005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in Korean). 

  13. Toya, H. and Skidmore, M. (2007).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impacts of natural disasters." Economic Letters, 94, 20-25. 

  14. Yu, I. S., Kim, H. Y., Imee, V. N. and Jeong, S. M. (2014).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snow load codes and standards in Korea."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4, No. 5, pp. 1421-143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