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식사가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고양시 소재 중학생을 중심으로 -
Effects of family meals on eating behavior, academic achievement and quality of life - Based on the students of middle school at Goyangsi, Gyeonggido -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9 no.4, 2017년, pp.149 - 159  

신우경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  강소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유경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가족식사가 청소년들의 식생활태도와 학업성취도 그리고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경기도 고양시 소재 중학교 1, 2, 3학년 남녀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가족식사를 빈도, 규칙, 인식의 각 요인으로 나누어 청소년의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그리고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조사 항목은 일반적인 가족식사 패턴과, 가족식사는 빈도, 규칙, 인식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각 요인을 조사하였다. 식생활태도는 중학생의 식생활 특성을 반영하여 영양, 배려, 예절, 행복감의 세부항목으로 총 19개의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학업성취도에 관한 설문은 각 과목에 대한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삶의 질은 신체적 건강 관련 삶의 질 4항목, 정신적 건강 관련 삶의 질 10항목, 그리고 경제적 만족도와 관련한 삶의 질 3항목의 총 17개 항목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형태에 따라 가족식사 규칙(p<0.05)과 인식(p<0.05)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이는 반면, 맞벌이여부에 따라서는 가족식사 빈도(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족식사 요인에 따른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빈도와 인식에 따라 식생활태도(빈도 p<0.001; 인식 p<0.001), 학업성취도(빈도 p<0.001; 인식 p<0.05), 삶의 질(빈도 p<0.001; 인식 p<0.001)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규칙의 경우 학업성취도를 제외한 식생활태도(p<0.001)와 삶의 질(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가족식사 요인과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삶의 질 간 관계는 모두 유의한(p<0.01)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가족식사 요인이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족식사 빈도와 식생활 태도가 학업성취도(빈도 p<0.001; 식생활태도 p<0.05 및 삶의 질(빈도 p<0.001; 식생활태도 p<0.001)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식사 요인 중 빈도가 학업성취도(${\beta}=0.298$ p<0.001)와 삶의 질(${\beta}=0.298$ p<0.001)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컸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식사의 중요성을 중학생들과 학부모, 교사에게 교육하고 가정과 학교에서 올바른 지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meals on eating behavior, academic achievement,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302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middle school at Goyangsi. We asked participants about family meals, eating behav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가족식사가 식생활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Kwon et. al., 2013)에서 사용되었던 설문지를 참고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족식사의 빈도, 규칙, 인식의 정도와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및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설문지는 일반사항, 가족식사,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그리고 삶의 질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가족식사 실태를 조사하고, 가족식사와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및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가족식사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 , 2012)에 대한 연구가 있으나, 가족식사의 특성을 세분화하여 청소년의 식생활태도, 삶의 질, 학업성취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족식사의 빈도, 규칙, 인식의 정도와 식생활 태도, 학업성취도 및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식사 감소가 불러온 문제점은? 1%에 비해 감소하여 현실적으로 가족식사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더 어려워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가족식사 감소로 인해 가족구성원들의 영양 불균형, 가족 간 유대감 및 공감능력 저하, 비행 청소년의 증가, 청소년 자살률의 증가 등 새로운 사회문제가 야기되고 있다(Cho et al 2011). 선행연구에 따르면 부모와 자녀가 함께하는 가족식사는 구조화된 규칙적인 시간을 제공하여 부모자녀간의 공감적 의사소통, 자녀의 자아정체성 및 가족정체성을 강화하여 자녀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Fiese et al.
청소년에게 가족과 함께 공유하는 시간이 주는 장점은? , 2011). 특히 발달 과정에 있는 청소년에게 있어 가족과 함께 공유하는 시간은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시에 가족관계의 긍정적 형성 마련을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된다. 최근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고 사교육의 증가로 가족구성원들이 함께 지낼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면서 사실상 식사시간은 청소년이 가족과 공유하는 거의 유일한 시간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Yoo et al.
밥상머리교육을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가정과 인성이 중심이 되는 ‘밥상머리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가족식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2). 가족식사는 가족이 식사를 함께 함으로써 가족구성원에게 정체성과 소속감을 형성하게 하며, 예절, 나눔, 배려 등을 터득하는 교육의 출발점으로 이용되어 왔다(Ch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 H. B., Ok, S. W., Yang, K. S & Chung, G. H. (2013). The Influence of family meal frequenc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Korer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4), 125-149. 

  2. Byun, Y. I. (2005). Mother's facilitative communication,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veness, and students'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13(2), 89-113 

  3. Cho, H. K., Lee, S. M., Kim, O. S., Lee, K. Y., Lee, Y. S. & Han, Y. S. (2011). Family Meal Time and the Related Factor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5(1) 1-28. 

  4. Fiese, B. H., Foley, K. P., & Spagnola, M. (2006). Routine and ritual elements in family mealtimes: Contexts for child wellbeing and family identity,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11, 67-90. 

  5. Fulkerson, J. A., Kubik, M. Y., Story, M, Lytle, L., & Arcan, C. (2009). Arethere nutritional and other benefits associated with family meals among at risk youth?,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5(4), 389-395. 

  6. Kim, J. Y. & Sim, K. H. (2011). The actual conditions and recogni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fter execution of the dietary life education support act.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4(3), 295-305. 

  7. Kwon, J. E., Park, H. J., Lim, H. S. & Chyun, J. H. (2013). The Relationships of Dietary Behavior, Food Intake, and Life Satisfaction with Family Meal Frequ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8(3), 272-281. 

  8. Kim, M. J. (2006). Characteristics of Ordinary Diets in Present - Problems and Solution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8), 151-160. 

  9. Kim, K. M, Ryu, S. A. & Choi, I. C. (2012), Family Activities and Well-being in Midlife: Meal, Phone Conversation, and Leisure,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8(2), 279-300. 

  10. Kim, O. S., Han, Y. S., Lee, K. Y., Lee, Y. S., Cho, H. K,, Lee, S. M & Youn Y. O. (2012). A Typology of family shared time of Korean Adults.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6(2): 165-186. 

  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2. Hong, S. K (2011). A Study on Processed Food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rban Housewives' Food-related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younggi University, Gyenggi, Korea. 

  13. Lee, H. A. & Choi, I. S (2013). Influence of Family Mealtime and Family Functioning on Early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3), 1-13. 

  14. Lee, K. W & Cho, Y. J (2007).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wards Family Meals,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7(5), 615-625. 

  15. Lee, Y. M., Lee, K. W., & Oh, Y. J (2009).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wards Family Meal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5(1), 41-51.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VI) report. 

  17.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Republic of Korea, "Comprehensive Survey of Korean Youth 2011", (2012). 

  18. Welsh, M. E., French, A. S., & Wall, M. (2011).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al frequency and individual dietary intake: Does family cohesion play a role?",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3(4): 209-306 

  19. Yoo, G. S, Kim, G. W., Kim, S. H., Lim, J. H., Choi, H. R., & Chae, H. W (2011). Effects of the Frequencies of Family Leisure and Meals and Family Closeness on Elementary Children's Sociality,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5(3), 99-1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