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치부의 심미 수복을 위하여 Digital Smile Design을 적용한 증례
Use of Digital Smile Design in esthetic restoration in anterior teeth: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5 no.2, 2017년, pp.164 - 170  

신세준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노관태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권긍록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김형섭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른 보철 수복에 비하여 전치부의 수복을 위해서는 치료 계획 단계에서 환자 요구도를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된다. 임상 사진과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Digital Smile Design (이하 DSD)방식은 치료 계획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어 환자 및 기공사과의 의사 소통이 용이하다. 본 증례에서는 기존 보철물에 대하여 심미적 불만을 갖고 있는 환자에서, 두 가지 방식으로 재수복을 진행하였다: (1) 심미 진단, 미소 설계와 의사소통을 위하여 DSD 방식을 이용하고, 임시 및 최종 보철물 제작에 전적으로 디지털 방식을 사용한 경우 (2) 미소 설계를 위해 진단 납형을 이용하고 보철물은 통법대로 제작한 경우. 이 증례에서 의사 소통의 측면에서는 DSD방식이 수월하였으나, (1)의 방법으로는 심미적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여, 예지성 있는 결과를 위해서는 성공적 의사 소통 이외에도 다양한 심미 요소를 고려한 진보된 형태의 미소 설계 도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restoring their anterior dentition, patients become more demanding on esthetics compared to posterior region during treatment planning phase. Digital Smile Design (DSD) procedure is performed in presentation software and digital photographs. This can widen diagnostic visualization and aid in 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진단 납형을 3Shape lab scanner D700으로 스캔하고 주 모형과 중첩시켜 Dental cad software상에서 cut-back하여 framework를 디자인하였다. Framework 재료로 zirconia(KATANA LT, Noritake Dental Supply Co. Ltd., Miyoshi, Japan)을 선택하고 이에 도재를 축성(Noritake CZR, Noritake Dental Supply Co. Ltd., Miyoshi, Japan)하여 심미적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Framework에 내부 착색제를 적용하여 치경부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색조를 얻었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igital Smile Design 방식은 무엇을 이용하는가? 다른 보철 수복에 비하여 전치부의 수복을 위해서는 치료 계획 단계에서 환자 요구도를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된다. 임상 사진과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Digital Smile Design (이하 DSD)방식은 치료 계획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어 환자 및 기공사과의 의사 소통이 용이하다. 본 증례에서는 기존 보철물에 대하여 심미적 불만을 갖고 있는 환자에서, 두 가지 방식으로 재수복을 진행하였다: (1) 심미 진단, 미소 설계와 의사소통을 위하여 DSD 방식을 이용하고, 임시 및 최종 보철물 제작에 전적으로 디지털 방식을 사용한 경우 (2) 미소 설계를 위해 진단 납형을 이용하고 보철물은 통법대로 제작한 경우.
DSD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무엇이 있는가? 통상적으로, 심미수복에 있어서 환자 요구사항의 반영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은 진단 왁스업을 통하여 이루어지나 이에 시간이 상당 소모되므로, Mclaren과 Culp 등2 여러 임상가들은 구내외의 임상 사진을 이용한 디지털 작업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미소 설계의 방법을 사용할 것을 추천하였다. Coachman 등3은 디자인 과정에서 Keynote (iWork, Apple, Cupertino, CA, USA) 혹은 Microsoft Powerpoint (Microsoft Office, Microsoft, Redmond, WA, USA)와 같은 기본적인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보다 쉽고 효과적인 시각화가 가능하다고 하였고, 이러한 소위 Digital Smile Design (이하 DSD)을 통해, 환자를 포함하여 수복 과정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은 디자인 작업에 쉽게 접근하여 피드백을 얻을 수 있어, 예측 가능한 수복 결과를 얻기 용이하다고 주장하였다.
보철 수복의 심미적 결과는 무엇인가? 보철 수복의 심미적 결과는 환자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으며 이는 술자가 계획한 미소 디자인과 환자의 개성 사이의 조화를 이루는 데 실패한 결과라 할 수 있다. 2012년, Paolucci 등1은 치과 영역에서 심미적 부분 뿐 아니라 환자의 개성에 중점을 둔 수복물의 제작을 위하여 기질적인 특성에 따라 치아 형태를 분류하고, 이에 의거하여 환자 안모와 개성을 조화시키는 수복물의 디자인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Paolucci B, Calamita M, Coachman C, Gurel G, Shayder A, Hallawell P. Visagism: The art of dental composition. Quintessence Dent Tech 2012:187-200. 

  2. Mclaren EA, Culp L. Smile analysis: The Photoshop smile design technique. Part I. J Cosmet Dent 2013;29:94-108. 

  3. Coachman C, Van Dooren E, GUrel G, Landsberg CJ, Calamita MA, Bichacho N. Smile design: From digital treatment planning to clinical reality. In: Cohen M (ed). Interdisciplinary treatment planning. Vol 2: Comprehensive case studies. Chicago; Quintessence; 2012, p. 119-74. 

  4. Chu SJ. Range and mean distribution frequency of individual tooth width of the maxillary anterior dentition. Pract Proced Aesthet Dent 2007;19:209-15. 

  5. Magne P, Gallucci GO, Belser UC. Anatomic crown width/length ratios of unworn and worn maxillary teeth in white subjects. J Prosthet Dent 2003;89:453-61. 

  6. Murthy BV, Ramani N. Evaluation of natural smile: Golden proportion, RED or Golden percentage. J Conserv Dent 2008;11:16-21. 

  7. Zandinejad A, Lin WS, Atarodi M, Abdel-Azim T, Metz MJ, Morton D. Digital workflow for virtually designing and milling ceramic lithium disilicate veneers: a clinical report. Oper Dent 2015;40:241-6. 

  8. Lux LH, Thompson GA, Waliszewski KJ, Ziebert GJ. Comparison of the Kois Dento-Facial Analyzer System with an earbow for mounting a maxillary cast. J Prosthet Dent 2015;114:432-9. 

  9. Imburgia M. Patient and team communication in the iPad era - a practical appraisal. Int J Esthet Dent 2014;9:26-39. 

  10. Murray H, Locker D, Mock D, Tenenbaum H. Patient satisfaction with a consultation at a cranio-facial pain unit. Community Dent Health 1997;14:69-73. 

  11. Tuncel.I , Turp I, U umez A. Evaluation of translucency of monolithic zirconia and framework zirconia materials. J Adv Prosthodont 2016;8:181-6. 

  12. Williams S, Weinman J, Dale J. Doctor-patient communication and patient satisfaction: a review. Fam Pract 1998;15:480-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