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총상으로 인한 악안면 결손을 가진 환자에 대한 가철성 보철물 수복증례
Removable prosthetic rehabilitation in patient with maxillofacial defects caused by gunshot: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5 no.2, 2017년, pp.198 - 204  

이동규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보철과) ,  강정경 (중앙보훈병원 치과병원 보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악안면부의 결손은 선천적으로 결손을 가지고 있거나 외상이나 수술적인 절제 등에 의한 후천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구강 내 결손을 가진 환자 중 상악의 결손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보철적 치료의 필요성이 높다. 하악의 부분적 결손을 가질 경우 기능적 회복에 상당한 한계점을 보이나 양측 턱관절이 정상적으로 남아 있을 경우 국소의치를 이용한 악안면 보철물을 제작함으로써 양호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58세 남자 환자로서 안면부 총상으로 인한 구개부 및 좌측 하악 구치부 결손을 가진 분으로 obturator와 하악 RPD 재제작을 위해 내원하였다. 환자의 상악 결손 범위는 Aramany 분류법 Class IV에 해당되는 상태이며, 하악은 Cantor와 Curtis 분류법 Type V resection 상태이다. 상, 하악의 우측 구치부가 잔존하였으나, 수술 후 악골 변형으로 인해 서로 교합되지 않았으며 치주상태 불량으로 인한 동요도도 존재하는 상태였다. Obturator의 유지를 위해 잔존 지대치를 최대한 활용하였고 안정적인 교합이 형성되도록 치아를 배열하였다. 하악 RPD는 하악 절제술로 변형된 연조직에 적합하도록 제한된 범위를 피개하는 RPD를 제작하였다. 이에 환자분의 저작, 연하, 발음 기능이 많이 개선되었으며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어 본 증례를 발표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xillofacial defect comes from congenital defect, trauma and surgical resection. Patients with intraoral defect are commonly related to maxillary defect and they need prosthetic rehabilitation. Functional reconstruction of partially edentulous mandible has many limitations. However, if both condy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Obturator design 시 잔존 지대치에 넓게 rest seat를 분포시켜 최대한의 support를 얻도록 하였고, 지대치의 buccal clasp와 surgical defect의 lateral wall을 이용하여 최대한의 retention을 얻도록 하였다.
  • Obturator design 시 잔존 지대치에 넓게 rest seat를 분포시켜 최대한의 support를 얻도록 하였고, 지대치의 buccal clasp와 surgical defect의 lateral wall을 이용하여 최대한의 retention을 얻도록 하였다. 기존에 사용하던 obturator의 우측 제2소구치 부위 clasp가 파절된 것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clearance 부족했던 것으로 판단되어 rest에서 구개측과 협측으로 이행되는 부분의clearance를 통해 clasp 두께를 최대한 확보하도록 하였다. 하악의 경우 우측 하악 제1소구치, 제1대구치에 guiding plane과 Aker’s clasp를 이용한 RPD를 계획하였으며 부분 절제술로 인해 좁아진 치조제 폭경과 얕아진 전정 깊이를 고려하여 의치상의 피개부분을 최소화하고, 교합압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제작하도록 하였다.
  • 본 증례의 환자가 기존에 사용 중인 obturator는 open hollow type으로 환자가 호소한 불만 사항 중 악취에 대한 것은 bulb design과 연관되어 있다고 예상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새로 제작하는 obturator의 경우 open hollow type을 지양하였는데, 본 증례의 경우 구개 결손 부위가 lateral wall을 이용하여 부가적인 유지력을 얻을 수 있었고, 지대치와 연관된 clasp를 통해 충분한 유지력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bulb 형태를 hollow 하지 않게 제작하였다. Closed hollow type을 적용했었다면 obturator 무게 감소를 통해 좀 더 양호한 결과를 보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 통법에 따라 인공치를 배열할 경우 하악 부분 절제술로 인해 좌측으로 편위된 하악으로 인해 우측의 구치부는 교합점을 형성할 수 없고 그로 인해 저작시 상, 하악 의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우측 하악 제2대구치에 해당하는 인공치를 잔존치조제의 협측으로 위치시켜 상악 obturator와 최소한의 교합점이라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방법에 따라 배열된 납의치를 환자의 구강 내 시적 하였고, 양호한 적합도와 교합 상태를 확인하였다.
  • 본 증례에서는 총상으로 인해 구개부 결손과 하악의 변형이 발생한 환자에 대해 obturator와 RPD를 이용해 수복해 주었다. 잔존치를 최대한 이용하여 obturator의 유지력과 안정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고, 하악의 경우 하악 절제술로 인해 변형된 연 조직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범위를 피개하도록 RPD를 제작하였다.
  • 의치 제작 시 치조제의 협설측 폭경이 좁기 때문에 의치의 flange는 형성되지 않도록 인상채득 및 제작하여야 하며 결손 부위는 보철물과 평상시 거의 접촉하지 않고 저작력이 발생될 시점에서만 닿도록 제작하도록 권장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하악 의치 제작 시 flange가 연장되어 제작되었고, 기능 인상 시 기능압을 가하여 평상시에도 의치와 연조직이 접촉되도록 제작되어 통증이 발생된 것으로 예상되었다. 정기점검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내면적합도를 검사, 조정하여 수정하였다.
  • 따라서, 우측 하악 제2대구치에 해당하는 인공치를 잔존치조제의 협측으로 위치시켜 상악 obturator와 최소한의 교합점이라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방법에 따라 배열된 납의치를 환자의 구강 내 시적 하였고, 양호한 적합도와 교합 상태를 확인하였다. 납의치 시적 후 의치상용 레진을 중합하여 의치를 완성하였다.
  • 잔존치 평가 결과 지대치로 부적합한 하악 우측 견치는 발치를 결정하였고, 최대한의 유지력을 얻기 위해 나머지 잔존치 모두를 지대치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대적으로 치주 상태가 불량한 우측 상악 견치의 경우 지대치에 미치는 힘을 최소화하기 위해 wrought wire를 계획하였고, 나머지 상악 지대치에는 embrasure clasp를 이용하여 유지력을 증가시키도록 하였다. Obturator design 시 잔존 지대치에 넓게 rest seat를 분포시켜 최대한의 support를 얻도록 하였고, 지대치의 buccal clasp와 surgical defect의 lateral wall을 이용하여 최대한의 retention을 얻도록 하였다.
  • 환자의 구강 내에서 습관성 폐구위로 유도하여 악간 관계를 채득하였다. 안궁 이전하여 반조절성 교합기(Artex, Girrbach Dental, Pforzheim, Germany)에 부착하고 환자의교합관계를 분석하였다. 인기된 환자의 악간 관계에 따라 인공치(Endura teeth, Premiere dental, Kuala Lumpur, Malaysia)를 배열하였다.
  • 예비 모형으로 개인 트레이 제작하였고, modeling compound (Peri compound, GC Co., Tokyo, Japan)로 변연 형성 후 두 종류의 polyvinyl siloxane (Imprint II Garant light / regular body, 3M ESPE, St. Paul, MN, USA), (Exafine regular / injection type, GC Co., Tokyo, Japan)을 이용하여 최종인상 채득하였다 (Fig. 4). 제4형 경석고 (GC Fujirock EP, GC Europe N.
  • 안궁 이전하여 반조절성 교합기(Artex, Girrbach Dental, Pforzheim, Germany)에 부착하고 환자의교합관계를 분석하였다. 인기된 환자의 악간 관계에 따라 인공치(Endura teeth, Premiere dental, Kuala Lumpur, Malaysia)를 배열하였다. 통법에 따라 인공치를 배열할 경우 하악 부분 절제술로 인해 좌측으로 편위된 하악으로 인해 우측의 구치부는 교합점을 형성할 수 없고 그로 인해 저작시 상, 하악 의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알지네이트로 예비 인상 채득하여 진단 모형 제작하였다. 잔존치 평가 결과 지대치로 부적합한 하악 우측 견치는 발치를 결정하였고, 최대한의 유지력을 얻기 위해 나머지 잔존치 모두를 지대치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대적으로 치주 상태가 불량한 우측 상악 견치의 경우 지대치에 미치는 힘을 최소화하기 위해 wrought wire를 계획하였고, 나머지 상악 지대치에는 embrasure clasp를 이용하여 유지력을 증가시키도록 하였다.
  • 본 증례에서는 총상으로 인해 구개부 결손과 하악의 변형이 발생한 환자에 대해 obturator와 RPD를 이용해 수복해 주었다. 잔존치를 최대한 이용하여 obturator의 유지력과 안정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고, 하악의 경우 하악 절제술로 인해 변형된 연 조직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범위를 피개하도록 RPD를 제작하였다. 보철치료 후 기능적,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 본 증례에서는 하악 의치 제작 시 flange가 연장되어 제작되었고, 기능 인상 시 기능압을 가하여 평상시에도 의치와 연조직이 접촉되도록 제작되어 통증이 발생된 것으로 예상되었다. 정기점검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내면적합도를 검사, 조정하여 수정하였다.
  • 4). 제4형 경석고 (GC Fujirock EP, GC Europe N.V., Leuven, Belgium)로 작업모형 제작 후 metal framework 제작하였다(Fig. 5). 환자의 좌측 하악체 부분 절제술로 인해 하악궁이 좁아졌고, 그로 인해 치조제의 협설측 폭경 또한 좁을 뿐 아니라 전정의 깊이가 얕고 각화치은양이 부족하여 의치상의 치조제로 사용할 수 있는 가용공간이 매우 좁은 상태이다.
  • 납의치 시적 후 의치상용 레진을 중합하여 의치를 완성하였다. 최종 의치를 구강 내 장착한 후 내면조정을 통해서(Fit Checker II, GC Co., Tokyo, Japan) (Pressure indicating paste, Mizzy, Myerstown, PA, USA) sore spot을 제거하였고, 균일한 구치부 교합을 위해 교합조정을 시행하였다. 정상적인 중안모 외형을 재현할 수 없었지만 구순 지지가 향상되어 개선된 외형을 보여주었다(Fig.
  •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알지네이트로 예비 인상 채득하여 진단 모형 제작하였다. 잔존치 평가 결과 지대치로 부적합한 하악 우측 견치는 발치를 결정하였고, 최대한의 유지력을 얻기 위해 나머지 잔존치 모두를 지대치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 하악 의치 인공치 배열 과정에서 우측 구치부 교합점 형성을 위해 우측 제2대구치 부위의 인공치를 협측으로 배열하여 상악 obturator와의 교합점을 의도적으로 형성해 주었다. 하악의 좌측 편위로 인해 우측 상악 metal framework와 교합되는 인공치의 경우 구치부 교합력이 해당 인공치에 집중되어 통장적인 경우에 비해 레진 치아의 마모가 빨리 진행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 하악의 경우 우측 하악 제1소구치, 제1대구치에 guiding plane과 Aker’s clasp를 이용한 RPD를 계획하였으며 부분 절제술로 인해 좁아진 치조제 폭경과 얕아진 전정 깊이를 고려하여 의치상의 피개부분을 최소화하고, 교합압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제작하도록 하였다.
  • 환자의 좌측 하악체 부분 절제술로 인해 하악궁이 좁아졌고, 그로 인해 치조제의 협설측 폭경 또한 좁을 뿐 아니라 전정의 깊이가 얕고 각화치은양이 부족하여 의치상의 치조제로 사용할 수 있는 가용공간이 매우 좁은 상태이다. 환자가 metal framework 구강 내 시적 시, 혀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고 불편감을 호소하여metal framework의 arch form을 좀 더 협측으로 수정하여 재형성하였다.
  • 환자의 구강 내에서 습관성 폐구위로 유도하여 악간 관계를 채득하였다. 안궁 이전하여 반조절성 교합기(Artex, Girrbach Dental, Pforzheim, Germany)에 부착하고 환자의교합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상기환자는 58세 남성 환자분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obturator에 대한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총상으로 인해 부분적 인상, 하악 절제술을 받았고 그로 인해 상악obturator 하악 RPD를 사용 중인 상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bturator는 무엇인가? Obturator는 수술적 절제, 악안면부의 외상, 선천적 결손 등으로 인해 발생한 상악부의 결손을 회복하는 보철물로서 상악 결손을 채우고 구강과 상악동 또는 비강과 의차단을 재건하는데 사용된다.1 Beumer 등2은 obturator를 사용함으로써 저작과 연하, 발음 기능을 회복시키고 정상적인 구강악안면 외형을 회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하였다.
Obturator는 어떤 기준으로 분류가 가능한가? 유지력을 얻기 힘든 obturator의 경우 무게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택할 수있다. Obturator design 시 구개 결손 부위의 제작 형태에 따라 closed hollow type과 open hollow type으로 나뉠 수 있다. 두 형태 모두 장,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Chalian 등9에 의하면 open hollow type으로 제작 시 비강 내 분비물이 축적되어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고,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악안면부의 결손의 상태에 따른 기대 치료 효과는 어떠한가? 특히 구강 내 결손을 가진 환자 중 상악의 결손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보철적 치료의 필요성이 높다. 하악의 부분적 결손을 가질 경우 기능적 회복에 상당한 한계점을 보이나 양측 턱관절이 정상적으로 남아 있을 경우 국소의치를 이용한 악안면 보철물을 제작함으로써 양호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58세 남자 환자로서 안면부 총상으로 인한 구개부 및 좌측 하악 구치부 결손을 가진 분으로 obturator와 하악 RPD 재제작을 위해 내원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eyf F. Obturator prostheses for hemimaxillectomy patients. J Oral Rehabil 2001;28:821-9. 

  2. Beumer J, Curtis TA, Marunick M. Maxillofacial rehabilitation: Prosthodontic and surgical considerations. St. Louis, MO; Ishiyaku EuroAmerica, Inc.; 1996. 

  3. Aramany MA. Basic principles of obturator design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Part I: classification. J Prosthet Dent 1978;40:554-7. 

  4. Aramany MA. Basic principles of obturator design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Part II: design principles. J Prosthet Dent 1978;40:656-62. 

  5. Firtell DN, Curtis TA. Removable partial denture design for the mandibular resection patient. J Prosthet Dent 1982;48:437-43. 

  6. Shifman A, Lepley JB. Prosthodontic management of postsurgical soft tissue deformities associated with marginal mandibulectomy. Part I: Loss of the vestibule. J Prosthet Dent 1982;48:178-83. 

  7. Cantor R, Curtis TA. Prosthetic management of edentulous mandibulectomy patients. I. Anatomic, physiologic, and psychologic considerations. J Prosthet Dent 1971;25:446-57. 

  8. Parr GR, Tharp GE, Rahn AO. Prosthodontic principles in the framework design of maxillary obturator prostheses. 1989. J Prosthet Dent 2005;93:405-11. 

  9. Chalian V, Drane J, Standish S. Maxillofacial prosthetics. Williams & Wilkins Co., Baltimore; 1971. p. 133-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