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시광통신 기반 실내 IoT 모니터링 시스템
Indoor IoT Monitoring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Smart Phon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전자공학회논문지, v.54 no.4 = no.473, 2017년, pp.35 - 43  

오훈 (홍익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과) ,  이연재 (홍익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과) ,  박수빈 (홍익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과) ,  안현식 (홍익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과) ,  안병구 (홍익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최근 무선통신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는 가시광통신과 IoT(Internet of Things) 시스템을 융합한 실내 IoT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개발된 시스템의 주요한 특징과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내에서 발생하는 실제 데이터를 가시광 통신만을 사용하여 오직 서버를 통하여 가공 처리 할 수 있다. 둘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모니터링 한다. 성능평가는 보통의 형광등이 비추는 곳에서 실험을 하였다. 먼저 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송신 및 수신모듈간의 전송성공여부를 확인 한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LED의 집광 정도와 거리를 변화시켜 전송여부를 실험하고 제안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디코딩 성공률을 실험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 IoT 분야에도 응용 적용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 indoor IoT monitoring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smart phone with attracting attentions in recent wireless communication. The main features and contributions of the proposed system develop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actual data gene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위의 논문들에서의 데이터 수집과 모니터링 방법으로 RF통신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F통신을 하지 않고 가시광통신기반 IoT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 한다.
  • 그림 16은 전체 시스템 성능평가 환경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 성능평가 진행은 LED-to-LED 데이터 수집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LED-to-SmartPhone 모니터링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한다. 실험은 렌즈의 집광률에 따른 데이터 수신 거리를 측정하고, 본 논문이 제안한 어플리케이션의 디코딩 성공률을 측정한다.
  • 본 논문에서는 가시광통신만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내 IoT 시스템을 제안 하였다. 먼저 LED-to-LED 양방향 가시광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센서와 라즈베리파이를 부착하여 데이터 수집 시스템 모델을 제안 설계 하였다.
  • 14cm부터 낮아지는 디코딩 성공률은 제안된 스마트폰의 영상 처리과정에서 수신 모듈의 중심과 반지름의 길이를 측정하는 부분에서 더욱 정밀한 측정방법을 고안한다면 13cm 이후 거리에서도 높은 디코딩 성공률을 보여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로 IoT 플랫폼에 가시광통신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앞으로의 계획은 구현된 시스템에 동기화 부분을 연구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발전시키고 다양한 데이터를 동시 수집 가능하게 하며, 수집된 대량의 데이터를 가공 처리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기능을 탑재 시키도록 연구할 계획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시광통신의 장점은 무엇이 있나? 또한 가시광통신은 이외에도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가시광통신 기반 무선통신의 경우 RF 무선통신과 같은 사용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전 세계적으로나 각 국가별로 법 규제가 없어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고 전파가 제한된 곳에서의 활용성이 높다. 가시광을 주파수 대역에서 보면 수백THz 이상의 고주파 대역에 위치하므로,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저주파 대역에 민감한 전자 전기 정밀기기들에 대한 전자기파의 영향이 없으며, 기존 RF통신기술 기반의 단거리 및 실내 무선 통신 서비스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가시광통신에 사용되는 LED 조명은 기존에 사용하던 형광등과 백열등에 비해 광원 효율이 뛰어나며, 응답시간이 빠르고 5만 시간이상의 긴 수명을 가지고 있다. 에너지 전환 효율이 뛰어나 열 손실이 거의 없어 90%의 전기 효율을 향상시킨다[3~5].
가시광통신이 외부 칩임을 막을 수 있는 이유는? 가시광통신은 이러한 외부 침입에 의한 보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기술로 판단되고 있다. 가시광통신은 RF무선통신과는 달리 장애물을 통과 할 수 가 없다. 따라서 외부 침입을 막을 수 있다.
LED-to-LED 양방향 가시광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안된 시스템에서 최고의 성능을 가지는 집광각도를 찾고 디코딩 성공률 측정을 위해 진행한 실험은? 제안된 시스템에서의 최고의 성능을 가지는 집광각도를 찾고, 그에 따른 디코딩 성공률을 측정하기 위해 실험을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여 집광각도 변화에 따른 전송 성공 여부를 실험을 하였고, 데이터 수집 시스템과 모니터링 시스템을 합친 전체 시스템 평가로는 거리 변화에 따른 제안된 스마트폰 소프트웨어의 디코딩 성공률을 실험 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에서 LED의 집광 각도가 20도 일 때 가장 먼 거리까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였고, 6cm부터 13cm까지 높은 디코딩 성공률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eung Wan Jo, Hoon Oh, Kyusung Shim, Kyuhyun Shim, Jongmyung Lee, and Beongku An, "Development of Mobile Cloud Computing Client UI/UX based on Open Source SPIC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53, No. 8, 1234-1240, August 2016. 

  2. Ki-Hwan Kim, Dae-Cheol Kim, Yong-Tae Shin, "The Study for Trends of Internet of Things and Next-generations' Security Technologies,"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16, No. 2, 69-70, October 2015. 

  3. Chao Wang, Minglun Zhang, Hetian Zhu, Xujing Guo, Xiangwen Zhai and Xiaonan Bai,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pplication scenarios based on android smart devices' led lamp," Proc. of ICOCN 2015, Nanjing, July 2015. 

  4. S. Singh, G. Kakamanshadi and S. Gupta, "Visible Light Communication-an emerg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Proc. of RAECS 2015, Chandigarh, December 2015. 

  5. Seung Wan Jo, Hoon Oh and Yeon Jae Lee, "LED-to-LED Two Way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53, No. 1, 79-85, January 2016. 

  6. J. A. Baloch, S. Ahmed, S. Shigrii and J. R. Bhatti, "MUETSenses: A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indoor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Proc. of ISAP 2015, Hobart, November 2015. 

  7. Jeong-Won Kim, "A Smart Home Prototype Implementation Using Raspberry Pi,"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0, No. 10, 1139-1144, October 2015. 

  8. Michail Vasilakis, "DynaLight: A Dynami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Link for Smartphones,"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December 2015. 

  9. Christos Danakis, "Using a CMOS CameraSensor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EEE Workshop on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s,1244-1248, December 2012. 

  10. Keith B. Hunter, James M. Conrad and Andrew R. Willis,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a Digital Camera and an LED Flashlight," IEEE SOUTHEASTCON 2014, Lexington, 1-5, March 2014. 

  11. Kil-Sung Park, "Development of tranceiver using Flashlight and camera in VLWC,"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Letters, Vol. 77, 23-32, December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