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액(水液) 및 진액(津液) 생리(生理)와 담음(痰飮) 병리(病理)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ology of Humor and Body fluid and Pathology of 'Phlegm-retained fluid'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1 no.1, 2017년, pp.1 - 7  

이정혁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김병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two kinds of body fluid metabolism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ased on 'Internal Classic'("內經"); one is metabolism of body fluid(津液) meaning metabolism of physiological substance, and another is metabolism of humor meaning a metabolic process that excretes waste out of the body. 'Phl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연구가 되었던 痰 飮 에 대한 문헌고찰을 시행하여, 痰 飮이 津 液 대사의 이상에 가까운지 水 液 대사의 이상에 가까운지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痰 飮이 어떤 生 理 기전 이상에서 나왔는지를 확인해볼 것이다. 그를 통해서 인체의 체액 대사의 한방생리학적 인식 정립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임상에서 체액 대사 이상으로 인한 질환의 치료에 있어 각종 치료법의 감별점을 제시하는 근거로 삼고자 한다.
  • 한의학에서의 체액 대사에 해당하는 水液, 水濕, 津液 등의 개념에 대해서 『黃帝內經』에서 어떻게 다뤘는지를 조사해보고, 이 안에서 각각의 개념을 세분화할 수 있을지를 확인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체의 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인체의 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체액의 대사이다. 물은 세포의 기본적인 액성 중간매체로서 지방세포를 제외한 세포들의 구성성분 중 70-85%를 차지한다.
현대의 생물학에서 체액 대사를 구체적인 두 가지로 구별한다면 각각 어떤 내용인가? 현대의 생물학, 생리학적 관점에서의 체액 대사는 체내의 생리적인 수분 물질들의 생성 및 작용과 그 순환 및 여분 물질들의 원활한 배출 등으로 제시된다. 이는 영양물질을 흡수하여 인체생리적 대사에 활용하는 분야를 포괄하는 영양물질의 작용과 관련된 대사와 체내 수분을 순환시키고 체외로 배출하면서 전체적인 인체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체액 자체의 대사 두 가지의 대사로 구별될 것이다. 이 내용에 대해서 한의학의 기본 生 病 理 이론을 제공하는 『 黃帝內經』을 조사하고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액은 어떤 것을 지칭하는 정의 인가? 체액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개체의 항상성에 필수적이고, 이 유지의 실패는 임상적으로 중대한 문제의 원인이 된다4). 또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의 필수 영양소와 무기질, 비타민 등의 기타 영양소들이 모두 물에 녹아서 인체를 영양한다. 이와 같이 물과 무기염류 및 영양물질의 합으로 구성되어있는 인체의 액체 물질 전반을 체액(fluild)으로 정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ohn Hall. Medical Physiology. Seoul: Pan Mun Education; 2012. 11 p, 297 p. 

  2. Professor of Physiology, the National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Oriental Medical Physiology. Seoul: Jip Moon Dang; 2008. p. 156-7. 

  3. Lee BG, Park YB, Kim JH. Oriental diagnostics - bianzheng. Seong Nam: SeongBoSa; 2012. 53 p. 

  4. Chao YF. Zhubingyuanhoulun. Beijing: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8 p. 398-404. 

  5. Kim KW, Jang JS. Huangdi Neijing - Suwen. Seoul: Bub In Books; 2015. 77 p, 97 p, p. 142-3, 203 p. 

  6. Kim KW, Jang JS. Huangdi Neijing - Lingshu. Seoul: Bub In Books; 2015. p. 136-9, p. 187-8, 205 p. 

  7. Jin E. Sanyin fang. Seoul: Han Sung Sa; 1977. p. 467-76. 

  8. Yang SY. Renzhai Zhi Zhi Fang. Seoul: Dong Ui Sa; 1978. p. 110-3. 

  9. Jin JP. New Edition of Notes Yi Xue Ru Men. Seoul: Bub In Books; 2009. p. 1251-6, p. 2068-9. 

  10. Oriental Literature Research. New Edition of Transition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 Seoul: Bub In Books; 2012. p. 365-82. 

  11. Jin DS. Various theories - Chinese. Seoul: Daesung Publishing Company; 2001. p. 282-3. 

  12. Jang GB. Jing Yue Quan Shu. Seoul: Bub In Books;2007. p. 537-47. 

  13. Seop CS. Jing Yue Bal Jin. Seoul: Yeopoong Publishing Company; 1973. p. 211-4. 

  14. Dang JH. Xue Zheng Lun. Seoul: Iljoong Company; 1997. p. 144-6. 

  15. Um YH. Yan Shi Ji Sheng Fang. Beijing: Renmin Weisheng Chubansh; 1980. p. 78-80. 

  16. Jin JP. Medical book of Jin Yuan si dajia Vol.1. Seoul: Bub In Books; 2007. p. 105-8, 563 p, p. 273-8. 

  17. Otsuka KT. lecture of Gumgueyolak. Seoul: Euibang Chubanshe; 2004. p. 218-51. 

  18. Shin MG. New Edtions of Bang Yak Hap Peun. Seoul: Yeonglim Company; 2011. p. 82-3. 

  19. Son IG. Complete Works of Chishui xuanzhu. Seoul: Eui Seong Dang; 1993. p. 242-4. 

  20. Cho HG. Yi Guan. Beijing: Zhongguo Yiyao Chubanshe;2009. 

  21. Jang GB. Lei Jing. Seoul: Bub In Books; 2006. p. 62-3. 

  22. Kim JH, Park HM. Study on the Recognition on Phlegm-retained fluid of Five Physicians in the Onbo School.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12;26(6):864-8. 

  23. Cho HS. Modern approach of the discourse on viscera and bowels and retrogressive disorder.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0;12(1):87. 

  24. Yang DH, Park YJ, Park YB. A Fundamental Study for Making a Questionnaire of Blood Stasi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5;9(1):8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