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력발전소 고전력 케이블의 누설 전류 측정 데이터의 표준 편차값을 사용한 절연감시 데이터 분석
Analysis of Monitored Insulation Data Using Standard Deviation of Leakage Current Data in High-Power Cables at a Thermoelectric Power Station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17 no.2, 2017년, pp.245 - 250  

김보경 (오성메가파워) ,  엄기홍 (한세대학교 IT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케이블은 설치하여 동작함과 동시에 열화과정이 진행된다. 고압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 케이블의 절연층 및 방식층의 절연상태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연결하는 단말부 및 접속부의 절연상태도 함께 감시하여야 케이블 시스템의 절연상태를 종합 관리할 수 있다. 케이블 시스템(케이블 자체 및 접속재)의 상태가 계속 나빠지는 경우, XLPE의 절연 파괴현상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한다. 우리는 케이블시스템의 절연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장비를 개발하여 충남 태안의 한국 서부발전주식회사(Korea Western Power Co. Ltd.)에 설치하였다. 이 논문에서, 이 장비를 사용하여 케이블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추출하여 누설전류의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정해진 누설 전류의 표준 편차값이 기준값 미만이면 안전하지만. 그 이상이면 케이블시스템의 단말부 및 접속부의 절연상태가 나쁜 것으로 판단하고, 새로운 케이블시스템의 단말부 및 접속부로 대체함으로써 전력공급 중단으로 인한 전력설비의 중단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the instant of installation and operation, power cables start deteriorating. Cable systems can be maintained not only by monitoring the insulation status of the insulation layer and oversheath, but also the insulation status of the terminal and junction in high-voltage power cables. When the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전력 케이블 시스템의 상태가 나빠지는 경우, 절연 파괴현상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한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충남 태안에 위치한 화력발전소, 한국서부발전주식회사(Korea Western Power Co. Ltd.)에서 설치되어 동작 중인 6.6 kV 케이블의 열화 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우리가 개발한 장비를 설치하였다. 장비를 사용하여 고전력 케이블의 누설전류의 표준편차를 측정하였다.
  • )에서 운전 중에 있는 고전력 케이블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우리가 개발하여 설치한 장비를 소개한다. 이 장비를 사용하여 누설 측정한 결과 즉, 케이블의 열화 과정을 나타내는 결과를 제시한다.
  • 우리는 이 논문에서 케이블의 운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즉, 활선 상태에서 케이블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였다. 화력발전소들 중의 하나로서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Korea Western Power Co. Ltd.)에서 운전 중에 있는 고전력 케이블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우리가 개발하여 설치한 장비를 소개한다. 이 장비를 사용하여 누설 측정한 결과 즉, 케이블의 열화 과정을 나타내는 결과를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케이블 시스템의 상태가 계쏙 나빠지는 경우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고압전력케이블 시스템에 있어, 케이블의 절연층 및 방식층의 절연상태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연결하는 단말부 및 접속부의 절연상태도 함께 감시하여야 케이블 시스템의 절연상태를 종합 관리할 수 있다. 케이블 시스템(케이블 자체 및 접속재)의 상태가 계속 나빠지는 경우, XLPE의 절연 파괴현상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한다. 우리는 케이블시스템의 절연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장비를 개발하여 충남 태안의 한국 서부발전주식회사(Korea Western Power Co.
석탄화력 발전소가 화력발전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신재생 에너지는 주력 발전원이 되기에는 아직 기술적, 경제적 한계가 있으며, 여러 가지 비현실적인 부분이 존재한다[2,3]. 석탄화력 발전소는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저비용으로 안정적인 전력수급에 기여한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화력발전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며, 아직 이를 대치할 대안이 현재로서는 없다[4,5,6]. 정부가 해야 할 최선의 조처는 화력발전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되 그 대신 뒤따르는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 방향의 정책을 수립해야할 것이다[7,8].
6.6 kV 케이블의 열화 상태를 감시한 결과는? 6 kV 케이블의 열화 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우리가 개발한 장비를 설치하였다. 장비를 사용하여고전력 케이블의 누설전류의 표준편차를 측정하였다. 이값들이 기준 한계치 이하의 값을 나타내므로 케이블들의단말 및 접속부의 절연상태는 매우 양호한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 

  2. http://www.knea.or.kr, 

  3.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339 

  4. IEEE-Std-43-2000,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TestingInsulation Resistance of Rotating Machinery", IEEE Power & Energy Society, p. 18, Mar, 2000. 

  5. http://ecmweb.com/ops-amp-maintenance/basicsinsulation-resistance-testing 

  6. K. H. Um, K. W. Lee, "A Linear Change of Leakage Current and Insulation Resistance of 22 kV Cables", Journal of the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5, no. 3, pp. 169-173, 2015. DOI: http://dx.doi.org/10.7236/JIIBC.2015.15.3.169 

  7.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70594441 

  8.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 php?aid2016070467591 

  9. K. H. Um, K. W. Lee, "Development of Equipment Measuring Insulation Resistance of High-Power Cables in Operation at Power Station", Journal of the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1 16, no. 4, pp. 159-164, 2016. DOI: http://dx.doi.org/10.7236/JIIBC.2016.16.4.159 

  10. S. J. Oh,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sPEEK Electrolytic Membranes using Physical Crosslink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JKAIS), Vol. 17, No. 1, pp. 433-440, 2016. 

  11. K. H. Um, K. W. Lee, "Linearity Verification of Measured Voltage Deterioration of High Voltage Cable based on Weibull Lifetime Index", Journal of the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115, no. 3, pp.169-173, 2015. DOI: http://dx.doi.org/10.7236/JIIBC.2016.16.1.227 

  12. K. H. Lee, "The Condition Assessment of MW Power Cables Using the VLF $tan{\delta}$ Diagnostic Technology", p.32, MS dissertation, Department of Marine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Mok-Po National University,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