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자궁경부암검사(Pap test) 행위의도 예측 경로모형
A Prediction of Behavioral Intention on Pap Screening Test in College Women: A Path Model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1 no.1, 2017년, pp.135 - 148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신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한림대학교 간호학연구소) ,  조해련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  임영숙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effects of behavioral intention on pap screening tests in unmarried college women using a path model.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216 university student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knowledge, attitude,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규범이 미혼 여대생의 Pap test에 대한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혼 여대생의 Pap test와 관련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대상자의 주관적 규범을 고려하여 건강전문가가 Pap test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체계가 될 것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Ajzen (1991)의 계획적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미혼 여대생의 Pap test의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정하여 미혼 여대생의 Pap test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경로모형에서 미혼 여대생의 Pap test의 행위 의도에 대한 총 효과가 가장 높은 요인은 Pap test에 대한 주관적 규범이었다.
  • 본 연구는 계획적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미혼 여대생의 Pap test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경로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미혼 여대생의 Pap test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시행한 연구로, 여대생을 대상으로 Pap test를 장려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미혼 여자 대학생의 Pap Test 행위의도 예측 경로모형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혼 여대생을 대상으로 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Pap test 행위의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미혼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이유는 자궁경부암 검진 권고안에 따르면 매 3년마다 검진을 실시해야 함에도(Mayer, 2012) 불구하고,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젊은 여성 특히 미혼의 경우는 Pap test를 금기시하고 있는 잘못된 신념에 따라 검진 실시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현실에(Kim, 2014-a) 근거해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궁경부암의 발병률은 주로 언제 증가하나?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가 주요원인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흔히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성질환이다. 자궁경부암은 30세 이후부터 발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자궁경부암이 발생할 때까지 대략 10-25년 정도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20대 초반의 연령부터 예방적 관리가 요구된다(Moyer, 2012). 이에 2012년 개정된 미국 자궁경부암 검진 권고안에 따르면 성 경험 유무에 관계없이 21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3년마다 자궁경부세포도말검사(Papanicolaou Test[Pap test])를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American Cancer Society, 2012).
자궁경부암의 주요원인은?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가 주요원인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흔히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성질환이다. 자궁경부암은 30세 이후부터 발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자궁경부암이 발생할 때까지 대략 10-25년 정도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20대 초반의 연령부터 예방적 관리가 요구된다(Moyer, 2012).
미혼 여자 대학생을 위주로 한 자궁경부암 연구의 목적은? 첫째, 대상자의 Pap test 행위의도 관련 요인을 파악한다. ∙둘째, 대상자의 Pap test 행위의도 예측모형에 대한 직접, 간접, 총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변수들 간의 관계 및 그 효과를 규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http://dx.doi.org/10.1016/0749-5978(91)90020-T 

  2. American Cancer Society. (2012, March 14). Can cervical cancer be prevented? Retrieved March 29, 2017, from http://www.cancer.org/Cancer/CervicalCancer/DetailedGuide/cervicalcancer-prevention 

  3. Bae, B. R.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CheongRam Publishing. 

  4. Cermak, M., Cottell, R., & Muran J. (2010). Women's knowledge of HPV and their perceptions of physician educational efforts regarding HPV and Cervical Cancer. Journal of Community Health, 35(3), 229-234. http://dx.doi.org/10.1007/s10900-010-9232-y 

  5. Duffett-Leger, L. A., Letoumeau, N. L., & Croll, J. C. (2008). Cervical cancer screening practices among university wome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7(5), 572-581. http://dx.doi.org/10.1111/j.1552-6909.2008.00276.x 

  6. Fletcher, P. C., & Bryden, P. J. (2005). Preliminary examination of cervical health practices and knowledge among university aged females. College Student Journal, 39, 469-477. 

  7. GLOBOCAN (2013). Estimated Cancer Incidence, Mortality and Prevalence Worldwide in 2012.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cited 2017 February 10]. Available from: http://globocan.iarc.fr 

  8. Jung E. C., & Jin, C. H. (2011). Breast and cervical cancer communication channels and screening intentio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19(2), 139-162. 

  9. Kang, Y. S., Kwon, I. S., & Hong, E. Y. (2016). The effects of integrated intervention for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self care agenc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3), 445-456. http://dx.doi.org/10.5932/JKPHN.2016.30.3.445 

  10. Kim, H. W. (2009). Effects of HPV-linked cervical cancer prevention education on unmarried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Academy of Nursing, 39(4), 490-498. 

  11. Kim, H. W. (2014-a). Awareness of pap testing and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 to undergo pap testing by level of sexual experience in unmarried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results from an online survey. BMC Women's Health, 14, 100. http://dx.doi.org/10.1186/1472-6874-14-100 

  12. Kim, H. W. (2014-b). Influencing factors of intention of undergoing pap testing among unmarried nurs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3), 225-233. http://dx.doi.org/10.4069/kjwhn.2014.20.3.225 

  13. Ko, Y. H. (2016). Physical activity,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of women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screening, the screening attitude multiplicative influence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439-449. http://dx.doi.org/10.14400/JDC.2016.14.7.439 

  14. Lee, E. J., & Park, J S. (2011).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health beliefs and human papilloma vaccination rat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1(1), 65-73. http://dx.doi.org/10.5388/jkon.2011.11.1.65 

  15. Lee, S. J., & Park, H. S. (2013). The caus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on the occurrence of cancer in adults observed in one region. Korean Journal of Safety Education, 9(2), 93-116. 

  16. Lee, Y. E., Park, J. S., & Choi, E. J. (2013). The exac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human palillomavirus vaccination-related health belief and vaccination r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Maternal & Child Health, 17(1), 27-37. 

  17. Lee, H. S., Park, H. N., Kim, K. H., Kim, M. R., Kim, M. G., Kim B. N., et al. (2015). A study on nursing and non-nursing colleg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of HIV/ADIS and hepatitis B.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3), 474-487. http://dx.doi.org/10.5932/JKPHN.2015.29.3.474 

  18. Liou, H. I., Ling, X. M., Feng, M. X., Guo, Y. L., & Chen, M. Y. (2009). Responses, action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 among rural taiwanese women with abnormal papanicolaou test. Public Health Nursing, 26(2), 134-143. http://dx.doi.org/10.1111/j.1525-1446.2009.00764.x 

  19. Moyer, V. A. (2012). Screening for cervical cancer: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6(12), 880-891. http://dx.doi.org/10.7326/0003-4819-156-12-201206190-00424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July).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ject Information (Issue Brief No. 11-1532000-000206-10). Sejong: Author. 

  21. Rosenthal, S. L., Weiss, T. W., Zimet, G. D., Good, M. B., & Vichmin, M. D. (2011). Predictors of HPV vaccine uptake among women aged 19-26: Importance of a physician's recommendation. Vaccine, 29(5), 890-895. http://dx.doi.org/10.1016/j.vaccine.2009.12.063 

  22. Statistics Korea. (2012, June 15). National cancer screening rates. Retrieved August, 28, 2012, from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440 

  23. Yoo, H. R., Boo, S. J., Chun, M. S., & Jo, E. M. (2015).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self-management program for patients at thyroid cancer-diagnosis stage: a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3), 582-593. http://dx.doi.org/10.5932/JKPHN.2015.29.3.5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