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공에 미치는 메이크업의 영향력 및 메이크업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Perception about Makeup Influence on Man's Makeup and Their Succes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4, 2017년, pp.231 - 237  

박장순 (송원대학교 뷰티예술학과) ,  권혜진 (숭실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 인천, 광주시에 거주하는 10~40대 남성 240명을 대상으로 남성 메이크업에 대한 7가지 항목별 인식차이를 조사하여, 남성들이 선호하는 메이크업 항목과 남성 메이크업 사용자들에 대한 인식 및 성공에 미치는 외모 영향력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남성 뷰티시장 활성화 및 상품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남성들은 사회적 성공에 외모가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고 생각하였으며, 특히 자신들의 성공에 외모가 50%이상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전체 23.3%를 차지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메이크업 항목은 컨실러, 컬러로션, 비비크림으로 전체 응답자 중 60.8%가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초색조 화장품은 이미 남성들의 필수 제품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사용량이 적은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항목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고, 전반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미혼인 경우, 도시거주자인 경우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자료를 토대로 성공을 지향하는 남성 소비자들을 위한 다양한 메이크업 상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을 실행한다면 남성 뷰티 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perception by 240 males in their teens, 20s, 30s, and 40s residing in Seoul, Incheon, and Gwangju about seven items for male makeup, and analyzed makeup items preferred by men, perception about male makeup users, and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and appeara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 인천, 광주시에 거주하는 10∼40대 남성들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남성 메이크업에 대한 항목별 인식차이를 조사하여 점차 증가하고 있는 남성 메이크업 사용자들에 대한 인식과 성공에 미치는 외모 영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지금까지 이러한 남성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는 한국 남성의 화장품에 대한 사용 실태와 요구도에 관한 연구[5], 남성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6], 남성들의 외모관리 의식과 행동에 따른 남성 메이크업 인식 연구[7], 남성 메이크업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 지각 연구[8] 등 남성 화장품 및 메이크업에 대한 연구가 꾸준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남성들이 생각 하는 외모가 성공에 미치는 정도, 실제 남성들이 바라보는 남성 메이크업 사용자에 대한 인식, 남성 메이크업에 대한 인식과 성공에 미치는 외모 영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성들의 메이크업 항목을 베이스에 해당하는 컨실러, 컬러로션, 비비크림, 립 메이크업에 해당하는 립글로스, 눈썹 메이크업 2가지에 해당하는 눈썹 손질 및 그리기, 눈썹 문신, 아이 메이크업 3가지에 해당하는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등 총 7가지로 나누어 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특히 성공에 미치는 외모 영향력의 인지 정도에 따른 남성 메이크업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사회적 성공을 지향하는 남성 소비자들을 위한 상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성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 이러한 남성들의 소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인식 변화는 사회 심리적 가치와 타인의 인식에 영향을 쉽게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남성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는 한국 남성의 화장품에 대한 사용 실태와 요구도에 관한 연구[5], 남성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6], 남성들의 외모관리 의식과 행동에 따른 남성 메이크업 인식 연구[7], 남성 메이크업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 지각 연구[8] 등 남성 화장품 및 메이크업에 대한 연구가 꾸준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남성들이 생각 하는 외모가 성공에 미치는 정도, 실제 남성들이 바라보는 남성 메이크업 사용자에 대한 인식, 남성 메이크업에 대한 인식과 성공에 미치는 외모 영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성들의 메이크업 항목을 베이스에 해당하는 컨실러, 컬러로션, 비비크림, 립 메이크업에 해당하는 립글로스, 눈썹 메이크업 2가지에 해당하는 눈썹 손질 및 그리기, 눈썹 문신, 아이 메이크업 3가지에 해당하는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등 총 7가지로 나누어 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특히 성공에 미치는 외모 영향력의 인지 정도에 따른 남성 메이크업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사회적 성공을 지향하는 남성 소비자들을 위한 상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2년 남성 화장품 출원 상표만 39개로 전년대비 85% 증가하는 추세의 원인은 무엇인가? 2013년 LG생활건강 연구소의 보고에 의하면 기초화장품과 기능성화장품 그리고 비비크림 등 색조 화장품을 포함한 남성화장품 시장 규모는 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발표되었고[2],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12년 남성 화장품 출원 상표는 무려 39개로 전년대비 85% 증가율을 보였다[3]. 이는 단순 기초 화장품만을 사용하던 남성들이 점차 아이크림, 비비크림, 컨실러, 립밤 등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메이크업 아이템으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외모 관리와 소비 행동은 개인적인 가치 뿐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직장생활과 사회생활을 하는 남성들에게는 더욱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다[4].
남성화장품 시장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현대 남성들은 그들의 욕구표현 수단으로 또는 상대에게 좋은 이미지나 인상을 주기 위해 자신의 외모 가꾸는 일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고 이러한 남성들의 증가는 화장품 및 패션 시장의 활성화를 가져오고 있다[1]. 2013년 LG생활건강 연구소의 보고에 의하면 기초화장품과 기능성화장품 그리고 비비크림 등 색조 화장품을 포함한 남성화장품 시장 규모는 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발표되었고[2],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12년 남성 화장품 출원 상표는 무려 39개로 전년대비 85% 증가율을 보였다[3]. 이는 단순 기초 화장품만을 사용하던 남성들이 점차 아이크림, 비비크림, 컨실러, 립밤 등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메이크업 아이템으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Yim, "A Study on Attitudes toward Man's Appearance Management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Master of Sook myung Women' Univ. 2012. 

  2. 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3&c103&c203&c300&nkey201602012119553&modesub_view 

  3. Statistics Korea :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4. H. K. Kim, "Effects of Psychosocial Consciousnes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males workers in 20s and 30s", J. of The Dgital Design, Vol. 14, No. 4, pp. 319-327, 2014. 

  5. B. Kim, "Study concering research and requirement about korea men's cosmetics," Master of Konkuk Univ. 2010. 

  6. Han-A Kim,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for using cosmetics and on the purchasing behaviors of me," Master of Sook myung Women' Univ. 2012. 

  7. Seo-Hyeo Lee, "A Study on the Men's Make-Up Recognition According to Men's Appearance Management Consciousness and Behavio" Master of Dongduk Women's Univ. 2012. 

  8. S. Lim, Study on Recognition & Image Perception about Men′s Make-up. Wonkwang University, Ph.D. thesis, 2011. 

  9. H. K. Kim, "Effects of Psychosocial Consciousnes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males workers in 20s and 30s" Konkuk University, Ph.D. thesis, 2013. 

  10. H. K. Kim,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ale's Make-up" J. of The Dgital Convergence, Vol. 10, No. 11, pp. 625-640, 2012. 

  11. M. H. Kim, "A study on the pattern of men's cosmetic use and related factors" Master of Dongduk Women's Univ. 2012. 

  12. E2cast : http://www.e2cast.com/news.php?nm196 

  13. S. Y. Hwang, "Reality of Usageand Perception Survey for Each Male Color Make-up Product" Master of konyang Univ. 2014. 

  14. http://www.mfds.go.kr/index.do 

  15. E. J. Kang, "The Influence of the Eyebrow Make-up on Facial Image" J.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 Beauty, Vol. 3, No. 2, pp. 31-38, 2005. 

  16. E. H. Woo, "Study on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Cosmetic Behavior about Semi-permanent Make up of Women's" Master of Hannam Univ. 2015. 

  17. Su-Ha Park, Hye-Jin Kwon, “Customer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about Cosmeceutica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2, pp. 459-464,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