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의건강상담이 건강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Korean medicine health counseling on health perception change and satisfaction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21 no.1, 2017년, pp.19 - 30  

이은영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장은수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김수정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백영화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문수정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health perception, satisfaction survey and lifestyle in Korean medicine counseling for Daejeon University faculty members. Methods : In this study, the demographic questionnaire, lifestyle habit questionnaire, Mibyeong questionna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 소재의 한 사립대학의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의건강상담이 개인의 건강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교직원의 평균 연령은 45±9세였으며, 교직원 특성상 40대 이상이 많은 분포를 차지했다.
  • 본 연구에서는 한의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한 한의건강상담을 통해서 교직원이라는 특정그룹에서의 건강인식변화 및 만족도 설문과 생활습관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한의건강상담은 건강 인식 변화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소재의 한 사립대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의진단, 한의건강상담 그리고 생활습관과 관련한 설문을 수행하고, 한의건강상담이 개인의 건강인식, 건강행위 그리고 건강관리변화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인구학적 특성 및 생활습관에 따라 건강인식변화 및 만족도 설문에서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다
  • 교직원의 평균 연령은 45±9세였으며, 교직원 특성상 40대 이상이 많은 분포를 차지했다. 한의건강상담은 본 연구를 이해하고 동의한 자 중에서 만족도 설문조사에 응한 대상자 189명을 대상으로 한의건강상담이 개인의 건강인식 변화와 건강실천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상담의 정의는? 건강상담이란, 건강에서 질병상태로 변질되어 가는 과정에 반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상태를 향상 시켜 긍정적인 생각으로 개인의 건강 행위와 생활 방식을 유도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건강과 질병은 하나의 연속선상에 존재하므로 언제든지 건강에서 질병으로, 또는 질병에서 건강으로 유동적인 변화의 흐름을 갖고 있으므로, 건강상담을 통해서 건강증진을 도모하여 건강상태에 머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1).
건강과 질병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건강상담이란, 건강에서 질병상태로 변질되어 가는 과정에 반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상태를 향상 시켜 긍정적인 생각으로 개인의 건강 행위와 생활 방식을 유도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건강과 질병은 하나의 연속선상에 존재하므로 언제든지 건강에서 질병으로, 또는 질병에서 건강으로 유동적인 변화의 흐름을 갖고 있으므로, 건강상담을 통해서 건강증진을 도모하여 건강상태에 머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1). 건강상담의 개념은 여러 연구에서 사회심리 중재라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미 20년 전부터 많은 연구에서 상담을 기반으로한 임상적 개입이 심리적, 신체적 증상 개선에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2).
개인의 평소 생활습관을 조사하는 설문으로서 흡연력, 음주력, 식습관에 대해 정보를 수집하였는지 질문지는 각각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가? 개인의 평소 생활습관을 조사하는 설문으로써, 흡연력, 음주력, 식습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흡연 설문의 경우, 현재 시점에서의 흡연 여부를 묻는 설문으로써, ‘현재 흡연중’, ‘과거에는 흡연 경험이 있으나 현재 금연’, ‘흡연 경험 없음’으로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음주의 경우에도 ‘현재 음주중’, ‘과거에는 음주 경험이 있으나 현재 금주’, ‘음주 경험 없음’으로 동일하게 구성 되어 있다. 식습관의 경우, 평균적으로 하루에 몇 끼 식사를 하는지 응답하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이광자. "건강상담"에 관한 도서들 : 천자서평1(千字書評): 건강 상담 심리. 상담과선교. 2013:80(0):144. 

  2. 심지은, 윤효균. 상담자 교육에서의 마음챙김적용. 한국심리학회지. 2008:13(2):307-328. 

  3. 원미화. 교육상담 기반 심장재활 프로그램이 노인 관상동맥질환자의 심혈관위험도, 건강행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5:15(6):303-313. 

  4. 이승지. 건강관련 습관에 관한 조사연구. 동국대학교의과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5. 김혜련. "건강형평성에서 건강행태의 함의와 정책 과제". 2009:(149):36-47. 

  6. McGinnis J, Michael Foege, William H. Actual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JAMA. 1993:270(18):2207-2212. 

  7. 정소붕, 천금석. 주관적 건강관련인식과 비만지수와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2006:17(4):569-576. 

  8. 김현, 이석구. 지역사회 대상의 개인별 건강상담서비스 프로그램 중재효과: 건강원스톱서비스사업.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2:29(2):13-21. 

  9. 함옥경, 유재복. 일 지역 보건소 금연클리닉 이용자의 흡연유혹 자기 효능감 및 금연상담 만족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8:22(2):246-254. 

  10. 류준범, 이세원, 김순나, 음주운전자 대상 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교통연구. 2014:21(4):119-134. 

  11. 조미영, 이해정, 이화자, 박형숙. 문제해결상담프로그램이 아동의 비만지수와 건강습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2014:34(7):1224-1233. 

  12. 도민희, 이상선, 정파종, 이민혁. 영양상담이 유방암 수술환자의 영양상태 식습관 및 영양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2003:37(7):557-565. 

  13. 이영섭, 백영화, 박기현, 전희정, 이시우. 이상증상 기반 미병 분류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6:20(3):45-53. 

  14. YK Lee et al.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value in health. 2009:12(8):1187-1193. 

  15. 김윤영, 장은수. 단축형 사상체질 진단 설문지(KS-15)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6:30(3):177-183. 

  16. 신은선. 김수진.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금연지식, 금연태도 및 금연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16(16):444-455. 

  17. 김지윤, 임영진. 긍정심리상담의 효과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우울증상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015:22(1):1-10. 

  18. 김금자, 이명선. 관상동맥질환자의 동기요인과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2007:10(2):125-133. 

  19. Yun KJ. Factors associated with distorted self-perception of body weight in Korean adult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2006. 

  20. 김종성, 조비룡. 건강검진 수검자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관련 행위의 연관성. Korean J Fam Med. 2010:31(9):688-696. 

  21. 박샛별. 일개 직장에서 직장인을 대상으로 흡연, 음주, 스트레스와 관련된 건강에 대한 인식도 조사. Korean J Fam Med. 2001:22(12):1814-1822. 

  22. 김혜경. 효과적 건강상담을 위한 제 보건행동이론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2:19(1):149-170. 

  23. S. D. Barnett, L. S. Halpin. "Functional status improvement in elderly follow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J Nurs Care Qual. 2003:18(4):281-287. 

  24. 한미아, 류소연, 박종, 강명근, 박종구, 김기순. "일부 농촌지역 성인에서 EQ-5D를 이용한 건강관련 삶의 질". 예방의학회지. 2008:41(3):173-180. 

  25. K. Burstrom M, Johannesson, F Diderichsen. "Swedish populat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using the EQ-5D". Qual Life Res. 2001:10(7):621-635. 

  26. 김태희. 패밀리 레스토랑 고객 특성에 따른 영양과 건강메뉴에 대한 태도 연구. Korean J Food culture. 2002:17(5):629-637. 

  27. Ovesen L, Allingstrup L, Hannibal J, Mortensen EL, Hansen OP. Effect of dietary counseling on food intake, body weight, response rate,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J Clin Oncol. 1993:11(10):2043-2049. 

  28. 김세봉, 변상해.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2:12(1):447-459. 

  29. Letourneau JM et al. Pretreatment fertility counseling and fertility preservation improve quality of life in reproductive age women with cancer. Cancer. 2012:118(6):1710-7. 

  30. Linn MW, Linn BS, Harris R. Effects of counseling for late stage cancer patients. Cancer. 1982:49(5):1048-1055. 

  31. Badger T et al. Telephone interpersonal counseling with women with breast cancer: symptom 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Oncol Nurs Forum. 2005:32(2):273-279. 

  32.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1. 

  33. Kim SH et al.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among the middle-aged in Korea. Korean J Nutr. 2010:27(3):236-252. 

  34. Kim HR et al. Provisional national nutrition targets and strategies for health promotion of Koreans. Korean J Community Nutr. 1996:1(2):161-177. 

  35. 정혜경, 이해영. 우리나라 일부지역 연령대별 건강기능식품 이용 실태.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2011:17(2):190-2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