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디 공분산 기반의 플럭스 타워 관측자료를 이용한 국내외 산림과 농업 생태계 탄소 흡수량 분석
Estimating carbon uptake in forest and agricultural ecosystems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using eddy covariance flux data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6 no.2, 2017년, pp.127 - 139  

이보라 (바이로이트대학교) ,  강완모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김충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김지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이창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소 흡수원 조성과 같은 토지이용과 관련한 온실가스 감축대안 수립을 위해 다양한 생태계 시스템에서의 온실가스 잠재 흡수량 평가가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에디 공분산 기반의 플럭스 타워 관측자료를 활용한 순생태계교환량(Net Ecosystem Exchange: NEE)으로 국내 산림 생태계와 농경지 생태계에서의 탄소 흡수 능력을 추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와 유사한 기후조건의 국외 플럭스 타워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생태계 유형별 탄소 수지 추정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에디 공분산 기법을 이용한 산림과 농경지의 NEE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산림에서는 연간 $-31gC/m^2/yr$에서 $-362gC/m^2/yr$, 농경지 생태계에서는 작물 재배 기간 동안 $-210gC/m^2/growing$ season에서 $-248gC/m^2/growing$ season의 값을 나타내 산림뿐만 아니라 농경지 생태계도 탄소 흡수 기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림의 경우 임상에 따라 시기별로 서로 다른 탄소 흡수 양상을 보였는데, 활엽수림은 늦봄과 초여름, 초가을에, 침엽수림은 봄과 초여름, 가을중순에 탄소 흡수 능력이 컸다. 또한 숲의 나이가 어리고, 활엽수나 침엽수로만 구성된 단순림보다 혼효림이 더 높은 탄소 흡수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농작물의 성장기간 동안의 탄소 흡수량은 비트가 가장 컸고, 그 다음은 겨울밀, 옥수수, 벼, 감자, 콩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산림 및 농경지에서의 탄소저감 정책수립과정에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asurements of net ecosystem exchange (NEE) of $CO_2$ based on the eddy covariance technique provide reasonable carbon balance estimates in response to local environmental conditions. In South Korea, the forest ecosystems cover approximately 64% of the total area, thereby strongly aff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에디 공분산 기반의 플럭스 타워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산림 생태계(활엽수, 침엽수 및 혼효림)와 농경지 생태계(논, 감자 등)에서의 탄소흡수 능력을 추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와 유사한 기후조건의 국외 플럭스 타워 자료를 활용하여 국외의 산림 및 농경지 생태계에서는 어느 정도의 순생태계 교환량이 관측되는지 알아보고, 이를 국내 생태계 유형별 탄소 수지 추정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계 탄소 수지(Carbon Balance) 분석 방법론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생태계 탄소 수지(Carbon Balance) 분석 방법론은 생물학적 측정법(Son et al. 2004)과 에디 공분산 기법을 이용한 탄소 플럭스 측정법(Saigusa et al. 2005),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위성영상 등을 활용한 원격탐사기법(Running et al. 2004), 생·물리학적 모델링 기법(Ito & Oikawa 2002; Yoo et al. 2012) 등이 있다. 이런 방법 중 산림과 농경지, 초지, 습지 등 다양한 육상 생태계를 대상으로 한 신뢰도 높은 탄소 수지 측정법으로 생태계와 대기 간 탄소 순환을 측정하는 첨단의 미기상학적 에디 공분산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Wang & Polglase 1995; Baldocchi et al.
에디 공분산 방법이 추정할 수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1996). 에디 공분산 방법은 지표에서의 에너지와 물질의 순환을 정량화하는 미기상학적 방법으로 지표-대기 간의 물질 및 연직 에너지 플럭스와 그 교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난류의 구조를 밝힘으로써 순생태계 교환량, 총일차생산량, 증발산량 등을 추정 할 수 있다. 현재 650개가 넘는 에디 공분산 기반의 플럭스 타워가 아시아 및 전 지구 플럭스 관측망인 AsiaFlux(http://www.
순일차생산량(Net Primary Production: NPP)는 무엇인가? 대기-생태계 간 탄소순환에 있어 순일차생산량(Net Primary Production: NPP)과 순생태계생산량(Net Ecosystem Production: NEP)이 생태계 기후조절 기능의 주요 평가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NPP는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생산한 총 유기물의 양인 총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on: GPP)에서 식물의 성장과 유지에 사용된 호흡량(Autotrophic Respiration: Ra)을 뺀 값이다. NEP는 NPP에서 유기물을 분해하는 종속영양생물의 호흡(Heterotrophic Respiration: Rh)을 제한 값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SR, Park GA, Jang CH, Kim SJ. 2013.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in a mixed forest catchment using spatially calibrated SWAT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6): 569-583. [Korean Literature] 

  2. Baldocchi D, Valentini R, Running S, Oechel W, Dahlman R. 1996. Strategies for measuring and modelling carbon dioxide and water vapour fluxes over terrestrial ecosystems. Global Change Biology. 2(3): 159-168. 

  3. Ceschia E, Beziat P, Dejoux JF, Aubinet M, Bernhofer C, Bodson B, Buchmann N, Carrara A, Cellier P, Di Tommasi P, Elbers J, Eugster W, Grunwald T, Jacobs C, Jans W, Jones M, Kutsch W, Lanigan G, Magliulo E, Marloie O, Moors E, Moureaux C, Olioso A, Osborne B, Sanz M-J, Saunders M. Smith P, Soegaard H, Wattenbach M. 2010. Management effects on net ecosystem carbon and GHG budgets at European crop site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39(3): 363-383. 

  4. Ciais P, Wattenbach M, Vuichard, N, Smith P, Piao SL, Don A, Luyssaert S, Janssens IA, Bondeau A, Dechow R, Leip A, Smith PC, Beer C, van der Werf GR, Gervois S, van Oost K, Tomelleri E, Freibauer A, Schulze ED, CarboEurope Synthesis Team. 2009. The European carbon balance: Part 2: croplands. Global Change Biology. 16: 1409-1428. 

  5. Ito A, Oikawa T. 2002. A simulation model of the carbon cycle in land ecosystems (Sim-CYCLE): a description based on drymatter production theory and plot-scale validation. Ecological Modelling. 151(2-3):143-176. 

  6. Kirschbaum MUF, Eamus D, Gifford RM, Roxburgh SH, Sands PJ. 2001. Definitions of some ecological terms commonly used in carbon accounting. NEE (Net Ecosystem Exchange) Workshop proceedings. 2001 Apr 18-20. Cooperative research centre for greenhouse accounting. Canberra. Australia. p. 2-5. 

  7. Kwon HJ, Lee JH, Lee YK, Lee JW. 2009. Seasonal variations of evapotranspiration observed in a mixed forest in the Seolmacheon catch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 39-47. [Korean Literature] 

  8. Law BE, Turner D, Campbell J, Sun OJ, Van Tuyl S, Ritts WD, Cohen WB. 2004. Disturbance and climate effects on carbon stocks and fluxes across Western Oregon USA. Global Change Biology. 10(9): 1429-1444. 

  9. Lee BR. 2015. Remote sensing-based assessment of gross primary production in agricultural ecosystem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Bayreuth. 

  10. Lee BR, Kang SK, Kim ES, Hwang TH. 2007. Evaluation of a hydro-ecologic model, RHESSys (Regional Hydro-Ecologic Simulation System): parameterization and application at two complex terrain watershed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 247-259. [Korean Literature] 

  11. Lee JT, Lee YS, Kim GY, and Shim KM. 2005. $CO_2$ and water vapor flux measurement by eddy covariance method in a paddy field in Korea.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1):45-50. 

  12. Li Y-L, Tenhunen J, Owen K, Schmitt M, Bahn M, Droesler, Otieno D, Schmidt M, Gruenwald Th, Hussain MZ, Mirzae H, Bernhofer C. 2008. Patterns in $CO_2$ gas exchange capacity of grassland ecosystems in the Alp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8(1): 51-68. 

  13. Luyssaert S, Schulze ED, Borner A, Knohl A, Hessenmoller D, Law BE, Ciais P, Grace J. 2008. Old-growth forests as global carbon sinks. Nature. 455(7210): 213-215. 

  14. Moon BK, Hong JK, Lee BR, Yun JI, Park EW, and Kim J. 2003. $CO_2$ and energe exchange in a rice paddy for the growing season of 2002 in Hari, Korea.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logy. 5(2): 51-60. 

  15. Ogutu BO, Dash J, Dawson TP. 2013. Developing a diagnostic model for estimating terrestrial vegetation gross primary productivity using the photosynthetic quantum yield and earth observation data. Global Change Biology. 19(9): 2878-2892. 

  16. Ottander C, Oquist G. 1991. Recovery of photosynthesis in winter-stressed Scots pine. Plant, Cell and Environment. 14:345-349. 

  17. Owen KE, Tenhunen J, Reichstein M, Wang Q, Falge E, Geyer R, Xiao X, Stoy P, Ammann C, Arain A, Aubinet, M, Aurela, M, Bernhofer C, Chojnicki BH, Granier A, Gruenwald T, Hadley J, Heinesch B, Hollinger D, Knohl A, Kutsch W, Lohila A, Meyers T, Moors E, Moureaux C, Pilegaard K Saigusa N, Verma S, Vesala T, Vogel C. 2007. Linking flux network measurements to continental scale simulations: ecosystem carbon dioxide exchange capacity under non-waterstressed conditions. Global Change Biology. 13(4): 734-760. 

  18. Papale D, Reichstein M, Aubinet M. 2006. Towards a standardized processing of net ecosystem exchange measured with eddy covariance technique: algorithms and uncertainty estimation. Biogeosciences. 3:571-583. 

  19. Pontailler JY, Faille A, Lemee G. 1997. Storms drive successional dynamics in natural forests: a case study in Fontainebleau forest (France).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8(1): 1-15. 

  20. Reichstein M, Falge E, Baldocchi D, Papale D, Aubinet M, Berbigier P, Bernhofer C, Buchmann N, Gilmanov T, Granier A, Grunwald T, Havrankova K, Ilvesniemi H, Janous D, Knohl A, Laurila T, Lohila A, Loustau D, Matteucci G, Meyers T, Miglietta F, Ourcival J-M, Pumpanen J, Rambal S, Rotenberg E, Sanz M, Tenhunen J, Seufert G, Vaccari F, Vesala T, Yakir D, Valentini R. 2005. On the separation of net ecosystem exchange into assimilation and ecosystem respiration: review and improved algorithm. Global Change Biology. 11(9): 1424-1439. 

  21. Reichstein M, Moffat AM. 2014. REddyProc: data processing and plotting utilities of (half-) hourly eddy-covariance measurements. R package version 0.8-2. 

  22. Richardson AD, Black TA, Ciais P, Delbart N, Friedl MA, Gobron N, Hollinger DY, Kutsch WL, Longdoz B, Luyssaert S, Migliavacca M, Montagnani L, Munger JW, Moors E, Piao S, Rebmann C, Reichstein M, Saigusa N, Tomelleri E, Vargas R, Varlagin A. 2010. Influence of spring and autumn phenological transitions on forest ecosystem productivity.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365(1555): 3227-3246. 

  23. Running SW, Nemani RR, Heinsch FA, Zhao M, Reeves M, Hashimoto H. 2004. A continuous satellite-derived measure of global terrestrial primary production. Bioscience. 54(6): 547-560. 

  24. Saigusa N, Yamamoto S, Murayama S, Kondo H. 2005. Inter-annual variability of carbon budget components in an AsiaFlux forest site estimated by long-term flux measurement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4(1-4): 4-16. 

  25. Shin HJ, Park MJ, Kim SJ. 2012. Evaluation of forest watershed hydro-ecology using measured data and RHESSys model -For the Seolmacheon Catchmen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12): 1293-1307. [Korean Literature] 

  26. Son Y, Park IH, Yi MJ, Jin HO, Kim DY, Kim RH, Hwang JO. 2004.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 distribution of a natural oak forest in central Korea. Ecological Research. 19(1): 21-28. 

  27. Thomas C, Martin JG, Goeckede M, Siqueira MB, Foken T, Law BE, Loescher HW, Katul G. 2008. Estimating daytime subcanopy respiration from conditional sampling methods applied to multi-scalar high frequency turbulence time seri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8(8-9): 1210-1229. 

  28. Wang YP, Polglase PJ. 1995. Carbon balance in the tundra, boreal forest and humid tropical forest duringClimate change: scaling up from leaf physiology and soil carbon dynamics. Plant, Cell and Environment. 18(10): 1-20. 

  29. Wattenbach M, Sus O, Vuichard N, Lehuger S, Gottschalk P, Li L, Leip A, Williams M, Tomelleri E, Kutsch WL, Buchmann N, Eugster W, Dietiker D, Aubinet M, Ceschia E, Beziat P, Guenwald T, Hastings A, Osborne B, Ciais P, Cellier P, Smith P. 2010. The carbon balance of European croplands: a cross-site comparison of simulation model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39(3): 419-453. 

  30. White MA, Thornton PE, Running SW, Nemani RR. 2000. Parameteriz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of the BIOME-BGC terrestrial ecosystem model: net primary production controls. Earth Interactions. 4(3): 1-85. 

  31. Wu C, Niu Z, Tang Q, Huang W, Rivard B, Feng J. 2009. Remote estimation of gross primary production in wheat using chlorophyll-related vegetation indic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9(6-7): 1015-1021. 

  32. You S, Lee W-K, Son Y, Ito A. 2012. Estimation of vegetation carbon budget in South Korea using ecosystem model and spatiotemporal environmental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1): 145-157. [Korean Literature] 

  33. Zhao P, Luers J. 2012. Improved determination of daytime net ecosystem exchange of carbon dioxide at croplands. Biogeosciences Discussions. 9(3): 2883-29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