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30대 남성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의복추구혜택이 비스포크 정장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ers' needs for uniqueness and pursuit of clothing benefit on bespoke suit purchase intention amongst 20~30-year-old male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5 no.2, 2017년, pp.192 - 205  

신경록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패션머천다이징 전공) ,  이은정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의상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dern men are much more interested in their appearance than ever before, as well as showing an increased need for uniqueness in order to construct their own sphere and pursue differentiation from others. Besides, changes in life style and the aesthetic sense are causing men to pursue various kin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독특성 욕구의 선행논문을 살펴보면 욕구 정도에 따른 소비자 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독특성 욕구 요인을 기준으로 요인별 차이를 분석해 독특성 욕구를 가진 소비자들의 의복추구혜택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외모관심도의 경우, 미용, 뷰티에 관련된 관리행동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외모관심 정도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 연구문제 2. 독특성 욕구가 비스포크 정장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연구문제 4. 독특성 욕구와 비스포크 정장 구매의도 간 관계에서 외모 관심도의 조절효과를 알아본다.
  •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독특성 욕구와 의복 추구혜택이 비스포크 정장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복추구혜택이 비스포크 정장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외모 관심도가 조절변수로 작용했을 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실증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계하였다. 연구모형은 [Fig.
  • 한편, 이에 앞서 디자인 맞춤(design customization)과 사이즈 맞춤(size customiz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남성 맞춤 정장 시장 및 1:1 맞춤정장 비스포크 시스템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이를 종합해 맞춤정장 관련 시장에 도움이 되는 마케팅 자료와 소비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맞춤정장 시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초적인 환경을 구축하고, 남성정장 시장의 기틀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 그러나 전통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명맥을 이어오는 일부 비스포크 정장 브랜드들과 새로운 소비플랫폼을 활용하여 맞춤정장의 대중화에 앞장 서는 O2O 전문 브랜드들이 우후죽순 등장하면서 소비자들은 해당산업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경험을 원함에 이르렀다. 이에 1:1 맞춤 정장인비스포크를 중심으로 맞춤정장의 정의와 시장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비스포크와 대량맞춤(MTM)의 공정방식 차이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앞서 자세히 연구되지 않았던 맞춤정장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 이에 본 연구는 남성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의복 추구혜택, 그리고 외모 관심도 등의 기본적 심리적 변인들이 남성 맞춤 정장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편, 이에 앞서 디자인 맞춤(design customization)과 사이즈 맞춤(size customiza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남성 맞춤 정장 시장 및 1:1 맞춤정장 비스포크 시스템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거와 달리 남성들은 어떠한가? 한편, 남성 소비자들의 패션과 외모에 대한 관심과 투자 또한 그 어느 때보다 두드러진다. 과거와 달리 남성들은 치열한 경쟁 사회 속에서 외모와 외적 이미지가 자신을 나타내는 새로운 평가도구인 것으로 인식하고(No, Koh, & Chung, 2005), 대인접촉이 잦은 현대사회에서 자신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심어줄 수 있는 도구로서 패션과 의복을 이해한다(Choi, 2005; Zhou, Xu, & Di, 2016). ‘여미족’, ‘그루밍족’ 등으로 불리고 있는 이러한 현대 남성 소비자들은, 외모와 외형의 멋스러움에 대한 높은 관심, 자신을 가꾸기 위한 아낌없이 투자하며(Kim& Park, 2014), 의복을 구매하고 착용하는 행동에서보다 큰 소비 가치와 다양한 상품 혜택을 추구한다(No et al.
의복추구혜택란? 의복추구혜택(clothing benefits)이란 소비자가 의복을 구매하고 사용 시 얻고자 하는 제품의 효능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와 결과를 의미한다(Peter & Olson, 1987). 다시 말해 소비자가 의복 제품을 구매함으로써 부족한 부분을 충족하고자 하는 심리적 욕구와 구매 후, 구매 전 단계에서 계획했었던 요인들의 만족이나 불만족, 이전에 기대하지 못했던 새로운 요인의 등장에 대한 만족감 등을 모두 뜻한다.
소비자의 독특성 이론은 독특성 욕구 이론과 소비행동의 여러 문헌 고찰을 통해 발견한 3가지 요인은? (2001)이 크게 3가지의 요인으로 구분해 구성하였다. 첫 번째, 소비자가 자신만의 창의적인 생각과 독창적인 선택을 통해 스타일을 창조하는 행동인 ‘독창적 선택의 역순응(creative choice counter conformity)’이다. 두 번째, 집단의 규범을 벗어난 소비를 하거나 비 대중적인 제품 선택을 추구하며, 이를 통해 타인과 구별되기를 원하는 ‘비 대중적 선택 역 순응(unpopular choice counter conformity)’이다. 마지막으로, 이미 대중에게 널리 전파되어 고유의 특색과 희소성의 가치가 사라진 제품에 대해 소비욕구를 잃어버리고, 소유하고 있는 제품일 경우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는 ‘유사성의 회피(avoidance of similarity)’이다. 독특성 욕구가 높은 소비자들은 소비자 유형 중 모방성이 높은 소비자들의 선택이 자신의 독특성을 감소시킨다는 위협을 느끼고 있으며(Fisher & Price, 1992), 이러한 모방 때문에 더욱더 대중적이지 않으면서 유사성이 없는 독특한 스타일을 추구하려 적극적인 소비행동을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2. Boyd, D. M., & Ellison, N. B. (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210-230. doi:10.1111/j.1083-6101.2007.00393.x 

  3. Byun, H. J., & Byun, T. H. (2016). Forecasting and analysis of customized shoes design in domestic and overseas brand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 382-390. doi:10.5392/JKCA.2016.16.01.382 

  4. Cho, Y. J. (2011). The influence of male consumers' clothing benefits sought on purchase intention of functional clothing: Focused on well-being health consciousness and ag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3(6), 900-908. doi:10.5805/KSCI.2011.13.6.900 

  5. Choi, T.-Y. (2005). An empirical study on the brand pattern choices and customer's satisfaction upon buyer's characteristics of male formal dres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 Eui University, Busan, Korea. 

  6. Chun, W. J. (2003). Efficient account receivables customizing model on SAP R/3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7. Fisher, R. J., & Price, L. L. (1992). An investigation into the social context of early adoption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3), 477-486. doi:10.1086/209317 

  8. Goffman, E. (1951). Symbols of class status.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2(4), 294-304. doi: 10.2307/588083 

  9. Grubb, E. L., & Grathwohl, H. L. (1967). Consumer self-concept, symbolism and market behavior: A theoretical approach. Journal of Marketing, 31 (4), 22-27. doi:10.2307/1249461 

  10. Hansen, C. H., & Hansen, R. D. (1988). Finding in the crowd : An anger superiority e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917-924. doi:10.1037/0022-3514.54.6.917 

  11. Kaiser, S. B. (1996).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2nd Rev. ed.). New York: Fairchild. 

  12. Kang, J. H. (1994). A study on men's ready-made clothes brand recognition about benefi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3. Kim, C. I. (2006, July 26). 맞춤양복도 중저가 시대 [Mid-priced customized suits are in trend]. MK Economics, Retrieved on March 16, 2015,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6&no332448 

  14. Kim, C. S., & Park, M. R. (2014). A study on the appearance care behaviors, clothing selection behaviors and clothing design preference of 20-30's Korean men by the level of grooming.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2), 245-254. doi:10.5805/SFTI.2014.16.2.245 

  15. Kim, H. J. (2010). Study on the fashion trend of contemporary men's wear since 1990. Fashion Business, 14(5), 78-92. 

  16. Kim, H. T. (2016). O2O를 넘어 온디맨드로: 일상생활로 확대되는 고객 서비스의 진화 [On demand over O2O(Online to Offline)]. Seoul: e bizbooks Press. 

  17. Kim, N.-H. (1999). The comparative study of men's custom suits, system order, and ready-made suits: Centering around choice of information source, risk perception, and benefit sough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S.-H. (1991).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omestic ready-made men's suit industry: with priority given to the business su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S. R. (2004). A study on the on-line sales of mass customized clothes. Design Forum 21, 7, 165-172. 

  20. Kim, S.-Y. (2011). Study of N-generation male's beauty consumption tre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1. Kim, S. Y. (2014). A study on skin health care behavior and adult men's concern level for appear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22. Kim, Y. M. (1996). Consumer's attitude toward size system and fit of men's ready-made business su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3. Lai, A. W. (1995). Consumer values, product benefits and customer value: A consumption behavior approach.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2(1), 381-388. 

  24. Lee, E.-J. (2016). How perceived cognitive needs fulfillment affect consumer attitudes toward the customized product: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 knowled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4, 152-162. doi:10.1016/j.chb.2016.06.017 

  25. Lee, Y.-J. (2007). Male consumers' motiv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ocused on their sex role identities and benefit sought in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4), 551-562. doi:10.5850/JKSCT.2007.31.4.551 

  26. Lim, S. J., Hwang, S. J., Lee, J. N., & Lee, S. H. (2009).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eoul: Suhaksa. 

  27. No, J. Y., Koh, A. R., & Chung, M. S. (2005). A study on development of fashion orientation scale for the on-line image consulting of career 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58-67. 

  28. Noh, J. E. (2014). A study on effects of male's interest in appearance on self-esteem and job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29. Park, S. J. (2011). Influences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30. Park, Y.-H. (2010). A study on the selection behavior and the post-purchase satisfaction for men' s suit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2(1), 46-59. doi:10.5805/KSCI.2010.12.1.046 

  31. Peter, J. P., & Olson, J. C. (1987).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perspectives. New York: Irwin Professional Publishing. 

  32. Shin, S. Y. (2001). A study on the shopping orientation,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and selfimage according to the clothing benefits of the adult males of twenties and thirti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6), 818-829. 

  33. Snyder, C. R. (1992). Product scarcity by need for uniqueness interaction: A consumer catch-22 carousel?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1), 9-24. doi:10.1207/s15324834basp1301_3 

  34. Snyder, C. R., & Fromkin, H. L. (1980). Uniqueness: The human pursuit of difference. New York: Plenum Press. 

  35. Tian, K. T., Bearden, W. O., & Hunter, G. L. (2001).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8(1), 5-66. doi:10.1086/321947 

  36. Yoo, J., & Park, M. (2016). The effects of e-mass customization on consumer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toward luxury brand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9(12), 5775-5784. doi:10.1016/j.jbusres.2016.04.174 

  37. Zhou, Y., Xu, M., & Di, R. (2016). Research on the radical innovation of C2M business model: A case study on Redcollar MTM men's suits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11(4), 194-202. doi:10.5539/ijbm.v11n4p1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