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공성 분리막 제조를 위한 폴리플루오르화비닐리덴-실리카 혼합물의 열유도상분리 연구
Study of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of Polyvinylidene Fluoride-Silica Mixture for the Preparation of Porous Polymeric Membrane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7 no.2, 2017년, pp.189 - 198  

김세종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  이정우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  남상용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처리 분리막에 제조하기 위하여 열유도 상분리법(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을 이용하였고, 기계적 물성과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플루오르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PVDF)) 고분자와 실리카를 이용하여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특성평가에 사용된 희석제는 dioctyl phthalate (DOP), dibutyl phthalate (DBP)를 사용하였으며, PVDF와 실리카의 비율에 따른 분리막 제조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결정화 온도, 흐림점, SEM 이미지 등을 관찰하였다. 실리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결정화 온도와 흐림점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상평형도 작도를 통하여 분리막 제조 조건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used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 to produce water treatment membrane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silica with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resistance to evaluate characterization of the membrane. The diluents used for the characterization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실리카의 비율에 따른 PVDF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작도된 여러 비율의 상평형도 그래프를 Fig. 4에 하나의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실리카가 포함되지 않은 단일 PVDF 고분자 그래프를 함께 작도하여 실리카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광학현 미경을 사용한 흐림점 관찰에서 PVDF/실리카 혼합물 중 실리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흐림점이 높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실리카 소재를 첨가한 PVDF의 분리막 제조를 위한 연구로써 상평형도 작성을 통하여 열유도 상분리법 적용성을 알아보고자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희석제는 PVDF와 상용성이 우수한 DOP, DBP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DSC, SEM, hot stage,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용매 상분리법공정에서 제조된 분리막보다 내화학성과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분리막 제조를 하기 위한 방법인 열유도 상분리법공정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소재는 기계적 물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PVDF (polyvinylidene fluoride)와 PVDF소재의 단점인 소수성을 보완하기 위한 소재로 실리카를 사용하여 친수성기를 도입하려 하였으며 희석제로는 DOP (dioctyl phthalate)와 DBP (dibutyl phthalate)를 3 : 1 비율로 고정하여 진행하였다. PVDF와 실리카의 비율을 변경하며 실리카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제조된 용액의 열적 특성 및 흐림점 관찰을 통하여 상분리 그래프를 작도하였고, 분리막을 제막한 뒤 단면의 모폴로지 구조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리막 기술의 장점은? 분리막 기술은 에너지 소비가 적고, 조작이 단순하며, 물질의 신속한 분리와 더불어 생산성이 크며 기초 설비의 크기가 작아 scale-up이 다른 공정에 비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중 수처리 분리막은 분리막 공정에서 분리막의 오염 현상 등으로 인하여 다각적 활용에 제한을 받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분리 기능에 따라 정밀여과막 (microfiltration),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나노여과막(nanofiltration), 역삼투막(reverse osmosis)으로 분리막을 분류하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4-7].
수처리 분야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수처리 분야는 정수처리, 해수담수화, 하⋅폐수 처리, 유기용매 분리, 초순수 제조, 식품 생산 분야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이 단순 음용수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수처리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3].
기존에 고분자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비용매 상분리법이 사용되는데 단점은? 기존에 고분자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비용매 상분리법(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NIPS)이 가장 널리 사용된 방법으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어 상업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막 과정에서 도프용액의 온도와 비용매의 온도, 방사환경의 습도 등 주변 환경을 엄격하게 제어하지 않을 경우 막의 구조가 바뀔 수 있어 재현성이 떨어진다. 또한, 내화학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고분자를 분리막 재료로 사용할 경우 용매의 선택이 어렵고 도프 용액의 온도를 높이는데 제한이 있어 분리막 제조에 제한적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고부하 오염물 유입 시 (fouling) 여과 성능의 악화라는 취약한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정밀여과막의 경우 정수처리 운전시 화학세 정으로 많이 사용되는 치아염소산(NaOCl)과 같은 염기성물질에 빈번히 노출됨으로써 장기간 운전 시 막성능의 저하와 막 모듈교체를 해야 하기 때문에 내화학성, 내약품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분리막 개발이 필요하다[7-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Y. H. Park and S. Y. Nam, "Characterization of water treatment membrane using various hydrophilic coating materials", Membr. J., 27, 60 (2014). 

  2. T. Lee, Y. Kim, S. Ham, S. Hong, B. Park, Y. Shin, and I. Jung, "Development of PTFE membrane bio-reactor (MBR) for integrating wastewater reclamation and rainwater harvesting", J. Korean Soc. Water Environ., 28, 269 (2012). 

  3. B. J. Cha, S. D. Chi, and J. H. Kim, "Membrane market for water treatment", KIC News., 14, 2 (2011). 

  4. G. R. Guillen, Y. Pan, M. Li, and E. M. Hoek,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mbranes formed by 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a review", Ind. Eng. Chem. Res., 50, 3798 (2011). 

  5. B. G. Ko, J. H. Na, D. H. Nam, K. H. Kang, and C. Y. Lee, "Fouling mitigation for pressurized membrane of side-stream MBR process at abnormal operation condition", J. Korean Soc. Environ. Eng., 38, 323 (2016). 

  6. C. H. Yun, J. H. Kim, K. W. Lee, and S. H. Park, "Water treatment application of large pore microfiltration membrane and its problems", Membr. J., 24, 194 (2014). 

  7. H. N. Jang, S. J. Kim, Y. T. Lee, and K. H. Lee, "Progress of nanofiltration hollow fiber membrane", J. Appl. Chem. Eng., 24, 456 (2013). 

  8. D. J. Kim and S. Y. Nam, "Research trend of organic/inorganic composite membrane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Membr. J., 22, 155 (2012). 

  9. J. H. Park, D. J. Kim, and S. Y. Nam, "Characterization and preparation of PEG-polyimide copolymer asymmetric flat sheet membrane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Membr. J., 25, 547 (2015). 

  10. B. M. Jun, E. T. Yun, S. W. Han, TPN. Nguyen, H. G. Park, and Y. N. Kwon, "Chlorine disinfection in water treatment plants and its effects on polyamide membrane", Membr. J., 24, 88 (2014). 

  11. K. M. Kyung and J. Y. Park, "Effect of operating conditions and recovery of water back-washing in spiral wound microfiltration module manufactured with PVDF nanofibers for water treatment", Membr. J., 25, 180 (2015). 

  12. S. M. Lee and S. S. Kim, "Structural changes of PVDF membranes by phase separation control", Korean Chem. Eng. Res., 54, 57 (2016). 

  13. G. Ji, L. Zhu, B. Zhu, C. Zhang, and Y. Xu, "Structure form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VDF hollow fiber membrane prepared via TIPS with diluent mixture", J. Membr. Sci., 319, 264 (2008). 

  14. B. J. Cha, S. D. Chi, and J. H. Kim, "Recent trends and prospect in microfiltration membrane", KIC News., 14, 29 (2011). 

  15. S. M. Woo, Y. S. Chung, and S. Y. Nam, "Evaluation of morphology and water flux for polysulfone flat sheet membrane with conditions of coagulation bath and dope solution", Membr. J., 22, 258 (2012). 

  16. S. J. Kim, S. M. Woo, H. Y. Hwang, H. C. Koh, S. Y. Ha, H. S. Choi, and S. Y. Nam,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chlorin-resistance loose reverse osmosis hollow-fiber membrane", Membr. J., 20, 304 (2010). 

  17. N. T. Hassankiadeh, Z. Cui, J. H. Kim, D. W. Shin, A. Sanguineti, V. Arcella, Y. M. Lee, and E. Drioli, "PVDF hollow fiber membranes prepared from green diluent vi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effect of PVDF molecular weight", J. Membr. Sci., 471, 237 (2014). 

  18. J. F. Kim, J. T. Jung, H. H. Wang, S. Y. Lee, T. Moore, A. Sanguineti, E. Drioli, and Y. M. Lee, "Microporous PVDF membranes vi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 and stretching methods", J. Membr. Sci., 509, 94 (2016). 

  19. J. T. Jung, J. F. Kim, H. H. Wang, E. di Nicolo, E. Drioli, and Y. M. Lee, "Understanding the 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NIPS) effect during the fabrication of microporous PVDF membranes vi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 J. Membr. Sci., 514, 250 (2016). 

  20. S. H. Lee, H. J. Kim, and S. M. Park, "Development of functional microsphere (I)-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covinyl acetate) microspheres vi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J. Korean Soc. Dyers Finishers., 15, 257 (2003). 

  21. J. B. Ryu, K. Song, and S. S. Kim, "Preparation of chemical and fouling resistant semicrystalline membranes", Polymer(Korea), 24, 342 (2000). 

  22. G. Ji, L. Zhu, B. Zhu, and Y. Xu, "Effect of diluents on crystallization of poly (vinylidene fluoride) and phase separated structure in a ternary system vi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Chinese J. Polym. Sci., 26, 291 (2008). 

  23. X. Lu and X. Li, "Preparation of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via 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using a mixed diluents", J. Appl. Polym. Sci., 114, 1213 (2009). 

  24. S. J. Kim, J. W. Lee, and S. Y. Nam, "Characterization of PVDF-DBP Materials for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Membr. J., 26, 449 (2016). 

  25. Q. Zhou, Z. Wang, H. Shen, Z. Zhu, L. Liu, L. Yang, and L. Cheng, "Morphology and performance of PVDF TIPS microfiltration hollow fiber membranes prepared from PVDF/DBP/DOP systems for industrial application", J. Chem. Technol. Biotechnol., 91, 1697 (2015). 

  26. D. R. Lloyd, S. S. Kim, and K. E. Kinzer, "Microporous membrane formation vi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II. Liquid-liquid phase separation", J. Membr. Sci., 64, 1 (1991). 

  27. T. Ogoshi and Y. Chujo, "Synthesis of poly (vinylidene fluoride)(PVdF)/silica hybrids having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structure by using crystallization between PVdF chains", J. Polym. Sci. Pol. Chem., 43, 3543 (2005). 

  28. I. Y. Jung, M. N. Han, and M. H. Cha, "Phase separation of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membrane and minute structure control with phase separation", Theories and Appl. Chem. Eng., 9, 1994 (2003). 

  29. Y. Tang, Y. Lin, B. Zhou, and X. Wang, "PVDF membranes prepared via thermally induced (liquid-liquid) phase separation and their application in municipal sewage and industry wastewater for water recycling", Desalin. Water Treat., 57, 22258 (2016). 

  30. J. W. Kim, W. J. Cho, and C. S. Ha, "Morphology, crystallin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vinylidene fluoride)/silica hybrid composites",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40, 19 (2002). 

  31. Y. J. Kim, "Characteristic change of PVDF- $SiO_2$ composite nanofibers with different thermal treatment temperature", Polymer(Korea), 35, 605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