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력공급의 안정성 및 신뢰도 향상을 위해 각종 전력설비의 예방진단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가스절연개폐장치와 변압기와 같은 단위 기기의 절연진단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나, 전력케이블에 있어서는 단순히 결함의 유무와 부분방전을 측정할 뿐, 세부적 특성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LPE 케이블에서 보이드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부분방전 특성과 결함의 위치추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이드의 크기 및 위치에 따른 4종의 결함계를 모의하였으며, 부분방전펄스는 주파수 대역 150kHz~30MHz의 고주파변류기로 검출하였다. 실험결과, 도체에 인접한 결함일수록 방전전하량이 크고, 정극성에 비해 부극성의 방전펄스 수가 약 20% 많게 나타났다. 또한 TDR 방법으로 결함위치를 산출하였으며, 50m 케이블에서 1m 이내로 결함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 on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of power facilities has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electric power supply. Although insulation diagnostic techniques for unit equipment such as gas-insulated switchgears and transformers have been developed rapidly, studie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지중배전선로에서 주로 이용되는 22.9kV-y CNCV-W 케이블로 결함을 모의하였고, 고주파변류기(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 HFCT)로 방전펄스를 검출하였다. 절연 진단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XLPE 케이블에서 대표적으로 발생되는 보이드의 크기 및 위치에 따른 PD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중선로 방식의 장점은? 오늘날 전력수요의 증가와 고품질 전력공급을 목표로, 전력망의 지중화가 확대되고 있다. 지중선로 방식은 가공선로에 비해 자연재해로부터 신뢰성이 높고, 배전선로 확장이 유리하다. 하지만 전기적 절연의 취약성과 사고 발생에 따른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전력설비에 대한 원활한 전력공급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1,2].
지중선로 방식은 전기적 절연의 취약성과 사고 발생에 따른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어떤 연구가 필요한가? 지중선로 방식은 가공선로에 비해 자연재해로부터 신뢰성이 높고, 배전선로 확장이 유리하다. 하지만 전기적 절연의 취약성과 사고 발생에 따른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전력설비에 대한 원활한 전력공급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1,2]. 지중배전선로용 케이블은 전기적·열적 특성이 우수한 XLPE(Cross-linked polyethylene) 절연체를 사용하며, 제조공정에서 생성되는 절연체 내부의 보이드(Void) 및 불순물이나 운전중 진동 및 충격에 의한 결함발생으로 단락 및 지락사고에 이르게 된다.
중배전선로용 케이블어떤 절연체를 사용하는가? 하지만 전기적 절연의 취약성과 사고 발생에 따른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전력설비에 대한 원활한 전력공급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1,2]. 지중배전선로용 케이블은 전기적·열적 특성이 우수한 XLPE(Cross-linked polyethylene) 절연체를 사용하며, 제조공정에서 생성되는 절연체 내부의 보이드(Void) 및 불순물이나 운전중 진동 및 충격에 의한 결함발생으로 단락 및 지락사고에 이르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상태기반진단(Condition based maintenance, CBM)기술이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대표적 방법이 부분방전(Partial discharge, PD) 검출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E. Peschke, R. von Olshausen (1999) Cable Systems for High and Extra-High Voltage, Pirelli, Berlin, pp. 24-26. 

  2. M.S. Naidu, V. Kamaraju (1995) HighVoltage Engineering, McGraw-Hill, USA, pp. 333-337. 

  3. D.W. Park, C.Y. Park, J.S. Choi, G.S. Kil, et al. (2009) Evaluation on insulation performance of traction motors for a hybrid vehicle by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2(2), pp. 249-253. 

  4. C.F.F.C. Cunha, A.T. Carvalho, M.R. Petraglia, A.C.S. Lima (2015) A new wavelet selection method for partial discharge denoising,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125, pp.184-195. 

  5. H.A. Illias, M.A. Tunio, A.H. A. Bakar, H. Mokhlis, et al. (2016) Partial discharge phenomena within an artificial void in cable insulation geometry: experimental validation and simulation,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23(1), pp.451- 459. 

  6.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2006) High-Voltage Test Techniques -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IEC 60270. 

  7. N.H. Malik, A.A. Al-Arainy, M.I. Qureshi (1998) Electrical Insulation in Power System, Marcel Dekker, New York, pp. 21-186. 

  8. G.M. Wang, H.E. Jo, S.J. Kim, S.W. Kim, G.S. Kil (2016)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artial discharges in SF6 gas under HVDC, Measurement, 91, pp.351-359. 

  9. A. Rodrigo Mor, P.H.F. Morshuis, P. Llovera, V. Fuster, et al. (2016) Localization techniques of partial discharges at cable ends in offline single-sided partial discharge cable measurements,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23(1), pp. 428-434. 

  10. F. Puletti, M. Olivieri, A. Cavallini, G. C. Montanari (2005) Localization of partial discharge sources along HV and MV cable routes, International Power Engineering Conference, Singapore, pp.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