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계적 현시선호자료와 비집계적 진술선호자료를 이용한 화물수단선택모형 구축
Freight Mode Choice Modelling with Aggregate RP Data and Disaggregate SP Data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20 no.2 = no.99, 2017년, pp.265 - 274  

강웅 (Dept. of Railroad Facility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이장호 (Dept. of Railroad Facility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박민철 (Dept. of Railroad Management and Logitstic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로로의 화물수송 편중에 따른 사회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정확한 화물수요예측이 필요함에 따라 환적과 셔틀을 고려한 생산지-소비지(P-C) 자료를 활용하여 화물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은 집계적 형태의 RP 자료와 비집계적 형태의 SP 자료를 모두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철도수송이 이루어지는 주요한 품목 - 컨테이너, 양회, 철강 - 에 대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는데, 컨테이너는 기존의 SP기반 모형과는 달리 본 연구의 RP기반 집계모형에서는 타 품목에 비해 수송시간에 대해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양회와 철강은 RP, SP기반 모형 모두에서 수송비용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대다수 SP기반 화물수단선택모형에서는 양회와 철강의 수단선택에서 수송시간이 일정 수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는 다르게 본 연구의 RP기반 집계모형에서는 수송시간의 모수가 유효하지 않았다. 향후 철도수송을 보다 육성하기 위하여 컨테이너와 다른 품목간에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accurate demand forecasting of railway logistics, we estimated intercity freight mode choice models based on the binary logit model and using production-consumption data from the Korea Transport Database. We estimated two types of models and compared the results by major item of railway logis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로로의 화물수송 편중에 따른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서 정확한 화물수요예측의 필요성에 따라 기존의 기종점(O-D) 통행량 자료가 아닌 환적과 셔틀운송을 고려하여 각각의 물동량을 확인할 수 있고 실제 운송과정을 모사할 수 있는 생산지-소비지(P-C) 자료를 활용하여 화물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들이 주로 SP 자료를 활용한 것에 비해 집계적 형태의 RP 자료와 비집계적 형태의 SP 자료를 모두 활용하여 화물수단선택에 있어 다각적인 접근과 함께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관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공로와 철도의 수단선택에 대해 화물의 수단간 환적을 고려할 수 있으며 목적통행의 개념으로 조사된 자료인 P-C 자료를 활용하여 기존 화물수단 선택모형에 비하여 보다 현실적인 수단선택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의 SP기반 화물수단선택모형이 대다수인 반면에 본 연구는 RP 자료와 SP 자료를 모두 활용하여 다각적으로 화물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비교 하여 실제 정책 반영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공로와 철도의 수단선택에 대해 화물의 수단간 환적을 고려할 수 있으며 목적통행의 개념으로 조사된 자료인 P-C 자료를 활용하여 기존 화물수단 선택모형에 비하여 보다 현실적인 수단선택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의 SP기반 화물수단선택모형이 대다수인 반면에 본 연구는 RP 자료와 SP 자료를 모두 활용하여 다각적으로 화물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비교 하여 실제 정책 반영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접근통행의 개념을 반영한 P-C 자료에 근간한 순물동량 기반의 모형을 구축하고, 기존의 국내 연구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던 품목별 생산지·소비지에 관한 변수를 적용하여 품목에 따른 특성을 추가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교통DB의 생산지-소비지(Production-Consumption, P-C)자료를 근간으로 주요한 품목에 대하여 현시 선호(RP)자료 및 진술선호(SP)자료에 근간한 화물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며, 상이한 자료원에 따른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본 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화물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할 때 활용한 자료와 그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공로로의 화물수송 편중에 따른 사회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정확한 화물수요예측이 필요함에 따라 환적과 셔틀을 고려한 생산지-소비지(P-C) 자료를 활용하여 화물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은 집계적 형태의 RP 자료와 비집계적 형태의 SP 자료를 모두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화물차 수송 중심의 체계가 심화됨에 따라 정부의 대응은 어떠한가? 6% 수준으로 화물차 수송 중심의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는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정부는 화물의 철도수송 분담률을 높이기 위해 ‘철도물류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철도 수송증대를 위한 철도물류 인프라 종합투자계획 수립 등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철도수송증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함에 있어서 우선 철도화물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고 이러한 예측결과를 통해 합리적인 정책방향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알 수 있는, 철도수송을 육성하기 위해 컨테이너와 다른 품목간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철도수송이 이루어지는 주요한 품목 - 컨테이너, 양회, 철강 - 에 대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는데, 컨테이너는 기존의 SP기반 모형과는 달리 본 연구의 RP기반 집계모형에서는 타 품목에 비해 수송시간에 대해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양회와 철강은 RP, SP기반 모형 모두에서 수송비용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대다수 SP기반 화물수단선택모형에서는 양회와 철강의 수단선택에서 수송시간이 일정 수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는 다르게 본 연구의 RP기반 집계모형에서는 수송시간의 모수가 유효하지 않았다. 향후 철도수송을 보다 육성하기 위하여 컨테이너와 다른 품목간에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 Choi (2002) Value of travel-time savings in metropolitan road freight transportation with freight classification cod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0(7), pp. 167-175. 

  2. C.H. Choi, S.J. Shin, D.J. Park, H.S. Kim, J.W. Jin (2008) Mode choice characteristics of rail freight transpor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1(6), pp. 588-595. 

  3. C.S. Kim, J.Y. Lee, K.H. Jeong (2008) A study on intercity freight mode choice modelling(in Korean),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pp. 13-22. 

  4. J.W. Joo, H.G. Ha (2009) Estimating value of time for freight transportation in freight items using logit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7(5), pp. 163-168. 

  5. Y.S. Ko, D.J. Park, C.S. Kim. H.S. Kim, M. Park (2010) Supply chain-based freight distribution channel choice model using distribution channel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8(6), pp. 133-146. 

  6. D.H. Hong, M. Park, J.Y. Lee, J.S. Hahn, J.W. Kang (2012) Freight demand analysis for multimodal ship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0(4), pp. 85-94. 

  7. H.S. Kim, D.J. Park, C.S. Kim, C.H. Choi, H.S. Cho (2013) An empirical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freight demand estimation methods - unimodal O-D based method and P-C based method : focus on korean import/export container freigh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1(2), pp. 45-59. 

  8. G. Picard, M. Gaudry (1998) Exploration of a box cox logit model of intercity freight mode choic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34(1), pp. 1-12. 

  9. J. Rich, P.M. Holmblad, C.O. Hansen (2009) A weighted logit freight mode-choice model,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45, pp. 1006-1019. 

  10. K. Arunotayanun, J.W. Polak (2011) Taste heterogeneity and market segmentation in freight shippers' mode choice behaviour,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47, pp. 138-148. 

  11. A.S. Berganito, M. Bierlaire, M. Catalano, M. Migliore, S. Amoroso (2013) Taste heterogeneity and latent preferences in the choice behaviour of freight transport operators, Transportation Policy, 30, pp. 77-91. 

  12. Y. Wang, C. Ding, C. Liu, B. Xie (2013) An analysis of interstate freight mode choice between truck and rail : a case study of maryland, united state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96, pp. 1239-1249. 

  13. V. Reis (2014) Analysis of mode choice variables in short-distance intermodal freight transport using an agent-based model,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61, pp. 100-120. 

  14. A.I. Arencibia, M. Feo-Valero, L. Garcia-Menendez, C. Roman (2015) Modelling mode choice for freight transport using advanced choice experiment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75, pp. 252-267. 

  15.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5) Freight P-C Survey for Analyzing Intermodal Transportation (in Korean). 

  16. Korea Trucking Association (2012) Container Fare Table by Port (in Korean). 

  17. Korea Railroad Corporation (2013) Fact Finding Survey and Analysis for Railroad Logistics (in Korean). 

  18. Korea Railroad Corporation (2012) Fact Finding Survey and Access/Egress Trip Analysis for Increasing Railroad Logistics of Steel (in Korean). 

  19. Y.J. Min, M. Park, H.J. Jang (2013) A Study on Plans for Promoting the Improvement of Rail Freight Transport Service by Analyzing the Competitiveness of Freight Transport Service by Road and Rail(in Korean),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p.1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