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8F-FDG PET/CT를 통해 진단된 주폐동맥 협착 소견의 폐동맥 육종
Pulmonary artery sarcoma manifesting as a main pulmonary artery stenosis diagnosed by 18F-FDG PET/CT 원문보기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 영남의대학술지, v.34 no.2, 2017년, pp.279 - 284  

이훈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내과) ,  박한빛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내과) ,  조윤경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내과) ,  안정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  이상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이재승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  김대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폐 고혈압 정맥혈전 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lmonary artery sarcoma (PAS) is a rare and fatal disease that often mimics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CTEPH); therefore, diagnosis of PAS is often delayed. Herein, a healthy 74-year-old man was presented with a 4-month history of dyspnea. Chest computed tomography showed wall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주폐동맥 협착으로 발현했던 원발성 폐동맥 육종 사례는 보고된 적 없다. 이에 저자들은 주폐동맥 협착에서부터 진단된 폐동맥 육종 1예를 통해 그 질병의 발현 양상 및 진단에 도움이 되었던 검사들에 대해 알리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폐동맥 협착의 후천성 원인 질환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주폐동맥 협착은 선천성 질환과 후천성 질환으로 크게 나뉘며, 후천성 질환의 원인 질환에는 섬유화 종격염(fibrosing mediastinitis), 결합조직병(connective tissue disease), 만성 폐혈 전색전증 및 드물게 폐동맥 육종과 같은 악성 질환이 있다. 이번 증례에서 섬유화 종격염은 흉부 조영증강 CT에서 종격의 이상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에 배제할 수 있었다[3].
원발성 폐동맥 육종의 생존기간은 어떻게 되는가? 원발성 폐동맥 육종(pulmonary artery sarcoma)은 드물지만 예후가 불량한 질환으로, 완전 절제가 가능할 경우 평균 생존기간은 36개월이지만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 11개월로 보고되었다[1]. 폐색전증과 임상양상이 유사하여 항응고제에 호전이 없어 뒤늦게 진단이 되는 사례가 많으며, 이외에도 폐동맥 협착에 의한 폐동맥 고혈압을 일으키는 폐동맥 혈관염, 섬유화 종격염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에서 감별해야 할 질환이다[2].
원발성 폐동맥 육종이 뒤늦게 진단이 되는 사례가 많은 이유는? 원발성 폐동맥 육종(pulmonary artery sarcoma)은 드물지만 예후가 불량한 질환으로, 완전 절제가 가능할 경우 평균 생존기간은 36개월이지만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 11개월로 보고되었다[1]. 폐색전증과 임상양상이 유사하여 항응고제에 호전이 없어 뒤늦게 진단이 되는 사례가 많으며, 이외에도 폐동맥 협착에 의한 폐동맥 고혈압을 일으키는 폐동맥 혈관염, 섬유화 종격염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에서 감별해야 할 질환이다[2]. 국내에도 증례 형식으로 몇 차례 보고된 적 있으나 대부분 폐색전증으로 오인된 폐동맥 육종 증례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lackmon SH, Rice DC, Correa AM, Mehran R, Putnam JB, Smythe WR, et al. Management of primary pulmonary artery sarcomas. Ann Thorac Surg 2009;87:977-84. 

  2. Mussot S, Ghigna MR, Mercier O, Fabre D, Fadel E, Le Cesne A, et al. Retrospective institutional study of 31 patients treated for pulmonary artery sarcoma. Eur J Cardiothorac Surg 2013;43:787-93. 

  3. Weinstein JB, Aronberg DJ, Sagel SS. CT of fibrosing mediastinitis:findings and their utility. AJR Am J Roentgenol 1983;141:247-51. 

  4. Okano Y, Satoh T, Tatewaki T, Kunieda T, Fukuyama S, Miyazaki N, et al. Pulmonary artery sarcoma diagnosed using intravascular ultrasound images. Thorax 1999;54:748-9. 

  5. Tatebe S, Fukumoto Y, Sugimura K, Nakano M, Miyamichi S, Satoh K,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s a novel diagnostic tool for distal type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Circ J 2010;74:1742-4. 

  6. Wong HH, Gounaris I, McCormack A, Berman M, Davidson D, Horan G, et al.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pulmonary artery sarcoma. Clin Sarcoma Res 2015;5:3. 

  7. Yi CA, Lee KS, Choe YH, Han D, Kwon OJ, Kim S. Computed tomography in pulmonary artery sarcoma: distinguishing features from pulmonary embolic disease. J Comput Assist Tomogr 2004;28:34-9. 

  8. Chang S, Hur J, Im DJ, Suh YJ, Hong YJ, Lee HJ, et al. Dual-energy CT-based iodine quantification for differentiating pulmonary artery sarcoma from pulmonary thromboembolism:a pilot study. Eur Radiol 2016;26:3162-70 

  9. Hariri LP, Mino-Kenudson M, Lanuti M, Miller AJ, Mark EJ, Suter MJ. Diagnosing lung carcinomas with optical cohe0 rence tomography. Ann Am Thorac Soc 2015;12:193-201. 

  10. Jiang X, Peng FH, Liu QQ, Zhao QH, He J, Jiang R,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hypertensive pulmonary vasculature. Int J Cardiol 2016;222:494-8. 

  11. Jorge E, Baptista R, Calisto J, Faria H, Monteiro P, Pan M,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f the pulmonary arteries:a systematic review. J Cardiol 2016;67:6-14. 

  12. Li N, Zhang S, Hou J, Jang IK, Yu B. Assessment of pulmonary artery morphology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Heart Lung Circ 2012;21:778-81. 

  13. Lee EJ, Moon SH, Choi JY, Lee KS, Choi YS, Choe YS, et al. Usefulness of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malignancy of pulmonary artery mimicking pulmonary embolism. ANZ J Surg 2013;83:342-7. 

  14. Ito K, Kubota K, Morooka M, Shida Y, Hasuo K, Endo H, et al. Diagnostic usefulness of 18F-FDG PET/CT in the differentiation of pulmonary artery sarcoma and pulmonary embolism. Ann Nucl Med 2009;23:67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