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익수류 4종의 음경골 형태에 관한 기초연구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culum in Four Bat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5 no.1, 2017년, pp.95 - 99  

전영신 (동국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성철 (동국대학교 생명과학과) ,  한상훈 (국립생물자원관) ,  정철운 (동국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음경골은 일반적으로 종 내에서는 동일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이용해서 박쥐의 종 분류 및 유연관계 확인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서식하는 익수류를 대상으로 지금까지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박쥐 음경골의 형태학적 특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4종의 음경골 형태는 종에 따라서 분명하게 다른 형태를 보였는데, 안주애기박쥐의 음경골 길이가 평균 7.27 mm로 가장 길었으며, 다음으로 관박쥐, 검은집박쥐, 관코박쥐 순으로 나타났다. 음경골의 형태는 관박쥐가 Y자의 끝이 뾰족한 형태를 보였고, 안주애기박쥐는 길고 원뿔형의 형태를 나타냈다. 반면 검은집박쥐는 기부와 말단부의 폭이 중심축보다 더 넓은 형태를 보였고, 관코박쥐는 작고 타원형의 형태로 확인되었다. 형태 특징으로 볼 때 관박쥐, 안주애기박쥐, 관코박쥐는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기부에서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보였다. 그러나 검은집박쥐는 말단부의 폭이 더 넓은 특징을 보였다. 또한 관박쥐와 검은집박쥐는 음경골의 중심축이 일직선 형태인 데 반하여 안주애기박쥐는 말단으로 갈수록 아래로 향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관코박쥐는 위를 향해서 휘어진 모습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 이용된 4종의 음경골 형태는 종에 따라서 매우 특징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향후 종별 동정키로의 이용 및 유연관계 파악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자료를 기초로 하여 외부 형태학적 유사성이 높은 Myotis속 내의 음경골 차이 비교와 같은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culum were compared among Rhinolophus ferrumequinum, Hypsugo alaschanicus, Vespertilio sinensis, and Murina hilgendorfi. Their bacula were located at the distal end but their shapes were differed among species. V. sinensis had the longest baculum (mean=7.2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0; Chung and Han 2015) 등과 같은 생태학적 특징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졌으나, 외부 형태학적 특성에 근거한 종의 기초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으로 관박쥐(Rhinolophus ferrumequinum), 안주애기박쥐(Vespertilio sinensis), 관코박쥐(Murina hilgendorfi), 검은집박쥐(Hypsugo alaschanicus) 등 4속 4종에 대하여 음경골의 형태학적 차이 및 특징을 비교하여 음경골을 이용한 종의 동정 및 특징에 관한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 음경골은 일반적으로 종 내에서는 동일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이용해서 박쥐의 종 분류 및 유연관계 확인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서식하는 익수류를 대상으로 지금까지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박쥐 음경골의 형태학적 특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4종의 음경골 형태는 종에 따라서 분명하게 다른 형태를 보였는데, 안주애기박쥐의 음경골 길이가 평균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 대상인 관박쥐, 안주애기박쥐, 관코박쥐, 검은집박쥐 중 음경골의 길이가 가장 긴 박쥐 종은 무엇이며 평균 길이는? 4종의 음경골 외부형태를 분석한 결과 종에 따라서 크기와 모양이 큰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종 가운데 안주애기 박쥐의 음경골 길이가 평균 7.27 mm로 가장 길었으며, 다음으로 관박쥐(평균 5.02 mm), 검은집박쥐(평균 2.
음경골은 어디에서 확인되는 구조인가? 음경골 (baculum)은 익수목 (Chiroptera), 식충목 (Insectivora), 식육목(Carnivora), 설치목(Rodentia) 등에서 확인되는 구조로(Hill and Harrison 1987; Herdina et al. 2010), 지난 수십 년 동안 음경골의 형태는 포유동물의 분류에 사용되어져 왔다(Didier 1954; Baryshnikov and Abramov 1997; Benda and Tsytsulina 2000).
박쥐의 음경골 특징은? 2010), 지난 수십 년 동안 음경골의 형태는 포유동물의 분류에 사용되어져 왔다(Didier 1954; Baryshnikov and Abramov 1997; Benda and Tsytsulina 2000). 박쥐의 경우, 음경골은 일반적으로 짧고(Sinha 1976) 귀두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교미 기관의 주변 조직을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mirnov and Tsytsulina 2003). 음경골에 관한 연구는 초기 Thomas (1915)에 의해 음경골의 가치를 분류학적 특징으로 이용한 이래 Krutzsch (1959), Lanza (1969)가 대익수아목(Suborder Megachiroptera)의 상관관계에 대한 평가에 이용하였으며, Heller and Volleth (1984)는 Pipistrellus속과 Eptesicus속에 대한 연관관계 지표로서 음경골을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ryshnikov GF and AV Abramov. 1997. Structure of baculum (os penis) in Mustelidae (Mammalia, Carnivora). Communication 1. Zoologicheskii Zhurnal. 76:1399-1410. 

  2. Benda P and KA Tsytsulina. 2000. Taxonomic revision of Myotis mystacinus group (Mammalia: Chiroptera) in the western Palearctic. Acta Soc. Zool. Bohem. 64:331-398. 

  3. Chung CU and SH Han. 2015. Characteristics of echolocation calls of the Parti-coloured bat, Vespertilio sinensis, in relation to environment type. J. Env. Sci. Inter. 24:353-358. 

  4. Chung CU, SC Kim and SH Han. 2013. Diurnal roosts selection and home range size in the Myotis aurascen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habiting a rural area. J. Env. Sci. Inter. 22:1227-1234. 

  5. Chung CU, SH Han, CW Lim, SC Kim, HJ Lee, YH Kwon, CY Kim and CI Lee. 2010. General patterns in echolocation call of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Japanese Pipistrelle bat Pipistrellus abramus and Large-footed bat Myotis macrodactylus in Korea. J. Env. Sci. Inter. 19:61-68. 

  6. Didier R. 1954. Etude systematique de l'os penis des mammiferes. Mamm. 18:237-256. 

  7. Dyck MG, JM Bourgeois and EH Miller. 2004. Growth and variation in the bacula of polar bears in the Canadian Arctic. J. Zool (London). 264:105-110. 

  8. Genoways HH and JK Jones Jr. 1969. Taxonomic status of certain long-eared bats (genus Myotis) from the southwestern United States and Mexico. The south. Nat, Dallas. 14:1-13. 

  9. Hamilton WJ. 1949. The bacula of some North American vespertilionid bats. J Mamm. 30:97-102. 

  10. Helleer KG and M Volleth. 1984. Taxonomic position of 'Pipistrellus societatis' Hill, 1972 and the kary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enus Eptesicu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Zeitschrift fur Zoologische Systematik und Evolutionsforschung. Frankfurt am Main. 22:65-77. 

  11. Herdina AN, B Herzig-Straschil, H Hilgers, BD Metscher and H JR. 2010. Histomorhpology of the Penis Bone (Baculum) in the Gray Long-Eared Bat Plecotus austriacu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The Anat. Record. 293:1248-1258. 

  12. Herdina AN, DA Kelly, H Jahelkova, PHC Lina, H Horacek and BD Metscher. 2015, Testing hypotheses of bat baculum function with 3D models derived from microCT. J. Anat. 226:229-235. 

  13. Hill JE and DL Harrison. 1987. The baculum in Vespertilioninae (Chiroptera, Vespertilionidae) with a systematic review, a synopsis of Pipistrellus and Eptesicus, and the descriptions of a new genus and subgenus. Bull. British Muse. Zool. 52: 225-305. 

  14. Jellison W. 1945. A suggested homology of the os penis or os baculum of mammals. J. Mamm. 26:146-147. 

  15. Krutzsch PH. 1959. Variation in the os penis of tropical fruit bats. J. Mamm. 40:387-392. 

  16. Krutzsch PH and TA Vaughan. 1955. Additional data on the bacula of North American bats. J. Mamm. 36:96-100. 

  17. Lanza B. 1969. The baculum of Pteropus and its significance for the phylogenesis of the genus (Mammalia, Megachiroptera). Moni. Zool. Ital. Firenze. 3:37-68. 

  18. LaVal RK. 1973. A revision of the Neotropical bats of the genus Myotis. Sci. Bull. Nat. His. Muse. LA. 15:1-54. 

  19. Nickel K, A Schummer and E Seiferie. 1973. The viscera of the domestic mammals. Paul Parey. Berlin. pp. 360. 

  20. Ottow B. 1955. Biologische Anatomie der Genitalorgane und der Fortpflanzung der Saugetiere. Akademische Verlagsgesellschaft Geest, Jena. pp. 327. 

  21. Sinha YP. 1976. Bacula of Rajasthan bats. Mamm. 40:97-103. 

  22. Smirnov DG and K Tsytsulina. 2003. The ontogeny of the baculum in Nyctalus noctula and Vespertilio murinus (Chiroptera: Vespertilinidae). Acta Chiro. 5:117-123. 

  23. Thomas NM, DL Harrison and PJJ Bates. 1994. A study of the baculum in the genus Nycteris (Mammalia, Chiroptera, Nycteridae) with consideration of its taxonomic importance. Bonn. Zool. Beitr. 45:17-31. 

  24. Thomas O. 1915. The penis bone, or "baculum", as a guide to the classification of certain squirrels. Ann. Mag. Nat. Hist. 8:383-3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