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버케어 전문가'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 진로인식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lver Care Expert' Future Career-related STEAM Program for the Elementary Stu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Career Awareness and Scientific Attitude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1 no.1, 2017년, pp.111 - 134  

유미현 (아주대학교) ,  최정진 (아주대학교) ,  박문숙 (현일초등학교) ,  채수진 (아주대학교) ,  김보라 (성서초등학교) ,  손미현 (무학중학교) ,  임은경 (백암고등학교) ,  유화수 (보인고등학교) ,  서종원 ,  김주미 (과천국립과학관) ,  김수현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에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생 110명이 참여하였다. 54명은 실험 집단으로, 56명은 비교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미래지향 시간관, 진로인식,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 전체 점수와 2개 하위 영역 모두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둘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진로인식 전체 점수와 4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셋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과학적 태도 전체 점수와 7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넷째, '실버케어 전문가'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실험집단 학생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나는 과학기술 분야와 관련된 직업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라는 항목에서 가장 높은 긍정적 인식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 적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미래지향 시간관, 진로인식,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ilver Care Expert' STEAM Program for the elementary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reative thinking activity, scientific attitude and leadership. Participants were 1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p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래하는 고령화 사회의 특징은? 미래연구소가 선정한 미래 우리 사회를 변화시킬 11가지 메가트렌드 중 하나가 ‘고령화 사회’이다. 도래하는 ‘고령화 사회’에서 실버세대의 니즈는 더 이상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행복하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며, 노인인구 형태와 가족구성원의 변화, 노인의 사회‧경제적 변화, 여가활동 추구 등으로 인해 실버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Lee, 2015).
실버케어 산업과 관련하여 어떤 기술들이 있는가? 미래에는 ‘실버케어’와 관련한 새로운 제품들에 대한 실버세대의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실버케어 산업 역시 새로운 미래유망 직업 분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KISTEP에서는 2015년 10대 미래유망기술을 선정하여 발표하였으며, MEST & KOFAC (2010)에서는 미래를 여는 25가지 과학기술을 발표하였는데 그 중 ‘의료 및 U-Health 기술’ 등이 있다.
미래사회에서 고령화 사회로 변화될 것이라 예측한 곳은? 미래유망 직업을 전망하기 위해서는 미래사회의 변화 방향과 모습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미래비전 2040-미래 사회경제구조 변화와 국가발전 전략(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10)’, ‘한국사회의 15대 메가트렌드(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0)’, ‘미래연구백서(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미래를 통찰하는 눈 메가트렌드 2045(Horx, 2015)’, ‘글로벌 고령화 위기인가 기회인가’ 에서 미래사회는 모두 고령화 사회로 변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래연구소가 선정한 미래 우리 사회를 변화시킬 11가지 메가트렌드 중 하나가 ‘고령화 사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oi, H. Y. (2015).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 level, future time perspective, self-contro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dergraduat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 Choi, S.-J. (1995). Crisis and challenge of aging society: Silver business in elderly welfare challenge. Seoul: Nannam. 

  3. Ha, E. S. (2009). Implementation of U-Healthcare service model and care design using sensor network. South Seoul University IT Review, 6(2), 79-91. 

  4. Hong, K., & Jo, J. (2015). A learning effect of the STEAM education in terms of an upp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Korean Education Inquiry, 33(7), 77-99. 

  5. Horx, M. (2015). Future insight - Mega trend 2045. Seoul: Korea Economic Daily. 

  6. Husman, J., & Shell, D. F. (2008). Beliefs and perceptions about the future_a measurement of future time perspective.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8, 166-175. 

  7. Hwang, Y. H. & Lim, M. J. (2015). Design of silver health care system based on big data. Korean IT Marketing Conference Proceeding, 2015(1), 101-103. 

  8. Jin, H. Y. (2005). Caree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career aware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9. Jo, H. I. (2011).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time perspective on self-regulated learning: Self-control as a mediator.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8(2), 61-75. 

  10. Kang, I. A., Kim, H. J., & Kim, D. M. (2012). A case study on the learning effects of the STEAM education using open-source softwares in terms of students' interest in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0(4), 1105-1134. 

  11. Kim, H.-N., Chung, W.-H., & Jeong, J.-W. (1998). National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8(3), 357-369. 

  12. Kim, J. S. (2011). STEAM Education. Seoul: Yang Seo Won. 

  13. Kim, K. H., Lee, J. H., & Lee, W. J. (2010). Trend of smart care technology for silver society. KSCI review, 18(2), 43-52. 

  14. Kim, G. (2012). The effects of the science-based STEAM program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scientific attitude in the elementary gifted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yeonggi, Korea. 

  15.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10). Future vision 2040-future socioeconomic structural change and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Seoul: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6.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KOFAC] (2011). STEAM briefing sourcebook. Seoul: KOFAC. 

  17.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KOFAC] (2016). STEAM program development RFP. Seoul: KOFAC. 

  18.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2015).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romising technologies for the top 10 KISTEP in 2015. Seoul: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19. Lee, J. S. (2010). A study on customers' purchasing behavior of the health care textile design products : Focusing on new silver generation (Unpublished doctoral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H. M. (2013). The effect of using STEAM instruction on the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and scientific attitude : 'Solar system and sta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usan, Korea. 

  21. Lee, S.-J. (2015). A study on the entrepreneur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ilver-care busi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2. Lee, Y. E., & Lee, H. (2014). The effects of engineering design and scientific inquiry based STEAM education programs on the interest, self-efficacy and career choi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8(3), 513-540. 

  23. Lim, Y. N., Min, B. J., & Hong, H. J.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of design-based STEAM program for boosting the career consciousness of 5-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1), 73-84. 

  24. MEST, & KOFAC. (2010). 25 science technologies to open the future. Seoul: MEST & KOFAC.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Japan. (1992, 1993, 1994). Annual report on health and welfare 1992-1993, 1994: The foundation of social development for senior citizens, health and welfare for the elderly: An outline of systems and trends, 1993. 

  26.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0). 15 Major mega trends in Korean society. Seoul: Author. 

  27.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Future research white paper. Seoul: Author. 

  28. Oh, J. H., & Lee, C. H. (2015). The effe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related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STEAM) on elementary students' job recognition.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onference Proceeding, 206-212. 

  29. Park, H. W. (2012). Effects of science lesson applying STEAM education on self-efficacy, interest, and attitude towards sc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yeonggi, Korea. 

  30. Park, N. J. (2015). Development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STEAM textbook program for future promising vocational education. Korean Society of Applied Arts Education Conference Proceeding, 2015(1), 154-154. 

  31. Park, Y. S., Park, K. Y., Kim, M. S., Lee, S. Y., & Seo, J. W. (2015). Application and convergence technique : Analysi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ilver generations with an IoT-based telecare system. The Journal of Korea Navigation Institute, 19(1), 85-90. 

  32. Savickas, M. L., & Silling, S. M. (1984). Time perspective in vocational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5, 258-269. 

  33. Seo, M. K., & Oh, K. S. (1996). Model development of elderly comprehensive welfare town.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4. Sung, S. H., & Shin. Y. J. (2015). The effects of the STEAM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The Journal of Education, 35(1), 1-23. 

  35. Walker, T. L., & Tracey, T. J. G. (2012). The role of future time perspective in career decision-mak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1, 150-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