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s Among Core Competency of Collegiat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Barri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5, 2017년, pp.80 - 89  

하정윤 (순천제일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정민 (가톨릭상지대학교 유아교육과) ,  강지연 (충북대학교 교육혁신연구원) ,  차지철 (충북대학교 교육혁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 변인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대학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CESA 진단도구를 통해 대학생 핵심역량을 확인하였고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 등의 검사 결과를 수집하여 대학 유형에 따른 변인들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 핵심역량의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의사소통역량은 4년제 대학생들보다 지방 전문대 학생들이, 자원 정보 기술활용역량과 글로벌역량은 4년제 대학생들이 더 높은 역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변인들은 대학 간 차이가 분명히 나타나지 않았지만, 진로장벽 변인은 수도권 4년제 대학생들이 지방소재 4년제 및 전문대 학생들에 비해 더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 상위집단 학생들이 하위집단 학생들보다 높은 수준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을 보였고, 낮은 진로장벽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에서 일률적이고 단편적인 진로 프로그램보다는 학생들의 핵심역량과 진로발달 수준을 고려하여한 진로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하는 것이 대학생들의 진로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get necessary information for designing the systematic and practical career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by checking the differences among core competency of collegiate and career variables. In order to do that, the core competence of collegiate was identified through Korea col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K-CESA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핵심역량과 진로 관련 변인과의 차이를 확인하여 대학에서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힌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 핵심역량과 진로 변인과의 차이에 기반을 둔 진로지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대학의 진로교육은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발달과의 관계 속에서 발전해 나가도록 도와주어야 하므로[7], 대학에서 제공하는 진로교육이 보다 효과적이려면 대학생들의 핵심역량과 진로발달 수준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들의 핵심역량과 진로 관련 변인과의 관계는 선행연구에서 제한적이나마 유의미하게 보고 있다[1][42].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를 다시 확인하고, 대학생들의 핵심역량과 진로수준에 따라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진로준비행동은 김봉환[14]이 개발한 도구에 문항을 추가하여 보완한 이명숙[28]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K-CESA)는 대학생 개인의 핵심능력 및 역량정도를 진단하여 대학생의 취업능력 제고를 위한 자기계발 가이드를 제공하고 사회적 변화와 기업의 요구에 부응하는 인재양성을 유도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K-CESA를 통해 진단되는 핵심역량은 자기관리역량,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의사소통역량, 대인관계역량, 글로벌역량, 종합적사고력 등 모두 여섯 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41].
  •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준비를 위해 필요한 행동 요소이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심리 기제이며, 진로장벽은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점에서 이들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핵심역량과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 수준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대학생 핵심역량에 기반을 둔 효과적인 진로교육 및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앞서 분석한 대학생 핵심역량과 진로변인 수준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핵심역량 수준에 따라 진로변인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K-CESA에 참여한 학생들 중에서 진로 관련 변인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핵심역량의 수준을 상위 50%와 하위 50%로 구분하여 진로변인의 수준 차이를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대학생 핵심역량은 대학 소재 및 유형(수도권 4년제/지방 4년제/지방 전문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진로 변인(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은 대학 소재 및 유형(수도권 4년제/지방 4년제/지방 전문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에 따라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차이가 있는가?
  • 첫째, 대학생 핵심역량은 대학 소재 및 유형(수도권 4년제/지방 4년제/지방 전문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진로 변인(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은 대학 소재 및 유형(수도권 4년제/지방 4년제/지방 전문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에 따라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준비행동이란? 먼저, 진로준비행동은 대학생이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살펴보아야 할 주요 변인이다. 진로준비행동은 인지적이고 정서적인 측면보다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행동 차원으로써 합리적이고 올바른 진로결정을 위해서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지, 또한 진로를 결정한 이후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구체적으로 성실하게 노력하는지에 관한 것이다[14].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15][16].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를 확인한 연구는 어떠한 관계를 보이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를 확인한 연구에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성취동기, 직업가치, 진로장벽 등의 상대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이중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가장 유의한 변인임을 규명하였다[35]. 한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진로장벽의 하위요인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정적인 상관과 부적인 상관이 동시에 나타남을 확인한 연구도 발표되었다[30]. 이처럼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는 단순히 이해하기보다 각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면밀히 확인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15][16]. 그리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개인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과정에서 갖게 되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다[17][18]. 또한, 진로장벽은 진로와 관련한 여러 경험 등을 겪는 과정에서 개인의 진로선택, 목표, 포부, 동기 등에 영향을 미치거나 역할 행동을 방해할 것으로 지각되는 여러 부정적 사건이나 상황 등을 말한다[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이숙정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미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119-139, 2013. 

  2. 조혜영, "신입생과 재학생의 진로 및 대학생활에 대한 의식 실태조사 비교연구," 상담평가연구, 제3권, 제2호, pp.15-30, 2010. 

  3. 고재성, 정철영, "대학 진로서비스 평가준거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 개발, 제38권, 제4호, pp.141-160, 2006. 

  4. 김경화,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6호, pp.359-379, 2012. 

  5. 박가열, "대학생 진로개발 역량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2권, 제2호, pp.181-198, 2009. 

  6. 신소영, 박양근, "대학 신입생의 진로 목표 설정을 위한 blended learning program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진로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59-74, 2006. 

  7. 전은화, 정효정, 서응교, "대학생 핵심 역량 기반의 진로 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연구," 열린교육연구, 제23권, 제3호, pp.293-318, 2015. 

  8. 강정은, 진로장벽, 심리적 독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9. 김경하, 대학생의 부모 애착,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 관계 모형의 남녀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0.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1. 김경미, 배영광, 민이슬, 장성화, "진로정체감과 Krumboltz의 과제접근기술이 진로성숙도, 진로장벽,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497-508, 2014. 

  12. 이명순, 박현, "전문대학교 언어재활과 학생들의 실습 불안과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169-179, 2016. 

  13. 허정철,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154-164, 2015. 

  14.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15. 윤주영, "진로결정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학생생활연구(경산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제5권, 제1호, pp.101-123, 2000. 

  16. 장기명,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진로결정수준.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연구," 학생지도연구(원광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제19권, pp.101-132, 1998. 

  17. N. E. Betz and G. Hackett, "The relationship of career related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perceived career options in college women and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8, pp.399-410, 1981. 

  18. R. J. Reese and C. D. Miller, "Effects of a university career development cours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14, No.2, pp.252-266, 2006. 

  19. J. L. Swanson, K. K. Daniel, and D. M. Tokar, "Assessing perceptions of career barriers: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 Journal of Career Assesment, Vol.4, pp.219-244, 1996. 

  20. 김은영,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21. 이제경,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발달의 대학 전공분야별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22. 강희순, "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3호, pp.141-155, 2010. 

  23. 김형균,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성별, 학년별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4. 이형국, 진로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5. 장범식, 체육계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의식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6. 전미애,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7. E. Blustein, "The role of goal instability and career self-efficacy in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Journal Vocational Behavior, Vol.35, pp.194-203, 1989. 

  28. 이명숙,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9. 이현주,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에 따른 인지양식 차이," 교육학연구, 제38권, 제1호, pp.235-257, 2000. 

  30. T. London, "Overcoming career barriers: A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 for realistic appraisal and constructive cop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24, No.1, pp.25-38, 1997. 

  31. Luzzo, "Correlates of mexic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career-related barrie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Chicago, Illinois, 1997. 

  32. 이상희, "진로장애와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중재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2호, pp.375-392, 2007. 

  33. 박용두, 이기학, "정서지능, 지각된 진로장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4호, pp.1041-1056, 2007. 

  34. 조지혜, 성취동기, 직업가치, 진로장벽이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5. 김수리, 부모지지, 진로결정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36. 이순환, 평생교육원에 재학중인 성인학습자의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7. 손은령, "대학생의 개인적 변인과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1-14, 2002. 

  38. 진미석,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제23권, 제1호, pp.105-127, 2013. 

  39. 하정윤, 김성재, "전문대 유아교육 전공 학생들의 핵심역량 분석 및 IPA 기법을 활용한 전공 및 교직과정 개선 연구," 제2회 K-CESA 활용 대학생 핵심역량 학술대회, pp.91-126, 2016. 

  40. www.kcesa.re.kr 

  41. 유순규, 김은주,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K-CESA핵심역량, 진로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진로교육연구, 제29권, 제2호, pp.1-26, 2016. 

  42. K. M. Taylor and N. E. Betz, "Application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2, pp.63-81, 1983. 

  43.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