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EC-GeoRAS를 이용한 하천이설에 따른 홍수범람지역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of flood inundation depth and area according to channel migration and river improvement using HEC-GeoRA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5, 2017년, pp.315 - 324  

지문환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조홍제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4년 8월 25일 집중호우시 효암천 상류지역의 도심과 농경지 등에 큰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이 지역은 고리원전 부지조성을 위해 하구부의 하천이설과 주변지역에 대한 성토 등 대규모 개발사업이 이루어진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발이 홍수시 침수피해의 원인이 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HEC-GeoRAS 모형을 이용하여 개발사업 전 후에 대한 효암천 유역의 침수심과 침수면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HEC-GeoRAS 모형은 농경지 등 지형변화 및 표고차가 작은 하천유역에 대해서도 홍수시 침수심과 침수면적의 변화를 비교적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침수심은 개발사업의 영향으로 2014년 8월 집중호우시 0.99 m가 상승하였고, 100년빈도 홍수시에는 0.39 m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수면적은 100년빈도 훙수시 침수심 1.5 m 이하에서는 감소하였으나 침수심 4.5 m 이상에서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하천이설과 개발사업으로 인해 하구부의 농경지와 저지대의 자연저유기능이 상실된 것이 2014년 8월 집중호우시 홍수발생의 주된 원인이 되었으며, 하천이설에 따라 신설된 하천단면의 총 하폭은 크게 증가하였으나 실질적인 유효하폭은 오히려 축소되어 통수단면적이 감소되었던 것이 침수피해를 가중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하천이설이나 주변지역에 대한 성토 등 개발행위시에는 기존의 저유기능이 충분히 고려된 하천개수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HEC-GeoRAS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changes of flood inundation depth and area of the Hyeoam-cheon basin after the channel migration and river improvement. The target area was extremely damaged due to the heavy rainfall on 25th August, 2014 after the costruction. Accordi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역의 지형형상과 HEC-GeoRAS 횡단면도 및 매개변수를 적용하여 하류부 하천이설과 부지조성 등 개발사업 전·후에 대한 침수해석을 하였다.
  • HEC- GeoRAS 모형을 이용하여 각 빈도별 홍수량 및 2014년 8월 집중호우에 대해 하천이설과 대규모 개발 전·후의 지형변화로 인한 침수구역과 침수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역의 지형형상과 HEC-GeoRAS 횡단면도 및 매개변수를 적용하여 하류부 하천이설과 부지조성 등 개발사업 전·후에 대한 침수해석을 하였다. 계획빈도 20, 50, 80, 100년의 확률강우량과 2014년 8월의 집중호우에 대한 홍수범람해석을 실시하였으며, 빈도 20년 및 100년과 2014년 8월 집중호우에 대한 홍수범람결과를 비교하였다. 홍수범람구역에 대한 모의결과는 Figs.
  • 4 mm 로서 기존 효암천정비기본계획상 100년빈도 확률강우량을 상회한다. 그리고 효암천 상류는 하천개수공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각 설계빈도별 확률강우량도 병행해서 분석하였다. HEC- GeoRAS 모형을 이용하여 각 빈도별 홍수량 및 2014년 8월 집중호우에 대해 하천이설과 대규모 개발 전·후의 지형변화로 인한 침수구역과 침수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대상지역의 개발전·후의 지형변화와 하천측량성과 및 주변지형의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HEC-GeoRAS 모형으로 20년 및 100년빈도 홍수량과 2014년 8월 실측홍수량에 대한 침수심과 침수심별 면적변화 등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였으며, Table 4 및 Fig. 17에 나타내었다.
  • 따라서 기존의 하천수계에 대한 홍수분석만으로는 홍수범람과 그에 따른 침수면적과 침수심 등을 재현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횡단 측량자료와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횡단접합자료의 구축이 용이하고, 빈도별 범람해석과 그에 따른 침수면적과 침수심의 변화를 해석할 수 있는 HEC-GeoRAS 모형을 이용하여 효암천 유역의 침수피해원인을 분석하였으며, 앞으로의 방지대책을 검토하였다.
  • 이를 위해 효암천 본류 및 지천인 화양천과 화산천에 대한 하천측량을 실시하였고, 2014년 8월 집중호우시 발생하였던 침수현황에 대해 조사·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2014년 8월 25일 발생하였던 효암천 유역의 침수피해를 분석하기 위해 대상지역에 인접한 강우관측소의 강우량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관측소 현황은 Fig. 5와 같다. 2014년 8월 25일 발생하였던 집중호우에 대한 각 관측소별 1시간 최대우량은 명곡 58.
  • 본 연구대상지역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명산리에 위치한 효암천 유역이며(Fig. 1), 대부분 농경지와 산지로 구성되어있다. 효암천은 지방 2급 하천으로서 유역면적이 25.
  • 본 연구대상지역의 하천은 대부분 미개수하천이며, 개수하천에 비해 하폭이 좁고 하도가 미정비되어 있어 집중호우 시 침수위험성이 높은 지역이다. 그러나 하천주변으로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어 대규모 집중호우 시 농경지에 빗물이 저류되어 침수피해를 저감시킨다.
  • 본 연구대상지역인 효암천 하구부는 부산과 울산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리원전 부지조성을 위해 하구부에 대한 유로이설과 주변지역 약 2.5 km2에 대해 약 10 m 높이로 대규모 성토가 이루어졌다. 이설된 구간은 하천개수와 직강화를 통해 홍수소통능력이 증가된 것처럼 보이지만, 기존 하천의 하구부가 가지고 있었던 저류기능이 없어졌다.
  •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효암천 전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례는 하천이설 및 개발에 따라 대상지역에 대규모 침수피해를 발생시켰던 2014년 8월에 발생한 국지성 집중호우로 정하였다. 지속시간 1시간 및 2시간 강우량은 각 121.
  • 2014년 8월 집중호우로 인해 효암천 중·상류부 농경지와 도심지역에 대규모 침수가 발생하였으며, 침수피해 발생원인이 하천이설과 주변지역개발에 있는지, 또는 단순히 설계강우 이상의 집중호우에 있는지를 구명하는 것이 추후 효암천 유역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상태이다. 연구대상지역은 하구부의 하천이설과 대규모 성토를 통해 개발된 지역에 위치한 하천은 하천개수공사가 시행되었고, 대규모 침수피해는 개발행위와 전혀 상관이 없는 상류지역의 농경지나 시가지에서 발생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하천수계에 대한 홍수분석만으로는 홍수범람과 그에 따른 침수면적과 침수심 등을 재현할 수 없다.

이론/모형

  • HEC-GeoRAS 모형을 이용하여 효암천 하구부의 하천이설과 대규모 성토에 따른 하천 상류부의 홍수발생원인과 침수심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유출해석에 필요한 경계조건인 조도계수 및 기점홍수위는 효암천 하천정비기본계획(Ulsan Metropolitan City, 2001)에서 사용하였던 개발 전·후의 조도계수 0.035와 기점홍수위 1.25 m를 적용하였으며, 조위에 따른 배수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홍수위산정은 부등류 계산법으로 분석하였다.
  • 전술한 HEC-GeoRAS 모형을 적용시키기 위해 연구대상지역의 개발사업 전·후 지형형상은 1:5000의 2D 및 3D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Arcview 모델로 가시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발사업을 시행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최근 산업단지개발 및 택지개발사업과 같은 대규모 개발사업이 빈번히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개발사업이 시행되면서 주변의 지형을 변화시켜 개발사업 지역이 아닌 인근 지역에 대규모 침수피해를 유발시키고 있는 사례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개발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개발사업지역 뿐만 아니라 인접지역에 대한 재해영향여부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단순히 홍수량의 변화만을 고려하여 재해영향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개발사업으로 인한 지형변화는 주변지역의 재해발생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하천 하구부 이설이나 농경지 유역의 하천에 대한 대규모 개발사업은 유역의 수리 ․ 수문학적 변화가 크기 때문에 개발사업계획시나 재해영향평가시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산업단지개발 및 택지개발사업과 같은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인해 일어나는 피해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2000년대 이후부터 이상기후로 인한 돌발성 집중호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한 침수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산업단지개발 및 택지개발사업과 같은 대규모 개발사업이 빈번히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개발사업이 시행되면서 주변의 지형을 변화시켜 개발사업 지역이 아닌 인근 지역에 대규모 침수피해를 유발시키고 있는 사례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개발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개발사업지역 뿐만 아니라 인접지역에 대한 재해영향여부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단순히 홍수량의 변화만을 고려하여 재해영향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홍수량의 변화만을 고려하여 재해영향여부를 판단할 경우 주변지역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개발사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개발사업지역 뿐만 아니라 인접지역에 대한 재해영향여부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단순히 홍수량의 변화만을 고려하여 재해영향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개발사업으로 인한 지형변화는 주변지역의 재해발생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하천 하구부 이설이나 농경지 유역의 하천에 대한 대규모 개발사업은 유역의 수리 ․ 수문학적 변화가 크기 때문에 개발사업계획시나 재해영향평가시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Hong, S. H., and Sim, M. G. (2009). "Practical application technique of flooding inundation using HEC-GeoRA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2, No. 4, pp. 31-38. 

  2. Kim, K. H., Shin, H. S., Jung, S. H., and Kim, J. S. (2012). "Comparative study on flood inundation according to river terrain modific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Proceeding pp. 251-255. 

  3. Lee, J. S., Moon, C. G., Kim, S. D., Cho, S. G., and Shin, S. C. (2012). "A study on construction techniques of river topography for flood inund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Geo-Environmental Society, KGES, Vol. 13, No. 5, pp. 59-68. 

  4. Moon, C. G., Lee, J. S., Cho, S. G., and Shin, S. C. (2014).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models using topographic feature." Journal of the Korea Geo-Environmental Society, KGES, Vol. 15, No. 1, pp. 69-77. 

  5. Park, J. D., and Choi, J.M. (2011). "Flood area estimation and evacuation path analysi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KSIS, Vol. 19, No. 1, pp. 1-11. 

  6. Ulsan Metropolitan City (2001). Basic plan for the Hyeoam-cheon and Wiyang-cheon Maintenance. 

  7. Yang, W. S., and Yang, S. K. (2013). "Stream flood analysis of dry stream on flood runoff in Island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2, No. 5, pp. 571-5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