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람의 영향에 의한 관측 강우 손실에 대한 베이지안 모형 분석
Bayesian analysis of adjustment function for wind-induced loss of precipit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8 no.3, 2017년, pp.483 - 492  

박영우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  김영민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  김용구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으로 우량계로 측정된 강수량은 지상에 도달한 실제 강수량보다 적게 관측된다. 측정된 강수량이 실제 강수량 보다 적게 측정되는 것은 강수의 형태 (snow, fixed, rain)나 우량계의 종류 그리고 공간적인 특성에 의해 강수량의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Nitu, 2013). 이는 강수량의 손실을 발생시키는 계통오차 (systematic errors) 때문이며, 일반적으로 고체 강수량의 계통오차는 보통 액체 강수량보다 크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에 의한 고체 강수량의 언더캐치(under-catch)를 알아보고, 겨울에 내리는 모든 강수의 형태 (snow, mixed, rain)에 대하여 연속조정함수를 소개하였다. 이를 위해 고창 표준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객관적으로 데이터를 가장 잘 설명하는 모형을 선택하고 평가하기 위해 베이지안 분석을 이용할 것이다. 이번 연구는 강수량 측정에서 Catch Radio의 계통적 구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cipitation is one of key components in hydrological modeling and water balance studies. A comprehensive, optimized and sustainable water balance monitoring requires the availability of accurate precipitation data. The amount of precipitation measured in a gauge is less than the actual precipit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표는 바람에 의한 고체 강수량의 언더캐치 (under-catch)를 알아보고, 겨울에 내리는 모든 강수의 형태 (snow, mixed, rain)에 대하여 연속조정함수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창 표준 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 할 것이며, 객관적으로 데이터를 가장 잘 설명하는 모형을 선택하 고 평가하기 위해 베이지안 분석을 이용할 것이다.

가설 설정

  • 1. Catch Ratio는 풍속과 온도의 함수이다.
  • 여기서는 Catch Ratio에 대하여 시간 t에서 동일한 분산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시간 t에서 동일하지 않은 분산을 가정하여 모형을 확장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분산의 유연성 있는 확대가 필요하다.
  • 예비 탐색적 연구에서, 제안된 모형의 모수는 강수 형태에 따라 동일하지 않음을 보여주었으므로, R의 특성은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이러한 것은 강수의 형태에 따라, 모형 인덱스 P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모수의 값을 허용하도록 한다.
  • 그렇다면 불확실성을 모형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모형에 한 단계를 추가하여 확장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의 정도가 시간 t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확한 강수량 데이터는 무엇을 위해 필요한가? 강수량은 지구상의 물에 대해 연구하는 수문모델링과 수증기의 획득, 강수량에 의한 소비 등의 수분수지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포괄적이고 최적의 수분 수지 관찰을 위해서는 정확한 강수량 데이터 이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우량계를 통해서 측정된 강수량은 정확도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우량계로 측정된 강수량이 실제 강수량보다 적게 관측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우량계로 측정된 강수량은 지상에 도달한 실제 강수량보다 적게 관측된다. 측정된 강수량이 실제 강수량 보다 적게 측정되는 관측 강우 손실은 강수의 형태 (snow, fixed, rain)나 우량계의 종류 그리고 공간적인 특성에 의해 강수량의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Nitu, 2013). 이는 강수량의 손실을 발생시키는 계통오차 (systematic errors) 때문이며, 일반적으로 고체 강수량의 계통오차는 보통 액체 강수량보다 크다고 알려져 있다.
강수량은 무엇에 쓰이는 요소인가? 강수량은 지구상의 물에 대해 연구하는 수문모델링과 수증기의 획득, 강수량에 의한 소비 등의 수분수지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포괄적이고 최적의 수분 수지 관찰을 위해서는 정확한 강수량 데이터 이용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ib, S. and Greenberg, E. (1995). Understanding the metropolis-hastings algorithm. The American Statistician, 49, 327-335. 

  2. Gelman, A., Carlin, B. P., Stern, H. S., Dunson, D. B., Vehtari, A. and Rubin, D. B. (2013). Bayesian data analysis, 3rd ed., CRC Press. 

  3. Goodison, B. E., Louie, P. Y. T. and Yang, D. (1998). WMO solid precipitation measurement intercomparison. WMO Instruments and Observing Methods Rep.67, WMO/TD-No.872, 212. 

  4. Kim, Y. and Kim, H. J. (2012). Stochastic precipitation modeling based on Korean historical data.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1309-1317. 

  5. Lee, J. E. (2014)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solid precipitation measurement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6. Lee, J. J. and Kim, Y. (2016). A spatial analysis of Neyman-Scott rectangular puls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 1119-1131. 

  7. Nitu, R. (2013). Cold as SPICE, Meteorological Technology International, 148-150. 

  8. Rasmussen, R., Baker, B., Kochendorfer, J., Meyers, T., Landolt, S., Fischer, A. P., Black, J., Theriault, J., Kucera, P., Gochis, D., Smith, C., Nitu, R., Hall, M., Cristanelli, S., and Gutmann, E. (2012). How well are we measuring snow?.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93, 811-829. 

  9. Strangeways, I. (2004). Improving precipitation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4, 1443-1460. 

  10. Theriault, J. M., Rasmussen, R., Ikeda, K. and Landolt, S. (2012). Dependence of snow gauge collection efficiency on snowflake characteristics. Journal of Meteorology and Climatology, 51, 745-762. 

  11. WMO (2008). Guide to meteorolo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observation, 7th edition, WMO No. 8, Geneva. 

  12. Wolff, M.A., Isaksen, K., Petersen-Overleir, A., Odemark, K., Reitan, T. and Braekkan, R. (2015). Derivation of a new continuous adjustment function for correcting wind-induced loss of solid precipitation, results of a Norwegian field study.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9, 951-9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