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성적 농촌경관평가 기법과 정책 활용 - 영국의 경관특성평가제도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
A Study on Qualitative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for Rural Areas and Its Environmental Policy Implementation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3 no.2, 2017년, pp.19 - 28  

이상우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전진형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김수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환경과학과) ,  안경진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the significance and need of landscape assessment for rural area has been recognised, an appropriate method has not been established due to the lack of statutory ground and policy status in Korea. For that reason, current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dominantly amenity field survey in specif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러 연구자들과 기관들에 의해 수행된 농촌에 대한 현황 및 실태조사나 농촌 발전을 위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농촌 발전을 위한 총괄적인 정책의 기본 방향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정준용 등, 2014).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수행된 국내 농촌경관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기존연구에서 제시되었던 정량적 농촌경관평가 방법들이 정책적 활용에 있어서 갖게 되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정성적인 농촌경관평가 기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정성적인 경관특성평가를 실무에 도입하여 정책에 활용하고 있는 잉글랜드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국내 농촌경관 정책에 적용 가능한 정성적 경관평가방법 또는 정량적 평가 방법과 정성적 평가 방법을 병행하는 경관평가 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평가에 따른 농촌경관의 이분법적 선악 구분이 아닌, 경관의 특성에 중점을 둔 잉글랜드의 정성적 경관특성평가 방법을 살펴보면서 기존 정량적 농촌경관평가를 정성적 방법으로 보완하거나 정량적 평가방법과 정성적 평가방법을 병행하는 경관평가 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잉글랜드 북부 도시 게이츠헤드 시의 사례연구를 통해 경관특성평가의 일반적인 가이드라인부터 지역특성에 맞는 정성적 사전조사와 현장조사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출하는 과정까지 살펴봄으로써 정성적 평가방법의 제안뿐만 아니라 실제 조사방법을 세부적으로 제안하여 실무 적용가능성을 높이고자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실정에 적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정성적 농촌경관평가방법론을 제시하고자 기존 수행되어 온 국내 농촌경관평가 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러한 연구 결과가 정책적으로 활용되는 데에 있어서 농촌경관의 정량적 평가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잉글랜드의 정성적 농촌경관평가 방법인 경관특성평가의 평가 방법 및 정책적 적용과 비교를 통해 정성적 방법론이 국내 농촌경관평가법과 농촌경관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농촌경관평가 방법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농촌경관의 정량적 수치화를 목표로 진행되었고, 제시된 평가 지표가 서로 상반되거나 중복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농촌경관평가의 결과 역시 결과 값을 이용한 정책적 활용과 농촌 경관의 미래 예측은 답보를 거듭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량적 지표로 일관된 기존 농촌경관평가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 가능한 정성적 경관평가 요소에 관해 고찰하고 정책적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방법은 크게 문헌조사와 사례연구로 이루어졌으며, 국내에서 실시된 농촌경관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및 사업을 분석하고, 잉글랜드의 경관평가 제도인 경관특성평가(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LCA)의 분석을 통해 경관특성평가의 목표, 주요 내용과 조사 및 평가 수행 지침 등을 파악하였다.
  • 농촌경관평가 방법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농촌경관의 정량적 수치화를 목표로 진행되었고, 제시된 평가 지표가 서로 상반되거나 중복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농촌경관평가의 결과 역시 결과 값을 이용한 정책적 활용과 농촌 경관의 미래 예측은 답보를 거듭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성적 농촌 경관 평가 방법인 경관특성평가를 분석을 통해 국내의 정량적 농촌 경관평가 방법을 보완하고자 하였으며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경관특성평가의 사전조사와 현장조사의 절차 및 방법론과 정책적 반영 과정에 있어서 이해관계자들과의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도출된 농촌지역의 경관특성평가 및 정성적인 조사방법론과 정책연구에 관한 연구내용을 주로 하였으며 특히 현장조사의 경우 현장조사야장의 작성과 2인1조의 경관관련 직종의 전문가를 통해 수행하게 되는 조사 방법을 제시하여 이론적 경관평가방법의 정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한 매뉴얼 사례를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평가에 따른 농촌경관의 이분법적 선악 구분이 아닌, 경관의 특성에 중점을 둔 잉글랜드의 정성적 경관특성평가 방법을 살펴보면서 기존 정량적 농촌경관평가를 정성적 방법으로 보완하거나 정량적 평가방법과 정성적 평가방법을 병행하는 경관평가 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잉글랜드 북부 도시 게이츠헤드 시의 사례연구를 통해 경관특성평가의 일반적인 가이드라인부터 지역특성에 맞는 정성적 사전조사와 현장조사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출하는 과정까지 살펴봄으로써 정성적 평가방법의 제안뿐만 아니라 실제 조사방법을 세부적으로 제안하여 실무 적용가능성을 높이고자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수행된 국내 농촌경관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기존연구에서 제시되었던 정량적 농촌경관평가 방법들이 정책적 활용에 있어서 갖게 되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정성적인 농촌경관평가 기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정성적인 경관특성평가를 실무에 도입하여 정책에 활용하고 있는 잉글랜드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국내 농촌경관 정책에 적용 가능한 정성적 경관평가방법 또는 정량적 평가 방법과 정성적 평가 방법을 병행하는 경관평가 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각각의 조사 지점마다 전체 경관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경관이나 시각적 요소를 사진촬영을 통해 기록하였으며, 특히 사전조사에서는 명확히 알기 어려웠던 시각적 요소들을 기록하였다. 한편, 본 평가의 목적은 각 지역의 전체적 경관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경관과 시각적 요소를 찾는 것으로, 너무 특수한 지역에만 영향을 주는 개별적 경관요소는 조사하지 않았으며, 일반 사람들에게도 접근성이 좋은 곳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현장조사에서는 경관 민감성에 대한 모의평가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나중에 사전조사와 함께 검토 후 관련 정책에 반영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0년대부터 농촌진흥청에서 진행한 농촌어메니티 조사 자료를 활용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왔는데 이 때 어떤 연구들이 시도되었는가? 이후에는 2000년대부터 농촌진흥청에서 진행한 농촌어메니티 조사 자료를 활용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왔다. 특히 농촌어메니티 자원들을 유형별로 재분류하고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통해 경관자원의 유형별 가중치를 구하여 이를 경관자원의 개수, 다양성 등과 연계하여 농촌경관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시도와 녹지자연도, 개방성 등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평가기법과 연계하여 농촌경관의 정량화를 시도하는 연구들이 이어졌다. 이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배승종 (2005)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및 RS (Remote Sensing) 기법을 이용한 면 수준 농촌어메니티 가치 평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에서 농촌어메니티 중 하나인 경관을 평가하기 위해 농촌경관가치도(RSVI, Rural Scenic Value Index)를 개발 하였는데, 농촌을 토지피복형태에 따라 산림, 논, 밭, 수체, 주거지 등 5가지의 경관단위로 구분하고, 시거리에 따른 가중치와 경관단위의 면적을 이용하여 경관 가치를 평가하였다.
농촌 고유의 경관이 훼손된 이유는? 농촌은 인간생활과 자연환경의 조화 속에 편안하며 정겨운 이미지를 연출하는 곳으로, 인위적 환경이 우세한 도시지역과 구분되어져왔으나 이러한 농촌 고유의 이미지는 1960년대 이후의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해체되기 시작했다 (변병설, 2004). 이후, 농촌 고유의 경관은 무분별한 토지이용과 건축 규제 완화 등의 사회적 요인들과 맞물려 훼손되었으며, 정부에서는 2000년대 부터 농촌관광을 통한 지역발전에 있어 농촌 경관을 주요 자원으로 내세우고 농촌 지역의 경관을 국토관리 차원에서 다루는 방안들을 검토하게 되었고 (김상범 등, 2012), 이에 농촌 경관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함께 관련 연구가 꾸준하게 수행되어 왔다. 초기 농촌경관평가와 관련된 연구는 중요경관, 선호경관, 저해 경관 등의 구별을 위한 시각적 선호도, 슬라이드 평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기법 등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이후에는 시각 및 지각적 경관 가치 파악의 일환으로 주민의식 조사 등에 관한 연구가 행해졌으나 시각적 요소에 치우친 연구가 주로 이루어 졌다 (이동근 등, 2005).
농촌의 이미지는? 농촌은 인간생활과 자연환경의 조화 속에 편안하며 정겨운 이미지를 연출하는 곳으로, 인위적 환경이 우세한 도시지역과 구분되어져왔으나 이러한 농촌 고유의 이미지는 1960년대 이후의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해체되기 시작했다 (변병설, 2004). 이후, 농촌 고유의 경관은 무분별한 토지이용과 건축 규제 완화 등의 사회적 요인들과 맞물려 훼손되었으며, 정부에서는 2000년대 부터 농촌관광을 통한 지역발전에 있어 농촌 경관을 주요 자원으로 내세우고 농촌 지역의 경관을 국토관리 차원에서 다루는 방안들을 검토하게 되었고 (김상범 등, 2012), 이에 농촌 경관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함께 관련 연구가 꾸준하게 수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Myung June, Pae Jeong-Hann, Joo Shin-Ha, Shin Ji-Hoon, Lee Dong Kun, 2008, Developing the Assessment System of Rural Amenity Landscap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4(2), 77-84. 

  2. Ahn Tong-Mahn, Ju-Dong Son, Myung-Soo Kim, 2005, Rurality and Preferances of Rural Landscapes in Korea - A Comparison of Evaluations by Koreans and Foreigners -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1(3):43-52. 

  3. Baek Jong-In, Ban Yong-Un, Woo Hye-Mi, Choi Na-Rae, 2010, An Evaluation of Rural Landscape and Comparativ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Space Types : Focused on Residents and Visitors of Seondong Region, Gochang-Gun, Jeollabuk-Do, Kore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6(4):1-11. 

  4. Ban Yong-Un, Baek Jong In, Kim Min-Ah, Yoon Jin-Ok, 2008, Classifying Rural Landscape Types and Developing Rural Landscape Evaluation Indicators Using Expert Delph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4(3):53-61. 

  5. Ban Yong Un, Kim Min Ah, Jung Jae Ho, Baek Jong In, 2009, Evaluating Subjective Landscape of Rural Region Using Additive Integration Index Calculation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5(2):27-42. 

  6. Bea Seung Jong, 2005, Development of A Rural Amenity Values Assessment Model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Remote Sensing,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7. Byun Byung-seol, 2004, Problems and Confrontation Strategies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 6:102-126. 

  8. Carys Swanwick, Land Use Consultants, 2002,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guidance for England and Scotland, Scottish Natural Heritage. 

  9. Christine Tudor and Natural England, 2014, An Approach to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Sheffield, Natural England. 

  10. Jung Hae-Joon, Han Ji-Houng, 2015, Strategies to Reinforce the Connectivity between Landscape Planning and National Planning : with focus on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in the UK,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0(8):39-61. 

  11. K.An, 2007,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for Gateshead Council, WYG, 1-32. 

  12. Kim Ki Sung, Lee Yong Hee, 2003, Analysis for the Accessibility and Suitability of Tourism Farm in Chuncheo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9(1):19-26. 

  13. Kim Sung-Keun, Cho Woo-Hyun, Im Seung-Bin, 1999, Landscape Evaluation of Rural Stream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5(1): 35-44. 

  14. Kim Sang Bum, Son Ho GI, Kim Eun Ja, Lee Dong Gwan, 2012, A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Rural Landscape Plan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8(4):35-44. 

  15. Lee Dong-Kun, Yoon Eun-Joo, Kim Eun-Young, Cho Soon-Jae, 2007, A Study on Rural Landscape Assessment Based on Rural Amenity Resour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3(1), 11-17. 

  16. Lee Dong-Kun, Ok Ju-Hee, Hong Chan-Sun, Youn So-Won, Park Chang-Sug, Yoo Heon-Seok, 2005, A Study on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about Rural Landscape Resources - Centered on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Rural Village -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1(2), 21-34. 

  17. Lee Jung-A, Lee Yoo-Kyoung, Lee Sang-Woo, Chon Jin-hyung, 2011, Landscape Resources Evaluation strategy of rural waterfront villages - An application to a rural waterfront village along the Han river -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7(3): 91-101. 

  18. Nicola Garmory, Rachel Tennant, Clare Winsch, 2007, Professional Practice for Landscape Architects, Architectural Press, 129,155pp. 

  19. Presidential Commission on Architecture Policy, 2012, A Plan for Improvement of the System through Empirical Rural Landscape Study. 

  20. Ra Jung-Hwa, Lee Yong-Eun, Cho Hyun-Ju, Ku Ji-Na, Kwon Oh-Sung,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andscape Diversity Evaluation Model on the Basis of Rural and Nat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6):84-95. 

  21. Song Hee-Jung, Kim Dae-Sik, 2013, A Study on Development of Diagnostic Index for Measure of Rural Villages Landscapes Lev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3):107-116. 

  22. Song Hee-Jung, Kim Dae-Sik, Doh Jae-Heung, Koo Hee-Dong, 2013, A Study on Application of Landscape Diagnosis Index and Landscape Formation Plan of Rural Villa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4): 149-160. 

  23. Suh Joo-Hwan, Sim Sung-Bo, Jeon Young-Im, Park Tae-Hee, Cho Young-Bai, 2002, Landscape Valuation Fabricating Factors of Importance in Rural Landscape - The case of Rural Culture Village - , Design Research Institute of Kyunghee University, vol.5. 

  24. Thomas Lillesand, Ralph W. Kiefer, Jonathan Chipman, Remote Sensing and Image Interpretation, John Wiley & Sons, Inc, 2015, 1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