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재료의 폼알데하이드 방출 특성 및 탄화보드에 의한 저감 효과
Formaldehyde Emission of Building Materials and Effect of Carbonized Board on Their Reduction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3, 2017년, pp.327 - 334  

장재혁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이민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이상민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박상범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각종 건축재료폼알데하이드 방출 특성 및 탄화보드에 의한 이들의 저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챔버법으로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약 12일간 소형 챔버 내에서의 폼알데하이드 저감 성능은 탄화보드(90%), 죽탄보드(84%), 규조토판넬(82%), 알로펜타일(78%), 소나무판재(58%), MDF (54%), 석고보드(46%)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티클보드(PB)로 채워진 $1.9m^3$ 크기의 챔버 내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을 68일간 조사한 결과, 탄화보드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챔버의 크기 및 PB 면적 대비 탄화보드를 각각 약 10% 및 30% 투입하면 폼알데하이드를 약 40% 및 75% 이상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ormaldehyde emission of building materials and effect of carbonized-board (c-board) on formaldehyde reduction using a chamber method. As a result, reduction performance of formaldehyde was in the order of c-board (90%), c-bamboo board (84%), diatomite-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각종 건축재료의 폼알데하이드 방출 및 흡착 성능을 평가하고, 탄화보드의 투입이 이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탄화보드는 소형 챔버 내에서 단기적으로 약 90%의 폼알데하이드 흡착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중형의 챔버 내에서는 장기적으로 75% 이상의 폼알데하이드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내공기질의 개선을 위해서는 유해물질 방출이 적은 자재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재료로 이미 조성된 실내 공간에서의 폼알데하이드 방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의 하나로 탄화보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각종 건축자재들에 대한 폼알데하이드 방출 특성을 선행 조사하고, 탄화보드의 적용 면적에 따른 폼알데하이드의 저감 성능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종 건축자재 및 가구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실내오염물질은? , 2007). 각종 건축자재 및 가구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실내오염물질로는 휘발성유기화합물, 석면 및 라돈 그리고 폼알데하이드를 들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폼알데하이드는 그 노출 정도에 따라서 눈, 코, 목의 자극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사망에 이르게까지 하는 치명적인 인체 유해성을 갖고 있다(Arts et al., 2006; Casset et al.
최근 실내공기질 관리법의 폼알데하이드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은? , 2006). 환경부에서 고시한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도 폼알데하이드를 주요 오염물질 중 하나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들의 실내공기질 유지 기준이 최초 시행 당시인 2004년에는 120 µg/m3 이하였던 것이 최근에는 100µg/m3 이하로 상향 조정되는 등 규제가 강화되기도 하였다(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04; 2017).
탄화보드의 투입이 각종 건축재료에 미치는 영향은? 본 연구에서는 각종 건축재료의 폼알데하이드 방출 및 흡착 성능을 평가하고, 탄화보드의 투입이 이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탄화보드는 소형 챔버 내에서 단기적으로 약 90%의 폼알데하이드 흡착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중형의 챔버 내에서는 장기적으로 75% 이상의 폼알데하이드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특정 공간의 크기 및 기타 목질판상제품이 차지하는 면적 대비 탄화보드의 투입 비율에 따라 예상되는 폼알데하이드 저감 효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었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rts, J.H.E., Rennen, M.A.J., Heer, C. 2006. Inhaled formaldehyde: Evaluation of sensory irritation in relation to carcinogenicity.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44: 144-160. 

  2. Brown, S.K. 1999. Chamber assessment of formaldehyde and VOC emissions from wood-based panels. Indoor Air 9: 209-215. 

  3. Casset, A., Marchand, C., Purohit, A., Calve, S., Uring-Lambert, B., Donnay, C., Meyer, P., Blay, F. 2006. Inhaled formaldehyde exposure: Effect on bronchial response to mite allergen in sensitized asthma patients. Allergy 61: 1344-1350. 

  4. Darmawan, S., Sofyan, K., Pari, G., Sugiyanto, K. 2010.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addition on formaldehyde emission of medium density fiberboard.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7(2): 100-111. 

  5. Ferdosian, F., Pan, Z., Gao, G., Zhao, B. 2017. Bio-based adhesives and evaluation for wood composite application. Polymers 9(2): 70. 

  6. Im, D.-H., Chu, Y.-S., Song, H., Lee, J.-K. 2009. Formaldehyde adsorp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ydrothermal reacted panels using porous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46(6): 627-632. 

  7. Ingrosso, G. 2002. Free radical chemistry and its concern with indoor air quality: an open problem. Microchemical Journal 73: 221-236. 

  8. JIS A 1901. 2015. Determination of the emiss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ldehydes by building products- Small chamber method. Japanese Industrial Standard (JIS), Japanese Standards Association, Tokyo. 

  9. Kim, H.-J., Song, K.-D., Lee, Y.-G. 2008. A study of mock up test for reduction of HCHO using the functional gypsum board.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20(12): 814-819. 

  10.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04; 2017. Indoor air quality control in public use facilities, etc. act. 

  11. KS F 2612. 2011. Performance test for evaluating the reduction of formaldehyde concentrations by sorptive building materials. Korea Standards Associ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12. Lee, H.-Y., Park, S.-B., Park, J.-Y., Lee S.-M. 2007.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finishing in a newly constructed wooden house.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5(6): 83-90. 

  13. Lee, M., Kang, E.-C., Lee, S.-M. 2016. Evaluation of anti-sapstain activity of rice powder adhesives modified with wood preservative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4(6): 872-879. 

  14. Lee, M., Park, S.-B., Byeon, H.-S., 2014a. Sound absorp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carbonized fiberboards with three different densitie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5): 555-562. 

  15. Lee, M., Park, S.-B., Byeon, H.-S., Kim, J.-I. 2014b. Developing of sound absorption composite boards using carbonized medium density fiberboard.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6): 714-722. 

  16. Lee, M., Park, S.-B., Lee, S.-M. 2016. Comparison of moisture absorption/desorption properties of carbonized boards made from wood-based panel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4(3): 424-429. 

  17. Lee, O.-K., Choi, J.-W., Jo, T.-S., Paik, K.-H. 2007. Adsorption of formaldehyde by wood charcoal- based building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5(3): 61-69. 

  18. Oh, S.-W., Park, S.-B., Kim, J.-I., Hwang, J.-W. 2013. Effect of carbonization temperature on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electric properties of carbonized board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1(1): 58-63. 

  19. Park, B.-D., Kang, E.-C., Lee, S.-M., Park, J.-Y. 2016. Formaldehyde emission of wood-based composite panels with different surface lamination materials using desiccator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4(4): 600-606. 

  20. Park, S.-B. 2007. Charcoal board absorbing harmful VOC using wood-based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orea Patent. No. 10-07765450000. 

  21. Park, S.-B., Lee, M., Son, D.-W., Lee, S.-M., Kim, J.-I. 2014. Fire performance of carbonized medium density fiberboard manufactu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Journal of Wood Science 60: 74-79. 

  22. Park, S.-B., Lee, S.-M., Park, J.-Y., Lee, S.-H. 2009. Manufacture of crack-free carbonized board from fiberboard.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7(4): 293-299. 

  23. Watanabe, O., Fukumizu, H., Ishida, H. 2005. Effect on reduction of harmful substances by using porous material with meso-pores. Tokyo, Japan, Proc. of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ly Conscious Design and Inverse Manufacturing, pp. 143-1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