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재배 단감 과수원의 병해충 종합관리기술
Comprehensive Pest Management Techniques of Organic Cultivation Sweet Persimmon Orchard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5 no.2, 2017년, pp.445 - 460  

최덕수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 ,  마경철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 ,  고숙주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 ,  김효정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 ,  이진희 (전남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단감 유기재배 선도농가의 병해충 방제 실태조사, 주요 병해충에 대한 친환경 방제자재 선발, 수립한 방제시스템의 현장실증시험을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동안 수행하였다. 유기재배 선도농가의 주 재배품종은 "부유"였으며, 병해충 방제를 연간 9~17회 유기농업 자재를 살포하였다. 피해가 가장 심한 병해충은 탄저병, 노린재, 감꼭지나방, 깍지벌레 등이었으며, 사용한 방제자재는 결정석회황합제, 황토유황, 유화제, 보르도액 그리고 마늘, 은행, 소나무를 이용한 자가제조 식물추출물제를 이용하였다. 탄저병 방제에 효율적인 자재는 결정석회황, 황토유황이었고, 마늘유+ 시트로넬라유제, 고삼종자 추출물+차추출물제가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독나방에 효과적이었다. 감꼭지나방 교미교란트랩을 60개/10a 설치하면 감 착과율을 30% 향상시켰다. 유기재배 단감에 연간 10회 방제하는 방제시스템의 현장실증시험 결과 70.7%의 과일을 수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확기 즈음인 9월, 10월에는 약제를 살포할 수 없기 때문에 이때 가해하는 노린재류의 피해는 감소하지 않았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ree years from 2013 to 2015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pest control of domestic persimmon organically cultivated farmers, to select environment - friendly pest control materials for major pests, and to conduct field test of established control system.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로 유기재배 농가 방문 시 쉽게 목격할 수 있었던 현상은 어린잎이 약해가 발생하여 잎이 갈변되고 있는 모습이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유기재배 농가에서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자재의 처리시기 및 농도별 약해 발생 여부를 조사하여 안전사용 기준을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유기자재의 약해발생 여부는 처리농도와 온도, 습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 우리나라 친환경농업 육성정책에 의하면 2016년부터 저농약 인증제가 폐지되고 무농약과 유기농으로 전환하여야 하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단감을 재배하는 유기재배 기술개발은 현재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단감 유기재배 선도농가들의 병해충 관리실태를 조사하고, 주요 병해충에 대한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며 유기재배의 병해충방제 매뉴얼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감꼭지나방은 과일을 낙과시키는 치명적인 해충으로 유기농업자재 살포만으로 방제하기는 어려운 해충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방제방법을 찾고자 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에 의한 밀도경감효과를 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15년 5월 중순에 유기재배 단감과원 10,000㎡에 결속형 교미교란트랩을 5×5 m 간격으로 520개 설치하고, 그 중간에 예찰용 델타트랩을 설치하여 시기별 발생량과 최종적인 낙과율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감의 국내 재배면적은? , 2015). 단감을 포함한 우리나라의 감 재배면적은 2016년 35,062 ha이며, 그 중 단감은 10,002 ha으로 지역별로는 경남 5,623 ha, 전남 3,028 ha으로 두 지역이 우리나라 재배면적의 86%를 차지한다(http://kosis.kr).
단감 과수원의 지표면 관리방법에 따른 생물다양성을 조사한 결과는? 2012). 감 과수원의 지표면 관리방법 즉 녹비작물 재배, 초생재배, 청경재배에 따라 과수원 내 생물다양성을 조사하였는데, 토양 내 서식 미소동물 종과 개체 수가 유기재배는 22종 838개체, 초생재배 17종 421개체, 청경재배 15종 381개체로 유기재배가 훨씬 많은 개체 수가 서식한다고 하였다(Choi et al., 2013).
국내의 단감 재배 지역은? 단감은 온대성 과수로 연평균 기온이 11~15℃ 이상인 곳이 재배적지로 국내에서는 경남, 전남에서만 재배하였는데 최근 기온이 점차 따뜻해지며 중부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Kim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D. S., D. I. Kim, S. J. Ko, B. R. Kang, J. D. Park, K. J. Choi, and S. S. Kim. 2013. Effects of biodiversity and pests insects occurrence on surface management methods in persimmon orchards. KOREAN J. ORGANIC AGRI. 21: 669-684. 

  2. Choi, D. S., D. I. Kim, S. J. Ko, B. R. Kang, K. S. Lee, J. D. Park, and K. J. Choi. 2012. Occurrence ecology of Ricania sp. (Hemiptera: Ricaniidae) and selec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for control. Korean J. Appl. Entomol. 51. 141-148. 

  3. Chung, B. K., S. W. Kang, and J. H. Kwon. 1995. Damages, occurrences and control off hemipterous insects in non-astringent persimmon orchards. RDA. J. Agri. Sci. 37: 376-382. 

  4. http://kosis.kr 

  5. Jung, Y. H., E. J. You, D. Y. Son, J. H. Kwon, D. W. Lee, S. M. Lee, and H. Y. Choo. 2014. A survey on diseases and insect pests in sweet persimmon export complexes and fruit for export in Korea. Korean J. Appl. Entomol. 53. 157-169. 

  6. Kim, B. S., D. S. Choi, B. H. Kim, H. J. Kim, K. C. Ma, S. J. Ko, D. I. Kim, H. J. Kim, K. C. Jo, and D. M. Son. 2015. Organic cultivation manual of sweet persimmon. Jeonnam ARES. 8-15. 

  7. Kim, I. S., K. I. Hong, M. J. Han, and M. H. Lee. 1997. Survey on the occurrence of quarantine pests for export in major non-astringent persimmon production areas in Korea. RDA. J. Crop. Protec. 39: 67-71. 

  8. Kwon, J. H. and C. S. Park. 2004. Dissemination of conidiospore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the anthracnose of persimmon and disease development. Res. Plant Dis. 10. 272-278. 

  9. Kwon, J. H., H. S. Lee, S. T. Choi, C. K. Shim, and H. J. Jee. 2013. Control of powdery mildew on sweet persimmon using cooking oil and yolk mixture in the orchard. Korean J. Organic Agri. 21. 265-270. 

  10. Kwon, J. H., S. G. Jeong, and B. K. Chung. 2007. Survey of overwintering inoculum potential of anthracnose of sweet persimmon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Res. Plant Dis. 13. 204-206. 

  11. Lee, H. S., B. K. Chung, T. S. Kim, J. H. Kwon, W. D. Song, and C. W. Rho. 2009. Damage of sweet persimmon fruit by the innoculation date and number of stink bugs, Riptortus clavatus, Halyomorpha halys and Plautia stali. Korean J. Appl. Entomol. 48. 485-491. 

  12. Lee, K. C., C. H. Kang, D. W. Lee, S. M. Lee, C. G. Park, and H. Y. Choo. 2002. Seasonal occurrence trends of hemipteran bug pests monitored by mercury light and aggregation pheromone traps in sweet persimmon orchards. Korean J. Appl. Entomol. 41. 233-238. 

  13. Lim, T. H., Y. H. Choi, I. K. Song, K. R. Kim, D. W. Lee, and S. M. Lee. 2008. Survey of actual condition of management of persimmon orchards in Sangju, Gyeongbuk in 2007 and 2008.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2. 414-420. 

  14. Park, C. G., K. H. Yum, and J. K. Jung. 2012. Damage reduction effect and attracted distance by aggregation pheromone trap of the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Hemiptera: Alydidae) in soybean fields. Korean J. Appl. Entomol. 51. 411-419. 

  15. Park, E. C., K. H. Choi, J. W. Kim, S. W. Cho, and G. H. Kim. 2001. Effect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the persimmon fruit moth, Stathmopoda masinissa (Lepidoptera: Stathmopodidae). Korean J. Appl. Entomol. 40. 297-300. 

  16. Park, E. C., H. J. Park, G. H. Kim, and J. W. Kim. 2001. Developmental ecology of persimmon fruit moth, Stathmopoda masinissa Meyrick (Lepidoptera: Stathmopoddae). Korean J. Appl. Entomol. 40. 41-43. 

  17. Yiem, M. S., M. S. Yung, and Y. S. Kim. 1988. Studies on the investigation off pest and disease occurrences in non-astringent persimmon trees and chemical controls of two key diseases. Res. Rept. RDA(H) 30: 64-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