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 의료기기 분야에 섬광 방사선량계를 이용한 선량 측정의 발전
in vivo & real-time scintillation dosimetry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 =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0 no.5, 2017년, pp.19 - 27  

박형우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  김민정 (방사선과학연구소)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방사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술의 목적은 방사선의 불필요한 피폭량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기존방사선량 측정은 조사되는 방사선 반대편에서 인체투과 후의 방사선량을 측정해 인체에 조사된 방사선량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 본 리뷰 논문에서는 방사선 치료 의료기기의 발전과 함께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 개발되고 있는 방사선량계를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상기 언급한 체내 실시간 의료용 방사선량계의 필요성과 섬광 선량 측정의 요소 기술들의 소개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 그룹 또한 다양한 섬광체 제작 및 성장 기술을 바탕으로 보다 정확하고 높은 효율을 가지는 방사선 측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플라스틱 섬광체 제작의 경우 중합반응(polymerization)을 이용하여 섬광체의 성장 크기 및 모양을 원하는 형태로 제작한다.
  • 본 리뷰 논문에서는 방사선 치료 의료기기의 발전과 함께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 개발되고 있는 방사선량계를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상기 언급한 체내 실시간 의료용 방사선량계의 필요성과 섬광 선량 측정의 요소 기술들의 소개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방사선이라는 특수환경으로 발생하는 물리적 현상과 의료용으로 고려해야 될 부분을 기술하여, 섬광 선량 측정 기술 개발에 관련된 소재 및 소자 레벨의 연구에 참고가 되길 바란다.
  • 섬광 방사선량계의 구성은 방사선을 측정 가능한빛으로 변화시키는 섬광체와 변환된 빛 신호를 포토센서를 통해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선량을 나타내는 구성이 기본적이다. 하지만 본 리뷰 논문에서는 광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섬광체와 포토 센서 사이에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섬유 기반 섬광 방사선량계를 기술한다. 섬광체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방사선에 의해 여기된 전자가 안정 상태로 돌아가면서 방출하는 빛을 이용하여 방사선의 에너지 및 선량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사성 영상 진단 장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방사선 의료기기 분야는 방사선의 높은 투과성을 이용하여 절개 없이 인체 내부에 병적 요소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 장치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영상 진단 장치로 엑스선 촬영(X-ray),혈관 조영 검사(angi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검사 장치 등이 있다. 방사선 치료 분야는 절개없이 국소 부위에 높은 에너지를 집중시켜 암을 치료하기 때문에 위험한 위치에 있는 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방사선 치료 분야가 위험한 위치에 있는 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이유는? 이러한 영상 진단 장치로 엑스선 촬영(X-ray),혈관 조영 검사(angi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검사 장치 등이 있다. 방사선 치료 분야는 절개없이 국소 부위에 높은 에너지를 집중시켜 암을 치료하기 때문에 위험한 위치에 있는 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절개수술을 통한 암 제거 후에 남아있을 수 있는 미세 암세포를 제거하는 보조적 치료 수단으로 사용된다.
방사선의 위험성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방사선을 이용한 의료분야의 발전과 함께 방사선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도 높아졌다. 특히 방사선치료는 암 세포를 괴사(necrosis) 시킬 정도의 높은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변 정상 세포 및 주요 장기 등에 악영향을 주어 새로운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방사선사용의 우려보다 의료분야에서 가지는 이득이 높기 때문에 방사선 의료분야의 발전은 불필요한 피폭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세기 조절 방사선 치료(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영상유도방사선치료(image-guided radiation therapy, IGRT), 입체 세기 조절 회전 방사선 치료(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정위적방사선수술(stereotactic radiosurgery,SRS), 호흡 동조 방사선 치료(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RGRT) 등의 다양한 방사선 치료 기술 개발로 이어졌다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W. T. Brown, X. Wu, F. Fayad, J. F. Fowler, B. E. Amendola, S. Garcia, H. Han, A. De La Zerda, E. Bossart, and Z. Huang, Clinical lung cancer, 8 (2007). 488-492. 

  2. R. A. Popple, J. B. Fiveash, I. A. Brezovich, and J. A. Bonner,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77 (2010). 932-941. 

  3. G. A. Zakaria, W. Schutte, and S. Garbe, in, Springer Handbook of Medical Technology , Springer, 2011, pp. 897-920. 

  4. Hamamatsu Photonics. 

  5. E. E. Klein, J. Hanley, J. Bayouth, F. F. Yin, W. Simon, S. Dresser, C. Serago, F. Aguirre, L. Ma, and B. Arjomandy, Medical physics, 36 (2009). 4197-4212. 

  6. S. O'Keeffe, D. McCarthy, P. Woulfe, M. Grattan, A. Hounsell, D. Sporea, L. Mihai, I. Vata, G. Leen, and E. Lewis, The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 88 (2015). 20140702. 

  7. M. Reynolds, B. Fallone, and S. Rathee, Medical physics, 40 (2013). 

  8. L. Beaulieu and S. Beddar,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61 (2016). R305. 

  9. A. Beddar, Radiation Measurements, 41 (2006). S124-S133. 

  10. C. W. Van Eijk,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47 (2002). R85. 

  11. R. N. Kjellberg and M. Abe, in, Modern stereotactic neurosurgery, Springer, 1988, pp. 463-470. 

  12.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13. A. Beddar, T. Mackie, and F. Attix,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37 (1992). 925. 

  14. Y. Roussakis, R. Zhang, G. Heyes, G. Webster, S. Mason, S. Green, B. Pogue, and H. Dehghani,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60 (2015). N419. 

  15. L. A. Jarvis, R. Zhang, D. J. Gladstone, S. Jiang, W. Hitchcock, O. D. Friedman, A. K. Glaser, M. Jermyn, and B. W. Pogue,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89 (2014). 615-622. 

  16. D. McCarthy, S. O'Keeffe, E. Lewis, D. G. Sporea, A. Sporea, I. Tiseanu, P. Woulfe, and J. Cronin, IEEE Sensors Journal, 14 (2014). 673-685. 

  17. N. Suchowerska, M. Jackson, J. Lambert, Y. B. Yin, G. Hruby, and D. R. McKenzie,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79 (2011). 609-6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