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난방 열배관망 운영데이터 기반의 파손확률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Failure Probability Model based on Operation Data of Thermal Piping Network in District Heating System 원문보기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5 no.3, 2017년, pp.322 - 331  

김형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에너지공학과) ,  김계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  김래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역난방은 국내에 1985년 처음 도입되었다. 지하 열배관망의 사용연한이 30년 이상 증가함에 따라, 지하에 매설된 열수송 배관 특성상 유지관리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후화가 진행된 열배관망 유지보수를 위한 정기적인 점검, 운영관리 시 다양한 복합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현장에서 경제적 관점에서 최적 유지보수 및 교체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는 모형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지역난방공사 수도권 5개 지사열 배관망 운영 시 보수이력과 사고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정성적 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통계적 기법을 도입하여 파손확률 모델을 개발하였다. 보수이력 및 사고성 자료의 정성적 분석 결과, 파이프라인 손상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건설 시공불량, 배관의 부식과 자재 불량이 전체의 약 82%를 차지했다. 통계 모델 분석에서는 분류의 분리 점을 0.25로 설정함으로써 열배관 파손 및 비 파손 분류의 정확도가 73.5%로 향상 되었다. 파손확률 모델 수립을 위해 Hosmer와 Lemeshow 검정과 독립변수의 유의성 검정, 모델의 Chi-Square 검정을 통해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 하였다. 열배관망 파손의 위험순위 분석결과에 따르면 파손확률을 가장 높이는 경우는 겨울철 서울지역 자동차 도로에 있는 10년 이상 된 250mm이하 배관 Reducer에서 F 건설회사가 시공했던 열배관망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열배관망 시스템의 유지관리 및 예방점검, 교체 사업 우선순위를 정할 때 활용 가능하다. 또한 이를 통하여 점검 유지보수 등 사전에 사고예방 계획을 수립하여 대처함으로써 열배관 파손의 빈도를 감소시키고 보다 적극적인 열배관망 관리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trict heating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1985. As the service life of the underground thermal piping network has increased for more than 30 years, the maintenance of the underground thermal pipe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A variety of complex technologies are required for periodic ins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공사 열배관망 대상지역 시설의 지열 및 누수 사고의 보수 이력자료를 이용하여 관 파손에 영향이 큰 인자를 추출하고 관의 파손과 비파손 유형별로 분석하여 통계적인 확률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열배관망 파손확률 모델을 수립하고, 파손의 위험순위를 분석하여 관 파손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를 추출함으로써, 현장에서 경제적 관점에서 최적 유지보수 및 교체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는 모형개발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공사 열배관망 대상지역 시설의 지열 및 누수 사고의 보수 이력자료를 이용하여 관 파손에 영향이 큰 인자를 추출하고 관의 파손과 비파손 유형별로 분석하여 통계적인 확률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열배관망 파손확률 모델을 수립하고, 파손의 위험순위를 분석하여 관 파손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를 추출함으로써, 현장에서 경제적 관점에서 최적 유지보수 및 교체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는 모형개발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③ X3 ( j) : 관할시의 수도권 5개 지역은 “용인 < 고양 < 남부 < 성남 < 서울” 순으로 파손확률이 높고 고양시를 기준으로 서울의 파손확률은 3.97배 더 높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단에너지 생산시설이 이용효율과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 효과가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집단에너지 생산시설은 다른 에너지 생산시설에 비해 에너지절 감과 연료사용량아 낮아 이용효율과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도 효과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2008년 1월 실시된 한국지역난방공사 화성 열병합 발전소 시험결과 일반 화력발전의 전력 생산 효율이 49.
집단에너지는 어떻게 나뉘어질 수 있습니까? 집단에너지란 1개소 이상의 집중된 에너지 생산시설(열병합발전 설비, 열전용보일러, 자원회수시설 등)과 생산된 에너지(열 또는 열과 전기)를 주거, 상업지역 또는 산업단지 내의 다수 사용자에게 일괄적으로 공급하는 열수송시설로 나눌 수 있다[1]. 집단에너지 시설에서 생산된 열을 대규모로 공급하기 시작된 시점은 1985년 서울시에서 목동신시가지에 최초 공급을 시작하였다.
관경이 작을수록 파손이 일어날 확률이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조사된 자료의 특성을 분류한 결과 사고 발생건수가 관경이 작을수록 파손이 일어날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관경이 커질수록관의 두께도 증가하므로 내·외력에 견디는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관경별 파손특성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관경이 작을수록 파손율이 크고 관경이 커질수록 파손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50A이하의 경우 340건으로 전체 사고건의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DHC, "Business Manual of Group Energy Enterprise," Korea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Manual, 1(3), 22-43(2010). 

  2. KDHC, "Thermal Piping Facility Construction Work Guide," Korea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Manual, 2(1), 40-60(2010). 

  3. KDHC, "Thermal Piping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Guide Book," Korea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2(1), 141-180(2010). 

  4. KDHC, "Thermal Piping Equipment Technical Manual (Dual insulated pipeline)," Korea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Manual, 2(1), 202-213(2010). 

  5. https://www.kdhc.co.kr/content.do?sgrpS22&siteCmsCdCM3654&topCmsCdCM3692&cmsCdCM3702&pnum1&cnum0. 

  6. Park, S. B., "Development of a Probability Model for Water Main Burst Risks Using the Leakage Type Analysis Methods," University of Seou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5-9(2008). 

  7. Kim, M. J., "A Probability model for burst risks of water pipies using statistic methods", University of Seou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2004. 

  8. Kleiner, Y. and Rajani, B., 2001, "Comprehensive Review of Structural Deterioration of Water Mains : Statistical Models," Urban Water, 3, pp131-150. 

  9. Kim, B. S., "A Study on Management of Gas Transportation Pipelines Based on Integrity Assessment System", Dept. of Chemical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of Kwangwoon University, 38-62(2012). 

  10. KOSHA Guide, "Technical Guidelines for Pipeline Major Accident Emergency Planning,"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M-157-2012. 

  11. Lee, H. S. and Lim, J.-H., "SPSS 22 Manual," Jyphyunjae Publishing Co., ISBN 978-89-97304-42-4, pp366-386(2015). 

  12. Korea District Heating Corporation, http://www.kdhc.co.kr 

  13. Kim, G. B., "Analysis of Accident Cause and Statistical Accident Probability Model of District Heating Pipel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Department of Energy& Environment Graduate School, 29-30(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