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계류의 소형보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mall dam in a stream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9 no.2, 2017년, pp.252 - 258  

박혜경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이성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정수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정형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과) ,  김재근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계류에서 보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도림천 상류에서 계단식 구간(100m 당 3.02개의 보)과 비계단식 구간(100m 당 0.96개의 보)을 나누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정성, 정량 조사하였다. 평균 유속은 계단식 구간(0.043m/s) 보다 비계단식 구간(0.149m/s)에서 더 빨랐다. 정수역을 선호하는 파리목(Diptera)는 비계단식 구간(32%)보다 계단식 구간(78.3%)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다(p<.05). 유수역을 선호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는 계단식 구간(4.5%)보다 비계단식 구간(14.1%)에서 더 풍부하게 출현하였다(p=.203). 날도래목(Trichoptera)는 종에 따라 출현하는 빈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주워먹는 무리(gathering-collector)비계단식 구간보다 계단식 구간에서 1.8배나 많이 출현하였다(p<.05). 반면 걸러 먹는 무리(filtering-collector)는 계단식 구간에서 약 4.4배 더 많이 출현하였다(p=.124). 균등도 지수(J')는 계단식 구간과 비계단식 구간에서 각각 0.41과 0.77로 나타났다. 수환경을 평가하는 데 이용되는 한국오수생물지수 KSI는 계단식 구간과 비계단식 구간에서 각각 4.0과 2.4이었다. 군집의 균형성을 나타내는 EPT/C 지수는 계단식 구간과 비계단식 구간에서 각각 0.1과 0.7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형보를 계류에 설치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mall dam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surveyed wit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llecting methods from 4 sites at a terraced interval (3.02 small dams per 100 m) and from 5 sites at a non-terraced interval (0.96 small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습지생태계의 확보를 위하여 계류에 설치한 소형보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여 보고자 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수환경에 따른 특정 종의 유무, 종수와 개체수의 분포 등 군집구조의 차이가 뚜렷하여 생물학적 지표종으로써 하천 생태계의 환경을 평가할 때 주로 사용되고 있다(Kim et al.
  • 본 연구에서는 계류에 소형보가 설치된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여 생태계가 완전히 평형상태에 도달한 장소를 선택하여 보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하나의 계류에 구간별로 소형보가 밀집된 부분과 없는 부분으로 나누어 소형보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계류에 소형보가 설치된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여 생태계가 완전히 평형상태에 도달한 장소를 선택하여 보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하나의 계류에 구간별로 소형보가 밀집된 부분과 없는 부분으로 나누어 소형보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관악산에서 발원하는 도림천의 상류 구간에는 설치된 보로 인해 계단식 지형이 형성되어 있어 유속이 느려지거나 물이 고여 있는 구간이 존재한다.
  • 관악산에서 발원하는 도림천의 상류 구간에는 설치된 보로 인해 계단식 지형이 형성되어 있어 유속이 느려지거나 물이 고여 있는 구간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가 설치된 구간과 설치되지 않은 구간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을 분석하여 보가 가지는 생물서식공간의 특성을 보여주고, 이를 통하여 계류의 보가 생물다양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5 mm의 정량 채집망인 Surber net (30 cm × 30 cm)을 사용하여 총 3600 cm2에서 채집하였다. 정성채집은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채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망목지름 0.7 mm 뜰채(직경 20 cm)를 이용하여 5분 동안 다양한 환경에서 채집했다. 채집된 표본은 현장에서 70% 알코올로 고정하여 보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조성의 목표는 무엇인가? 최근 각종 개발 사업으로 인한 생태계 및 자연환경의 훼손이 심해지면서 국내외에서는 황폐해진 도시환경을 개선하고자 소규모 생물서식공간(Biotop)을 조성하여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고 생물종의 안정적인 서식처를 확보하는 등 생태적 측면에서의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Park and Ding, 2008). 대표적으로 서울시에서 생태계 네트워크 구축 및 자연환경복원의 일환으로 남산 천일약수터 지역과 동쪽 계곡부에 친환경 공법으로 도심 내 생태계의 모태 역할을 할 수 있는 습지, 물웅덩이 형태로 생물서식공간을 조성하여 생태계 회복을 기대하였다(Kang and Lee, 2006).
생물서식공간의 조성 또는 관리의 효과가 검증될 수 있는 조건은? , 2004). 이와 같이 관리 계획 또는 서식공간 조성 방안이 제시된 후 계획을 반영한 사업이 실시되고 이후의 상황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어야 조성 또는 관리의 효과가 검증될 수 있다. 다른 생물서식공간 조성에 대한 효과 검증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물웅덩이 형태의 생물서식공간 조성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검증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서울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 조성의 예시와 목표는 무엇인가? 최근 각종 개발 사업으로 인한 생태계 및 자연환경의 훼손이 심해지면서 국내외에서는 황폐해진 도시환경을 개선하고자 소규모 생물서식공간(Biotop)을 조성하여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고 생물종의 안정적인 서식처를 확보하는 등 생태적 측면에서의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Park and Ding, 2008). 대표적으로 서울시에서 생태계 네트워크 구축 및 자연환경복원의 일환으로 남산 천일약수터 지역과 동쪽 계곡부에 친환경 공법으로 도심 내 생태계의 모태 역할을 할 수 있는 습지, 물웅덩이 형태로 생물서식공간을 조성하여 생태계 회복을 기대하였다(Kang and Lee,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e, YJ, Won, DH, Hoang, DH, Jin, YH and Hwang JM (2003). Community composition and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aquatic insects according to stream order from the Gapyeong Creek in Gyeonggi-do, Korea, Korean J. of Limnology, 36(1), pp. 21-28. [Korean Literature] 

  2. Bae, YJ (2010). Insect Fauna of Korea, Vol. 6, No. 1, Mayflies (Larvae) (Arthropoda: Insecta: Ephemeropter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Korean Literature] 

  3. Bae, YJ (2011). Insect Fauna of Korea, Vol. 4, No. 1, Damselflies (Arthropoda: Insecta: Odonata: Zygopter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Korean Literature] 

  4. Bae, YJ and Lee, HY (2012). Insect Fauna of Korea, Vol. 4, No. 2, Dragonflies (Arthropoda: Insecta: Odonata: Anisoptera: Gomphidae, Aeshnidae, Cordulegastrid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Korean Literature] 

  5. Cummins, KW (1974). Structure and function of stream and ecosystems, Bioscience, 24, pp. 631-641. 

  6. Edington, JM (1968). Habitat preferences in net-spinning Caddis larva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influence of water velocity, J. of Animal Ecology, 37(3), pp. 675-692. 

  7. Han, SK (2003). An Introduction Plan in the Friendly Environmental Improvement Policy of Water Quality -A Used Case of Water Gate System of Multistep-, M.A. dissertation. Cheongju Univ. [Korean Literature] 

  8. Hynes, HBN (1963). Imported organic matter and secondary productivity in streams, Proceedings of 16th International Congress of Zoology, 4 pp. 324-329. 

  9. Jung, KS (2011). Odonata of Korea, Ilgongyuksa. [Korean Literature] 

  10. Jeong, J, Choi, YS, Kim, JS, Kim, JH, Park, SJ and Park, BH (2008). Evaluation of ecological health in upper stream of Dongbok reservoir using benthic invertebrates, Report of WQRI, 17(2), pp. 15-28. [Korean Literature] 

  11. Jeong, SB, Hwang, DJ, Kim, YJ, Shin, HH and Son, YU (2005). Species composition of the catches collected by a bottom trawl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in summer, 2004, Bulletin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41(1), pp. 35-45. [Korean Literature] 

  12. Ju, YD, Chae, DY, Kim, JM and Bae, YS (2010). Study on the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fter construction of Pyeonghwaui dam, Korea, Korean J. of Nature Conservation, 4(1), pp. 43-47. [Korean Literature] 

  13. Kang, HK and Lee, SD (2006). A study of creating a biotope in Namsan urban natural park, J.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9(2), pp. 45-48. [Korean Literature] 

  14. Kil, BS, Jeon, ES, Kim, YS, Kim, CH, Yun, KW, Yoo, HG, Kim, BS and Kim, HC (1998). Flora and distribution of Mt. Nam park, Seoul, Korean J. of Ecology, 21(5), pp. 603-631. [Korean Literature] 

  15. Kim, BS, Lee, CW, Seo, EW and Lee, JE (2012). The influence of sediment control dam dredging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of mountain stream, J. of Korean Forest Society, 101(3), pp. 454-460. [Korean Literature] 

  16. Kim, JG, Park, JH, Choi, BJ, Shim, JH, Kwon, KJ, Lee, BA, Lee, YW and Ju, EJ (2006), Method in Ecology, Bomoondang. [Korean Literature] 

  17. Kim, MC, Chun, SP and Lee, JK (2013). Invertebrates in Korean Freshwater Ecosystems, Geobook. [Korean Literature] 

  18. Lee, JE and Jung, KS (2012). Insect Fauna of Korea, Vol. 4, No. 3, Dragonflies (Arthropoda: Insecta: Odonata: Corduliidae, Macromiidae, Libellulid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Korean Literature] 

  19. Lee, KJ, Park, IH and Oh, KK (1987). Analysis of vegetational community structure and phytosociological changes during eight years of the Namsan nature park in Seoul, J. of Korean Forest Society, 76(3), pp. 206-217. [Korean Literature] 

  20. Lee, KJ, Han, BH and Lee, SD (2004). Ecological management plan and biotope structure of Namsan urban natural park in Seoul,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5), pp. 102-118. [Korean Literature] 

  21. Lee, YH (2013).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 at Region of River Restorations in Palmi Stream, M.A. dissertation. Sangji Univ. [Korean Literature] 

  22. Margalef, RH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pp. 36-71. 

  23. Park, YJ and Ding, GD (2008). Measures for creation and management of small scale biotop in megalopolis, J. of the Korean Society of Plant and Environmental Design, 4(3), pp. 17-22. [Korean Literature] 

  24. Plafkin, JL, Barbour, MT, Porter, KD, Gross, SK and Hughes, RM (198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enthic Macroinverterbrates and Fish,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181. 

  25. Ro, TH and Chun, DJ (2004). Functional feeding group categorization of Korean immature aquatic insects and community stability analysis, Korean J. of Limnology, 37(2), pp. 137-148. [Korean Literature] 

  26. Shin, HS, Park, SC, Kim, JK, Kim, SJ, Park, JH, Choi, JS and Choi, JK (2006). Community analysis based on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aquatic insects in Wonju stream,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2), pp. 259-266. [Korean Literature] 

  27. Sim, KS (2011). Influence of Weir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es, M.A. dissertation. Andong Univ. [Korean Literature] 

  28. Son, SH (2007). Effects of Artificial Structure on Stream Ecosystem (O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Fishs, and Stream Vegetations), M.A. dissertation. Soonchunhyang Univ. [Korean Literature] 

  29. Wallace, JB, Webster, JR, and Woodall, WR (1977). The role of filter feeders in flowing waters, Archiv fur Hydrobiologie, 79, pp. 506-532. 

  30. Ward, JV (1992). Aquatic Insect Ecology, John Wiley & Sons, Inc. 

  31. Wilhm, JI (1972). Graphic and mathematical analysis of biotic communities in polluted stream, Annual Review of Entomology, 17, pp. 223-252. 

  32. Williams, DD and Feltmate, BW (1992). Aquatic Insects, CBA Internationals, Oxon, UK. 

  33. Won, DH, Kwon, SJ and Jun, YC (2005). Aquatic Insects of Korea, Korea Ecosystem Service. 

  34. Won, DH, Jun, YC, Kwon, SJ, Hwang, SJ, Ahn, KG and Lee, JK (2006), Development of Korean saprobic index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its application to biological stream environment assessment,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2(5), pp. 768-783. [Korean Literature] 

  35. Yoon, IB, Bae, YJ, Lee, SH, Kim, JI and Lee, SJ (1992). Bent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 Kyung-an stream, Survey Research Report of Natural Ecosyste in Kyung-an Stream, Kyunggido, pp. 137-168.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