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확대 수술환자 사진의 비율 측정치를 이용한 유방유형 분류
Breast Type Classification of Breast Augmented Patients Using Photogrammetric Ratio Measurements(PRM)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1 no.2, 2017년, pp.61 - 77  

이경화 (가톨릭대학교 의류학전공) ,  손부현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systems for the human body have been studied, there is still an error between the measurements by the two-dimensional measurement method and the three-dimensional scanning method.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breast, the outline is not clear. The breast is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성형외과 병원에서 유방확대수술 전/후에 촬영한 정면 및 측면사진을 대상으로 유방 세부 측정 항목의 측정점들을 연결하는 선을 그려서 선분이 이루는 각도와 각 선분의 비율을 구하여 수술전후 유방의 형태상 변형 정도를 파악하고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집단간 유형을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비율은 수술전후 변형이 없는 치수항목을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정면에서의 가슴너비나, 앞중심길이, 측면에서의 목앞점 위치에서 허리선까지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였다.
  • 비율은 수술전후 변형이 없는 치수항목을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정면에서의 가슴너비나, 앞중심길이, 측면에서의 목앞점 위치에서 허리선까지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였다. 현재 성형외과에서 3차원 스캐닝 없이 수술 전후 사진촬영으로 유방의 형태 비교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직접측정이나 3차원 측정을 하지 않아도 사진촬영만으로 유방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 분류된 유방유형은 수술전후의 형태변화를 설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유방확대수술 후 변화된 유방유형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이들을 위한 브래지어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차원 측정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최근 3차원 측정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3차원 측정은 기존에 측정 불가했던 여러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DB구축과 자료의 반복 사용, 자료이용의 융통성 등 많은 장점이 있어 의류산업분야에 있어서도 점차 활용범위를 넓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3차원 측정치가 의류제품에까지 효율적으로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유방의 세부적인 3차원 형태 분석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특히 유방의 경우 윤곽선이 뚜렷하지 않고 그 구성 요소들이 피하지방과 유선조직 등 유연 조직이므로 직접측정 시 변형이 쉬워 정확한 형태 파악에 어려움이 있고 여성이 노출을 꺼려하는 신체의 부위이므로 피험자 선정이 어려워 유방의 세부적인 3차원 형태 분석에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Lee & Hong, 2002). 제 5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의 3차원 인체 데이터를 이용한 성인 여성의 유방형태 분류를 실시한 연구(Kim & Do, 2010)에서 스캐닝을 통해 얻어진 인체측정 데이터와 인체치수조사에서 측정되지 않은 항목에 대하여 RapidForm2006을 이용하여 계측함으로써 C컵 이상의 유방유형을 4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유방 세부 측정 항목의 측정점들을 연결하는 선분의 비율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성형외과 병원에서 유방확대수술 전/후에 촬영한 정면 및 측면사진을 대상으로 유방 세부 측정 항목의 측정점들을 연결하는 선을 그려서 선분이 이루는 각도와 각 선분의 비율을 구하여 수술전후 유방의 형태상 변형 정도를 파악하고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집단간 유형을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비율은 수술전후 변형이 없는 치수항목을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정면에서의 가슴너비나, 앞중심길이, 측면에서의 목앞점 위치에서 허리선까지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였다. 현재 성형외과에서 3차원 스캐닝 없이 수술 전후 사진촬영으로 유방의 형태 비교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직접측정이나 3차원 측정을 하지 않아도 사진촬영만으로 유방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Cho, E. J., & Sohn, H. S. (2001). A study on the poor beast shapes for 20's wome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1), 11-18. 

  2. Kim, N. S., & Do, W. H. (2010). A classification of the breast shape from the 3D body scan data-Focused on bigger than C cup siz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6(3), 38-48. 

  3. Korean Standard Association. (2008a). Garment construction and anthropometric surveys-body dimensions(KS A ISO 8559). Seoul: Korean Industrial Standards. 

  4. Korean Standard Association. (2008b). Basic human body measurements for technological design(KS A ISO 7250). Seoul: Korean Industrial Standards. 

  5. Lee, H. Y., & Hong, K. H. (2002). Fundamental morphological consideration for the 3-D shape analysis of the middle-aged women's brea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5), 703-714. 

  6. Lim, J. Y. (2003). Classification of size system of brassiere according to the breast types for improvement of the wearing comfort.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6), 119-129. 

  7. Pandarum, R., Yu, W. & Hunter L. (2011). 3-D breast anthropometry of plus-sized women in South Africa, Ergonomics. 54(9), 866-8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