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간 동기 방식의 OTP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A Digital Door Lock System Using Time- Synchronous One Time Password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1 no.5, 2017년, pp.1027 - 1034  

황형진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  김권양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  하일규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OTP (One-time- Password)를 이용한 로그인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OTP 방식은 은행의 개인 계정 보안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어온 방법으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받아 사용하는 보안성이 강화된 방법 중 하나이다. 한편,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락은 편의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요구한다.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관련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 보안성에는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비밀번호 입력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비밀 번호 노출, 망각 등과 같은 부작용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밀 번호 노출과 망각의 위험이 없는 보안성과 편의성이 강화된 OTP 기반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OTP (One-time-Password) log-in methods have been used in many areas to prevent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enhance security. The OTP method is primarily used for security of bank personal account, this is one of the sophisticated security ways in which one time password is gener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디지털 도어락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비밀번호 노출 또는 망각의 문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인 비밀번호를 가지는 시간 동기 방식의 OTP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의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동적인 비밀번호를 가지므로 기존 비밀번호가 노출되더라도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상생활에서 자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보안성과 편의성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디지털 도어락에 OTP 방식을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OTP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비밀번호 노출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비밀번호 망각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허가 받지 않은 출입자의 무단칩입을 막으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출입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OTP기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 즉시 생성된 OTP 코드를 비밀번호로 이용하므로 망각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금융권 등에서 이용되어 오던 OTP 코드 인증 방식을 디지털 도어락에 적용한 사례이다. 기존 도어락이 가지고 있던 비밀번호 노출 또는 망각의 문제를 해결하여 보안성을 강화하였다.
  • 이러한 문제들은 대부분 비밀번호가 정적(static)으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OTP를 이용하여 동적(dynamic)으로 비밀번호를 바꿔 비밀번호의 노출을 막는 시간 동기화 방식OTP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가설 설정

  • 비밀번호가 노출되었다 하더라도 OTP 비밀번호는 일회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추후에는 사용할 수 없다. 둘째, 비밀번호 기억의 부담감이 없다. 비밀번호는 출입할 때마다 새롭게 생성되는 OTP 비밀번호를 사용하므로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사전에 기억할 필요가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ne Time Password는 무엇인가? One Time Password(OTP)는 일회용 패스워드로 거래와 조회 등을 위한 개인의 인증 수단 중 하나이다. OTP는 은행 업무,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OTP 방식은 어떻게 나뉘는가? OTP는 은행 업무,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OTP 방식은 질의응답(Challenge-Response) 방식, 시간 동기(TimeSynchronous) 방식, 이벤트 동기화(Event-Synchronous) 방식, 조합 방식 등으로 나뉜다[2,3]. 질의 응답 방식은 사용자와 패스워드 생성 서버가 상호작용하면서 사용자가 알고리즘에 따라 값을 주고받으면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이다.
디지털 도어락의 보안 위협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디지털 도어락은 다양한 편의기능과 보안 기능이 있지만 보안위협이 존재한다. 비밀번호 입력방식은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게 되므로 비밀번호의 노출위협이 있다. 카드방식과 반도체칩 방식은 카드 키 분실 시 복제의 위협이 있다. 지문 및 생체인식 방식 또한 지문의 복제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대부분 비밀번호가 정적(static)으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Internet Std. Network Working Group RFC 2289, "A One-Time Password System," IETF, Fremont, CA, 1998. 

  2. D. Choi, W. Kim and D. Won, "One-Time Password Technology Analysis and Standardization Trend," Review of KIISC, vol. 17,no. 3, pp. 12-17, Jun. 2007. 

  3. S. Seo and W. Kang, "OTP Technology Status and OTP Introduction Example," Review of KIISC, vol. 17, no. 3, pp. 18-25, Jun. 2007. 

  4. Internet Std. Network Working Group RFC 6238, "TOTP: Time-based one-time password algorithm," IETF, Fremont, CA, 2011. 

  5. Y. Kim, J. Han, Y. Jeon and J. Kim, "Implementation of a MTM-based secure OTP Generator for IoT Devices," Journal of embedded systems and applications, vol. 10, no. 4, pp. 199-206, Aug. 2015. 

  6. S. Song and K. Kim, "OTP Strandardization trends at home and abroad," Review of KIISC, vol. 22, no. 2, pp. 30-36, Apr. 2012. 

  7. I. Ha, "Security and Usability Improvement on a Digital Door Lock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nternational Journal of Security and Its Applications, vol. 9, no. 8, pp. 45-54, Sep. 2015. 

  8. J. Lim, C. Kim, W. Cha, T. Han, G. Huh, S. Song and S. Lee, "Reliable Digital Door Lock Control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Journal of IKEEE, vol. 17, no. 4, pp. 499-504, Dec. 2013. 

  9. S. Lee, J. Park, B. Woo and H. Choi, "Video Digital Doorlock System for Recognition and Transmission of approaching Objects," KIPS Transacti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vol. 3, no. 6, pp. 237-242, Jun. 2014. 

  10. D. Seo, H. Ko and Y. Noh,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Door Lock by IoT,"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KTCP), vol. 21, no. 3, pp. 215-222, Mar. 2015. 

  11. J. Potts and S. Sukittanon, "Exploiting Bluetooth on Android Mobile Devices for Home Security application," in Proceedings of IEEE Southeastcon, Orlando: FL, pp. 1-4, 2012. 

  12. K. Lee and J. Ki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ybrid VR lock system by Arduino Control," Journal of the institute of signal processing and systems, vol. 15, no. 3, pp. 97-103, Jul. 2014. 

  13. M. Choi, D. Cho, S. Kim and T. Jin, "Digital Door-Lock System Controlled with Analog Signal," in Proceedings of 2013 ICROS/KROS/KIIS, Busan, vol. 2013, pp. 55-57, 2013. 

  14. T. Kwak and S. Moon, "A Digital Doorlock with Voice Recognition," in Proceedings of KIIT Spring Conference, Chungju, vol. 2012, no. 5, pp. 345-348, 2012. 

  15. J. Song, J. Kim, I. Lee and J. Bang, "The Design of Digital Door lock Using the Magnetic Field,"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2014 Fall Conference, Korea, vol. 2014, no. 11, pp. 6-8, 2014. 

  16. M. Jeon, K. Kim, I. Kim, S. Lee and J. Doh,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oT Digital Door Lock System based on Video Communications," in Proceedings of KIISE winter conference, Pyungchang, vol. 2015, no. 12, pp. 1521-1523, 2015. 

  17. G. Verma and P. Tripathi, "A Digital Security System with Door Lock System Using RFID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vol. 5, no. 11, pp. 6-8, Aug.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