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기록의 웹 아카이빙에 대한 연구 - OASIS 재난아카이브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eb Archiving of Disaster Records: Focusing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OASIS Disaster Archive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7 no.2, 2017년, pp.27 - 56  

김현정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웹을 통해 유통되는 다양한 기록정보의 보존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은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전통적인 유형의 기록물뿐만 아니라 웹을 통해 생산되는 각종 소통의 기록들은 하나의 기억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보여주는 것이며, 특히 그 중에서도 재난에 대한 웹 기록물들은 미래의 세대를 위해서도 반드시 장기적으로 보존되어야 할 가치가 있는 자료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구축하고 관리하는 웹 아카이빙 서비스인 OASIS를 통해 제공되는 재난아카이브는 최근 국내에서 일어났던 재난 사건들에 대해 생산된 웹정보자원들을 수집하고 보존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OASIS 재난아카이브의 특성과 콘텐츠 현황 및 문제점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재난에 대한 웹기록물 아카이빙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ed for and importance of preserving various information resources on the web is constantly increasing. In addition to traditional types of records, the web contains communication records displaying various people's diverse viewpoints and connecting an event to its context. In particular, in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 아카이브와 OASIS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 그리고 국내외 재난기록의 웹 아카이빙사례를 바탕으로, OASIS 재난아카이브의 2017년 5월 현재 수집 자료 현황을 살펴보고 재난아카이브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미래 디지털 세대를 위한 현세대의 디지털 지적 문화유산을 수집․보존”(국립중앙도서관. OASIS, 2006)하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개선할 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형태별 수록자료 역시 구술기록물의 포함에 대비하여 오디오자료를 포함할 것과 동영상 자료에 대해서도 보도자료인지 정보제공을 위한 자료인지 구분하여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기억을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의 형태를 고려해볼 것을 제안하였는데, 이는 OASIS 웹아카이브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 재난아카이브로서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부분일 수 있으나, 재난기록에 대한 아카이브라는 특성상 공식적인 기관으로부터의 자료들로 이루어진 아카이브보다는 재난사건에 대한 사회적 기억을 기록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볼 것에 대한 내용이다.
  • 최근 들어 정혜지(2016b)와 송민정(2016)의 석사학위논문이 있었는데, 각각 미국의 9/11 메모리얼과 우리나라의 416 기억저장소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아카이브의 국내 사례인 416 기억저장소와 해외 사례인 미국의 9/11 메모리얼과 일본의 동일본 대지진 관련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JDA 아카이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이란 무엇인가? 재난에 대한 정의와 범위는 분야마다 조금씩 다르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뜻밖에 일어난 재앙과 고난”으로 정의하고 있고,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는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제3조1항)으로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을 포함한다고 정의하였다. 간혹 태풍이나 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난을 재해라는 별도의 용어로 재난과는 다르게 구분하기도 하는데(홍원화, 2014), 국립국어원의 정의에서도 볼 수 있듯이 뜻밖에 또는 돌발적으로 발생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경우일 것이다.
기록이 기억과 연관되는 개념으로 설명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록은 종종 기억과 연관되는 개념으로 설명된다. 기록은 잊기 쉬운 기억을 영원히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특히 사회적 기억에 대한 기록은 기록관의 중요한 문화적, 역사적 기능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416 기억저장소는 어떻게 소개되어 있나? 416 기억저장소는 “2014년 4월 16일 이후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고 기록하기 위하여 활동한 안산시 시민기록위원회, 세월호를 기억하는 시민네트워크, 서울시 추모기록 자원봉사단이 활동을 모아 시작된 4.16가족협의회 소속의 조직”(416 기억저장소, 2015)이라고 소개되어 있다. 안산시에 위치하고 있는 416 기억저장소는 세월호 참사에 관련된 다양한 기록을 생산, 수집, 정리하기 위해 온라인상으로 동일한 명칭의 디지털 사이트를 제공하며, 오프라인에서는 416 기억전시관과 안산시 416 기록관을 운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416기억저장소 (2015). 검색일자: 2017. 2. 14. http://416memory.org(416Memory (2015). Retreived February 14, 2017 from http://416memory.org) 

  2. 국립중앙도서관 (2015). 2015 국립중앙도서관 연보. 서울: 국립중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Korea (2015). Annual Report 2015.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3. 국립중앙도서관. OASIS. (2006). 검색일자: 2017. 1. 15. http://www.oasis.go.kr(National Library of Korea. OASIS (2006). Retrieved January 15, 2017. from http://www.oasis.go.kr) 

  4. 권용찬 (2014). 4.16 참사 기록관리의 현황과 방향. 제6회 전국기록인대회 발표자료집, 257-260.(Kwon, Yong-Chan (2014).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4.16 disaster records management.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Conference Proceeding, 257-260.) 

  5. 김광영, 이원구, 윤화묵, 신성호, 이민호 (2011). 웹 자원 아카이빙을 위한 웹 크롤러 연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9), 9-16.(Kim, Kwang-Young, Lee, Won-Goo, Yoon, Hwa-Mook, Shin, Sung-Ho, & Lee, Min-Ho (2011). Development of web crawler for archiving web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9), 9-16.) 

  6. 김명훈 (2014). 기억과 기록: 사회적 기억 구축을 위한 기록학의 역할. 기록학연구, 42, 3-35.(Kim, Myoung-hun (2014). A study on roles of archival science for building social memor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2, 3-35.) 

  7. 김유승 (2007). 웹 아카이빙의 법.제도적 문제에 대한 고찰: 웹 정보자원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5-24.(Kim, You-Seung (2007). A study of legal issues for web archiv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3), 5-24.) 

  8. 김유승 (2008). 복합적 웹 아카이빙 정책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159-179.(Kim, You-Seung (2008). A study of combined web archiving policy: BnF's three layers webarchiving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159-179.) 

  9. 김진성 (2015). 세월호 참사에 관한 기록정보관리분야의 사회적 역할. 기록학연구, 44, 199-215.(Kim, Jin Sung (2015). The social role of record information management for Sewol ferry disaster.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4, 199-215.) 

  10. 김진열 (2014). 4.16 참사 기록활동의 의미. 제6회 전국기록인대회 발표자료집, 253-256.(Kim, Jin-Yeol (2014). Meaning of the 4.16 disaster records management activity.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Conference Proceeding, 253-256.) 

  11. 김한국, 조성남 (2011). 재해 발생 시의 소셜미디어 활용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5(1), 131-134.(Kim, Han-Gook & Cho, Sung-Nam (2011). Application of social media in case of natural disaster.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Conference Proceeding, 5(1), 131-134.) 

  12. 김희정 (2003). 디지털 아카이빙 최근 연구동향 및 OAIS 참조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3(1), 23-42.(Kim, Heejung (2003). Research trends in digital archiving and the OAIS referenc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3(1), 23-42.) 

  13. 김희정 (2010). 웹 아카이빙 인터페이스 유형 및 특성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2), 147-170.(Kim, Heejung (2010). The analysis of interfac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web archiving: With a focus on the web archiving project initiated by the n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0(2), 147-170.) 

  14. 남성운, 윤대현 (2001).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을 위한 방안 연구: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 101-120.(Nam, Sung-Un & Yoon, Dai-Hyun (2001). A study of the methodology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focus on the preservation concep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 101-120.) 

  15. 노영희, 고영선 (2012). OASIS의 선정지침 개선(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3), 105-137.(Noh, Younghee & Go, Youngsun (2012). A study on improving the OASIS selection guidelin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3), 105-137.) 

  16. 박태연, 신동희 (2016).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평가: 노근리디지털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예비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121-150.(Park, Taeyeon & Sinn, Donghee (2016). Evaluation of open-source software for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 Understanding system requirements for No Gun Ri digital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1), 121-150.) 

  17. 서혜란 (2004). 웹 아카이빙의 성과와 과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1), 5-22.(Suh, Hye-Ran (2004). Web archiving: What we have done and what we should do.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5(1), 5-22.) 

  18. 설문원 (2012).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Seol, Moon-Won (2012). Building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for documenting localiti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2, 3-44.) 

  19. 송민정 (2016). 416기억저장소 기록수집활동의 특징과 의미.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Song, Min Jung (2016).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acquisition acivities of the 416Memorial Archives. Master's Thesis. Hanshin University. Gyeonggi-do.) 

  20. 송주형 (2015). 구술을 통한 재난 사고의 기록화: 세월호 참사 관련 구술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4, 155-197.(Song, Zoo Hyung (2015). Disaster documentation through oral history: Focus on sinking of the MV Sewol.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4, 155-197.) 

  21. 신동희, 김유승 (2016a). 기억을 위한 아키비스트.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41-59.(Sinn, Donghee & Kim, You-seung (2016a). Archivist for memory: A theoretical study on archives and memo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1), 41-59.) 

  22. 신동희, 김유승 (2016b).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3), 1-30.(Sinn, Donghee & Kim, You-seung (2016b).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the No Gun Ri digital arch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3), 1-30.) 

  23. 심성보 (2016). 재해.재난지역과 공동체 아카이브: 4.16 세월호참사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한국기록관리학회 2016년도 춘계 공동학술대회, 125-129.(Sim, Seong-Bo (2016). Disasters and disaster areas and community archives.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Joint Conference Proceeding, 125-129.) 

  24. 안병우 (2015). 세월호 사건 기록화의 과정과 의의. 기록학연구, 44, 217-241.(Ahn, Byung Woo (2015). The process of archiving Sewol accident and its meaning.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4, 217-241.) 

  25. 오상훈, 최영선 (2008). 디지털 자원의 웹 아카이빙을 위한 납본 프로세스 개발 및 기능 설계. 정보관리학회지, 25(4), 5-23.(Oh, Sang-Hoon & Choi, Young-Sun (2008). Development of deposit process and function design for web archiving of digital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4), 5-23.) 

  26. 오윤택 (2014). 세월호 참사 아카이빙 활동 경험과 아키비스트의 성장(1). 제6회 전국기록인대회 발표자료집, 231-235.(Oh, Wun-Taek (2014). Experience of 4.16 disaster records archiving and growth as an archivist.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Conference Proceeding, 231-235.) 

  27. 윤은하, 김유승 (2016).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57-79.(Yoon, Eunha & Kim, You-Seung (2016). Understanding No Gun Ri record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memo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6(2), 57-79.) 

  28. 윤정옥 (2010). 웹 아카이브 OASIS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5-27.(Yoon, Cheong-Ok (2010). Research on the OASIS, a web archiv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2), 5-27.) 

  29. 윤정옥 (2011). 웹 아카이브 OASIS의 현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2(3), 96-116.(Yoon, Cheong-Ok (2011). A research on the OASIS, an web archive in Korea, revisited.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2(3), 95-116.) 

  30. 윤정옥 (2014). 웹 아카이브 OASIS 수집 콘텐츠의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4), 45-65. http://dx.doi.org/10.16981/kliss.45.201412.45(Yoon, Cheong-Ok (2014).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OASIS, the national web archive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4), 45-65.) 

  31. 이미영 (2009). 재해 지역의 기록화 사례 연구: 한신.아와지 대지진 기록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21, 85-116.(Lee, Mi-young (2009). A case study on the documentation in a disaster area: On the basis of Great Hanshin-Awaji earthquake.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1, 85-116.) 

  32. 이소연 (2008). 믿을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 인증기준: OASIS 적용사례. 정보관리학회지, 25(3), 5-25.(Lee, So-Yeon (2008). Trustworthy repositories audit criteria: Self-assessment of OA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3), 5-25.) 

  33. 이소연 (2013). 국내 디지털 보존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2), 247-283.(Lee, So-Yeon (2013). Trends analysis of digital preservation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2), 247-283.) 

  34. 이연수, 남성운, 윤대현 (2013). 대규모 웹 기록물의 원격수집을 위한 콘텐츠 중복 필터링 개선 연구. 기록학연구, 35, 133-160.(Lee, Yeon-Soo, Nam, Sung-un, & Yoon, Dai-Hyun (2013). A study on the enhanced filtering method of the deduplication for bulk harvest of web record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5, 133-160.) 

  35. 이재윤, 김수정 (2016). 국내 재난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3(3), 103-124.(Lee, Jae Yun & Kim, Soojung (2016). A bibliometric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disaster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3), 103-124.) 

  36. 정혜지 (2016a). 9/11 컬렉션을 통해 본 재난 기록의 관리. 한국비블리아학회.한국기록관리학회 2016년도 춘계 공동학술대회, 157-161.(Chung, Hye-Ji (2016a). 9/11 as seen through the collection of disaster management of records.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Joint Conference Proceeding, 157-161.) 

  37. 정혜지 (2016b). 미국 9.11 메모리얼의 재난기록물 수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Chung, Hye-Ji (2016b). A study of acquisition for disaster collections on The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 Museum. Master's Thesis. Major of Records and Archival Information Management, Myongji University. Seoul.) 

  38. 조용성 (2010). 구술기록의 수집과 아카이브 정책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5, 233-278.(Cho, Young-Sung (2010). A study on the collecting policy of oral history archiv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5, 233-278.) 

  39. 조혜영 (2015). 일본의 기록물 재난 및 복구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55-63.(Cho, Hye-Young (2015). A study on disaster and recovery plans for Japan's records: Focus on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Occasional Papers Series, 55-63.) 

  40. 차승준, 이규철 (2008). 웹기록물 아카이빙 기반기술 연구 개발. 지식정보산업연합학회 창립기념 학술대회, 359-368.(Cha, Seung-Jun & Lee, Kyu-Chul (2008). Research and development of base technology for archiving web records. Federa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ies Conference, 359-368.) 

  41. 차승준, 최윤정, 이규철 (2009). 공공기관 심층 웹기록물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4(4), 181-193.(Cha, Seung-Jun, Choi, Yun-Jeong, & Lee, Kyu-Chul (2009). Metadata design for archiving public deep web records.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4(4), 181-193.) 

  42. 최형섭 (2014). 재난의 기록: 재난 보고서의 사회적 기능. Future Horizon, 21, 24-27.(Choi, Hyung Seob (2014). Record of Disaster: the social role of disaster reports. Future Horizon, 21, 24-27.) 

  43. 홍원화 (2014). 재난의 기록(백서)과 교훈. 건축, 58(10), 14-18.(Hong, Won-Hwa (2014). Record (white paper) and message of disaster.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58(10), 14-18.) 

  44. Dougherty, Meghan & Meyer, Eric T. (2014). Community, tools, and practices in web archiving: The state-of-the-art in relation to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research need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5(11), 2195-2209. 

  45. Kim, Heejung & Lee, Hyewon (2007). Development of metadata elements for intensive web archiv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4(2), 143-160. 

  46. Library of Congress (2013). Library of Congress Collections Policy Statements Supplementary Guidelines: Web Archiving. Retrieved May 23, 2017 from https://www.loc.gov/acq/devpol/webarchive.pdf 

  47.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 Museum (2016a). About the Memorial. Retrieved January 15, 2017 from https://www.911memorial.org/about-memorial 

  48.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 Museum (2016b). Inside the Collection. Retrieved January 15, 2017 from https://collection.911memorial.org 

  49. National September 11 Memorial & Museum (2016c). Explore the Registries. Retrieved January 15, 2017 from https://registries.911memorial.org 

  50. North American Coordinating Council on Japanese Library Resources (2016). Guides to the Digital Archive of Japan's 2011 Disasters: Home. Retrieved January 15, 2017 from http://guides.nccjapan.org/jdarchive 

  51. Reischauer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n.d.). Japan Disasters Digital Archive. Retrieved January 15, 2017 from http://jdarchive.org/en/abou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