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ibrary Sign System: Focusing o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1 no.2, 2017년, pp.73 - 93  

최만호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태경 (국립중앙도서관 기획총괄과) ,  김보일 (강서구립 곰달래도서관, 나사렛대학교 점자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중앙도서관은 이용자의 효율적인 이용과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각종 사인(sign)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기존 사인에 대한 현황 분석과 이용자 및 직원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용자의 효율적 도서관 이용 안내와 국립중앙도서관 사인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운영방안으로 시각적 연속성의 개선, 설치 위치의 변경, 과다한 사인물의 축소, 임시 부착 사인물의 제한, 알아보기 쉬운 내용 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nstalls and operates various signs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use of visitor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his study, the present status of the existing signatur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as surveyed and the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인시스템 분석을 통해 도서관의 관내 사인을 중심으로 기존 사인에 대한 분석 및 만족도 조사를 토대로 이용자의 효율적 도서관 이용 안내와 도서관 사인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운영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Kasperek(2014)는 연구를 통해 Mansfield대학교 도서관의 특별행사 및 이용자서비스위원회가 도서관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계획을 세웠을 때, 도서관 안내사인을 점검하며 디자인의 일부 기초요소들과 사인을 재설계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이 멀리서도 안내사인을 읽을 수 있고 그 사인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안내사인의 범위를 뛰어 넘어, 도서관의 인쇄출판물 및 홍보물에도 적용하여 도서관뿐만 아니라 캠퍼스 전역에서 더욱 쉽게 인지되도록 하였다.
  • 이수연 외(2014)는 도서관에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 명확한 효과를 갖춘 사인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서울시 공공도서관 사인시스템의 기능적 및 시각적 측면에 따라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이용자가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시하였다.
  • 국립중앙도서관은 이용자의 효율적인 이용과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각종 사인(sign)을 설치․운영해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기존 사인에 대한 현황 분석과 이용자 및 직원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를 실시하였다.
  • 현황 조사와 설문 조사를 통해 본 국립중앙도서관의 사인시스템은 전반적으로 현재의 상태에 대해 큰 문제점은 없어 보이지만, 나타난 몇 가지 개선할 사항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시각적 연속성(상호 연결되어 보이는 것)이 부족하다. 모든 사인시스템은 국립중앙도서관의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통일된 디자인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같은 유형의 사인들은 유형별로 동일한 형식으로 보이는 것이 원칙이지만 일부 사인들은 그 원칙에서 벗어나 산만하게 보여 이용자들에게 정확한 안내를 해주지 못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인이 도서관에 필요한 이유는? 그래서 도서관에서는 이용자와의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각종 사인(sign)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사인은 도서관과 이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중요한 부분이며, 이용자에게 안전한 접근성을 높여주는 데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다.
도서관이란? 도서관은 불특정한 다수의 이용자들이 다양한 정보요구를 가지고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로 모든 이용자에 대하여 지식과 정보를 동등하게 서비스하기 위해 도서관과 이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해지고 있다. 여기에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매개체로 활용되는 사인은 이용자에게 목적에 따라 도서관 건물 내․외부로의 안내와 필요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도서관의 사인이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는? 그러나 이용자 편의와 효율적 도서관 이용안내를 위해 제작․설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도서관의 사인이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민원의 요인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것은 사인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아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요인이 되거나, 안내문구의 표현이 고압적이고 권위적이어서 표현의 순화가 요구되는 경우 등 다양하다. 도서관의 사인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이용자의 효율적인 이용을 돕는 중요한 수단이지만 사인의 문자, 색상, 크기, 모양, 디자인 및 배치와 관련하여 일관되게 제작하여 설치하지 않아 사인의 크기와 색상이 지나치게 다양하게 된다면 도서관 이용에 혼란을 주거나 이용자에게 불편을 끼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계일. 2005.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도서관 사인시스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 전공.(Kang, Gail. 2005. A Study on the Library Sign System for Effective Communication. M.A. thesis, Major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Faculty of Craft and Design,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 고은아 외. 2014. 효과적 정보전달과 지속가능한 공공도서관 사인시스템 체크리스트 표준화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4년 8월 21일, 서울: 중앙대학교 R&D센터: 229-236.(Ko, Euna et al. 2014. "A study on Standard of Public Library Sign System Checklist." In Proceedings of the 21th Annual Conference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August 21, 2014, Seoul: Chung-Ang University R&D Center: 229-236.) 

  3. 국립장애인도서관. 2016.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제고를 위한 기준 및 매뉴얼 개선 연구. 서울: 국립장애인도서관.(National Library of the Disabled.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s and Manuals for Library Disability Services. Seoul: National Library of the Disabled.) 

  4. 국립중앙도서관. 2010. 도서관용품 표준화 및 인증제도 개선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Korea. 2010. A Study on Improvement of Standardiz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of Library Products.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5. 김문영, 백진경. 2009. 어린이 도서관 사인시스템의 시각요소에 대한 사례연구.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8(2): 71-82.(Kim, Moonyoung and Paik, Jinkyung. 2009. "A Case Study Regarding the Visual Elements of the Sign System of the Children's Library."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8(2): 71-82.) 

  6. 문화체육관광부. 2013.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세종: 문화체육관광부.(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Public Library Construction and Operation Manuals.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7. 이수연 외. 2014. 공공도서관 사인시스템의 기능 및 시각적 현황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1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4년 8월 21일, 서울: 중앙대학교 R&D센터: 221-228.(Lee, Soo-Yeon et al. 2014. "A Study of Analysis of Public Library Sign System Function and Visual Status." In Proceedings of the 21th Annual Conference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August 21, 2014, Seoul: Chung-Ang University R&D Center: 221-228.) 

  8. 우진희. 2001.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에 따른 공공시설의 사인시스템 평가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주거환경학과.(Woo, Jin Hui. 2001. A Study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s and Sign Systems in Public Environments. M.A. thesis, Department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Korea.) 

  9. 윤희윤. 2013. 대학도서관경영론. 대구: 태일사.(Yoon, Hee-Yoon. 2013. Academic Library Management. Daegu: Taeilsa.) 

  10. 최춘호. 1993. 서울지하철 SIGN SYSTEM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Choi, Chun Ho. 1993. A Study on Sign System of Seoul Subway. M.A. thesis, Major in Visual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Sookmyoung Womens's University, Korea.) 

  11.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편람 편찬위원회. 2009. 도서관편람. 서울: 한국도서관협회.(Korea Library Association Library Handbook Compilation Committee. 2009. Library Handbook. Seoul: Korea Library Association Library.) 

  12. 한국도서관협회. 2013. 한국도서관 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Korea Library Association Library Handbook Compilation Committee. 2013. Standards for Korean Libraries. Seoul: Korea Library Association Library.) 

  13. 허 경. 2001. 대학도서관의 사인시스템(sign system)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Huh, Kyong. 2001. A Study on Sign Systems of University Libraries. M.A. thesis, Major in Library Science,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14. Brown, C. R. 2002. Interior Design for Libraries: Drawing on Function and Appeal. 양영완 역. 2004. 살아있는 도서관을 위한 인테리어 디자인. 서울: 국제.(Brown, C. R. 2002. Interior Design for Libraries: Drawing on Function and Appeal. Translated by Yang, Young-Wan. 2004. Interior Design for a Living Library. Seoul: Kukje Books.) 

  15. Kasperek, S. 2014. "Sign Redesign: Applying Design Principles to Improve Signage in an Academic Library." Pennsylvania Libraries, 2(1): 48-63. 

  16. Melissa, P. J. and Lauren, H. M. 2014. "Are We Leaving Them Lost in the Woods with No Breadcrumbs to Follow? Assessing Signage Systems in School Libraries." School Libraries Worldwide, 20(2): 38-53. 

  17. Ragsdale, K. W. and Kenny, D. J. 1995. Effective Library Signage.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Office of Management Services. 

  18. State Library of Iowa. 2012. Library Signage Guidelines. [online] [cited 2016. 8. 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