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형태적 특징 및 분자적 분석에 의한 밤나무 흰가루병균 Erysiphe castaneigena의 확인
Confirmation of Chestnut Powdery Mildew, Erysiphe castaneigena, in Korea wi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Analyses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5 no.2, 2017년, pp.145 - 152  

조성은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이상현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이선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신현동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밤나무 흰가루병균은 1958년에 Microsphaera alni로 처음 기록되었다. 1988년에는 이 흰가루병균의 형태적 특징과 기주를 고려하여 M. sinensis로 동정되었다. 이 학명은 '식물명명에 관한 국제규약'의 규칙에 따라 2006년에 E. castaneigena로 변경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밤나무 흰가루병균의 형태적 특징 및 분자적 분석에 의한 분류학적 재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대학교 진균표본실에 보존된 34점의 밤나무 흰가루병균 시료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무성세대와 유성세대의 형태적 특징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밤나무 흰가루병균은 E. castaneigena로 확인되었다. 또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E. castaneigena와 밤나무 유래의 E. alphitoides는 계통학적으로 근연 관계임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wdery mildew on Castanea crenata in South Korea was first recorded as Microsphaera alni in 1958. On the basis of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ost range, the mildew was determined as Microsphaera sinensis in 1988.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고려대학교 진균표본실(KUS-F)에 보존 중인 표본시료에서 밤나무 흰가루병균의 형태적 특징을 상세히 검경하고 현재의 흰가루병균 분류체계[3]에 근거하여 기재하였다. 또한, 이들 시료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분자계통학적으로 이 흰가루병균에 대한 명확한 동정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밤나무는 무엇에 속하는 수목을 가르키는가? 밤나무는 참나무과(Fagaceae)의 밤나무속(Castanea)에 속하는 수목을 가리키며, 전 세계 적으로는 약 10종이 알려져 있다. 계통학적으로는 동아시아 원산의 C.
세계적으로 밤나무(Castanea spp.)에서 기록된 흰가루병균의 3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세계적으로 밤나무(Castanea spp.)에서 기록된 흰가루병균은 Cystotheca, Erysiphe, Phyllactinia 등 3속이 있다[2]. 이 중에서 Erysiphe sect.
흰가루병균의 3속 중 Erysiphe sect. Microsphaera에는 무엇이 기록되어 있는가? 이 중에서 Erysiphe sect. Microsphaera에는 E. alphitoides(Griff. & Maubl.) U. Braun & S. Takam., E. castaneae U. Braun, E. seguinii (Y.N. Yu & Y.Q. Lai) U. Braun & S. Takam., E. castaneigena U. Braun & Cunnington 등 4종이 기록되어 있다[2, 3]. 첫째, 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Yousefzadeh H, Colagar AH, Akbarzadeh F, Tippery NP. Taxonomic status and genetic differentiation of Hyrcanian Castanea based on noncoding chloroplast DNA sequences data. Tree Genet Genomes 2014;10:1611-29. 

  2. Farr DF, Rossman AY. Fungal databases, U.S. National Fungus Collections [Internet]. Beltsville: Systematic Mycology and Microbiology Laboratory; 2017 [cited 2017 Apr 3]. Available from: http://nt.ars-grin.gov/fungaldatabases. 

  3. Braun U, Cook RT. Taxonomic manual of the Erysiphales (powdery mildews). Utrecht: CBS-KNAW Fungal Biodiversity Centre; 2012. 

  4. Feau N, Decourcelle T, Husson C, Desprez-Loustau ML, Dutech C. Finding single copy genes out of sequenced genomes for multilocus phylogenetics in non-model fungi. PLoS One 2011;6:e18803. 

  5. Braun U, Takamatsu S. Phylogeny of Erysiphe, Microsphaera, Uncinula (Erysipheae) and Cystotheca, Podosphaera, Sphaerotheca (Cystotheceae) inferred from rDNA ITS sequences - some taxonomic consequences. Schlechtendalia 2000;4:1-33. 

  6. Braun U, Delhey R, Dianese JC, Hosagoudar VB. Miscellaneous notes on biotrophic micromycetes. Schlechtendalia 2006;14:85-97. 

  7. Korea Forestry Laboratory. Practical handbook of forestry for Korea and Manchuria. Tokyo: Yokken-do; 1940. 

  8. Park JS. Fungous diseases of plants in Korea (1).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958. 

  9. Shin HD. Erysiphaceae of Korea. Suw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10. Yu YN, Lai YQ. Taxonomic studies on the genus Microsphaera of China. IV: new and known species of Microsphaera on family Fagaceae. J North East For Inst 1982;4:24-36. 

  11. Shin HD. Erysiphaceae of Korea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8. 

  12.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5th ed. Seoul: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13. Braun U, Cunnington JH, Brielmaier-Liebetanz U, Ale-Agha N, Heluta V. Miscellaneous notes on some powdery mildew fungi. Schlechtendalia 2003;10:91-5. 

  14. Takamatsu S, Heluta V, Havrylenko M, Divarangkoon R. Four powdery mildew species with catenate conidia infect Galium: molecular and morphological evidence. Mycol Res 2009;113:117-29. 

  15. Kumar S, Stecher G, Tamura K. MEGA7: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7.0 for Bigger Datasets. Mol Biol Evol 2016;33:1870-4. 

  16. Cunnington JH, Takamatsu S, Lawrie AC, Pascoe IG.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namorphic powdery mildews (Erysiphales). Australas Plant Pathol 2003;32:42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