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고에서는 EMP 방호시설의 전자파 차폐성능이 준공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감시할 수 있는 차폐 효과 상시감시 시스템에 관해 기술하였다. 누설동축케이블을 송신안테나로 사용함으로써 차폐효과측정의 과정을 단순화하여 전자파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도 시스템을 사용하여 쉽게 수시로 차폐성능을 측정, 감시할 수 있게 되었다.
  • 여기서 소개하는 차폐효과 감시시스템은 차폐함체 외부의 벽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누설동축 케이블을 평면파를 송신하는 안테나로 사용하면서 차폐함체 내부에서 수신 안테나시스템을 이용하여 차폐효과 값을 측정하여 EMP 방호시설의 차폐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이다. 즉, 시설의 완공시점에 차폐함체 내외부의 지정된 위치에서 주파수별 차폐효과 기준값을 측정하여 각각 기록해 놓고, 주기적으로 재측정하여 기준값과의 차이가 발생되면 그 원인을 찾아 보수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시스템이다.

가설 설정

  • <표 1>은 누설동축케이블과 외부함체 사이의 거리가 20m일 경우에 500 m 길이로 포설된 누설동축케이블의 종단지점에서 다이폴안테나를 수신안테나로 사용하여 측정 가능한 차폐효과의 측정범위(dynamic range)를 계산한 것이다. 임의의 위치에서의 신호강도는 무선통신용으로 실내에 설치된 누설동축케이블에서 방사된 신호전파로부터 주변 물체로부터의 반사로 인한 효과 등을 실험적으로 모델링하여 구할 수도 있으나[2], 여기서는 누설동축케이블과 차폐함체 사이에 장애물이 없는 자유공간을 가정하여 프리스(Friis) 전송방정식[3]으로부터 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의 결합계수로부터 구한 누설동축케이블의 이득 —3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고도 전자기 펄스란? 고고도 전자기 펄스(HEMP)는 지상이 아닌 대기권 밖 고공(30 km 이상)에서의 핵폭발에 따라 발생되는 전자기 펄스(Electromagnetic Pulse; EMP)이며, 인명이나 건물 등에 직접적인 방사능 혹은 물리적인 피해가 없으나, 전기전자 장치들의 동작에 치명적인 피해를 준다. 고고도 전자기 펄스로부터 주요 군사시설을 보호하기 위하여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EMP 방호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고고도 전자기 펄스는 어디에 피해를 주는가? 고고도 전자기 펄스(HEMP)는 지상이 아닌 대기권 밖 고공(30 km 이상)에서의 핵폭발에 따라 발생되는 전자기 펄스(Electromagnetic Pulse; EMP)이며, 인명이나 건물 등에 직접적인 방사능 혹은 물리적인 피해가 없으나, 전기전자 장치들의 동작에 치명적인 피해를 준다. 고고도 전자기 펄스로부터 주요 군사시설을 보호하기 위하여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EMP 방호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누설동축케이블이 케이블의 축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자파에너지도 급격하게 줄어들게되는 이유는? 누설동축케이블은 크게 결합모드(coupled mode)와 방사모드(radiating mode) 누설동축케이블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림 4]와 같이 결합모드 누설동축케이블의 특징은 전자파 에너지의 대부분이 케이블의 축 주변에 모여 있으며, 축방향의 진행성분을 가진다. 따라서 케이블의 축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자파에너지도 급격하게 줄어들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EP 1110-3-2, Electromagnetic Pulse (EMP) and Tempest Protection for Facilities (31 DEC 1990). 

  2. J. A. Sesena-Osorio, A. Aragon-Zavala, I. E. Zaldivar-Huerta, and G. Castanon, "Indoor propagation modeling for radiating cable systems in the frequency range of 900-2,500 MHz," Progress in Electromagnetics Research B, vol. 47, pp. 241-262, 2013. 

  3. D. M. Pozar, Microwave Engineering, 2nd Ed., Wiley, 1998. 

  4. Radio Frequency Systems, "RADIAFLEX the optimal confined-coverage solution", www.rfsworld.com 

  5. IEC 61196-4 Ed.3 Coaxial communication cables - Part 4: Sectional specification for radiating cables. 

  6. LS Cable, "RF Total Solution", www.lsrts.com 

  7. Radio Frequency Systems, "RFS RADIAFLEX Radiating cable helps provide seamless wireless connectivity to millions of Boston's MBTA subway riders", www.rfsworld.com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