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향점수매칭을 통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재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분석 : 일반 종합대학 이공계열 및 인문사회계열 학생과 비교
Student Engagement of STEM-specialized Institutions : A Comparative Study Employing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0 no.3, 2017년, pp.13 - 24  

변수연 (부산외국어대학교) ,  배상훈 (성균관대학교) ,  한송이 (성균관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 engagement of STEM-specializ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comparison with students from humanities & social science and STEM majors, respectively. By doing so, the study aim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STEM disciplines and organizational cul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7년 기준 이공계특화 연구중심대학의 학부과정 모집 인원은 총 몇명인가? 2010년부터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학부과정 신입생을 모집하기 시작하였다. 2015년 울산과기대가 과학기술원으로 전환하면서 학부과정 규모가 400명 정도로 축소되었지만, 2017년 현재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즉 이공계특화 연구중심대학의 학부과정 모집 인원은 총 1,900명에 이르러 지난 10년 동안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2015년 기준 4개 과학기술원의 여학생 비율과 중도 탈락률은 어떠한가? , 2000; Museus & Liverman, 2010; Tan, 2002). 예컨대, 2015년 기준으로 4개 과학기술원의 여학생 비율은 24.9% 수준으로 일반종합대 평균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쳤고, 여학생의 중도 탈락률도 남학생의 1.5배에 달했다.
교육과 과학기술이 인재의 육성을 매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까닭은 무엇인가? 교육과 과학기술은 인재의 육성을 매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인재의 양성이 뒷받침되지 못한 과학기술의 발전은 지속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이공계 분야의 우수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과학기술특성화대학1)이 운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민정(2011).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의 통합형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6(3), 357-381. 

  2. 미래창조과학부(2014).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활성화 및 육성방안 연구.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3. 방담이(2014). 대학생들의 전공계열과 성별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양식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463-484. 

  4. 배상훈(2015). 한국대학이 당면한 고등교육 환경과 대응 전략, 대학교육, 189, 18-22. 

  5. 배상훈.강민수.홍지인(2015).한국 대학생의 학습참여 진단을 위한 미국 NSSE 모델 도입 및 타당화. 아시아교육연구, 16(4), 77-104. 

  6. 배상훈.홍지인(2015). 한국과 미국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참여 (Student Engagement) 비교. 비교교육연구, 25, 179-207. 

  7. 배상훈.박인심.강민수.김혜정.김소영.송해덕(2014). 학부교육 교수, 학습 질 관리 및 제고방안 연구. 서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8. 배상훈.박인심.강민수.윤수경.전수빈(2016). 2016년 학부교육 교수.학습 질 관리 및 제고 방안 연구. 서울:한국대학교육협의회. 

  9. 배상훈.라은종.홍지인(2016). 수도권과 지방대학 공학계열 학생의 학습참여 비교. 교육학연구, 54(1), 339-373. 

  10. 변수연(2014). 이공계 연구중심 대학교의 캠퍼스 문화에 대한 생태학적 탐색. 교육학연구, 52(3), 55-84. 

  11. 변수연(2016). 대학 유형과 대학생의 발달, 학습 참여 간의 관련성 및 대응성 탐색. 교육문제연구, 29(3), 57-85. 

  12. 임지영(2014). 공학계열과 비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글로벌 마인드 역량 비교. 공학교육연구, 17(3), 3-7. 

  13. 정윤경.오명숙.김지현(2008). 공대 여학생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11(4), 34-45. 

  14. 최정윤.신혜숙(2010). 한국 대학에서의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성격과 대학교육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분석: 대학 특성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37(2), 131-154. 

  15. Astin, A. W. (1985). Achieving Educational Excellence. Jossey-Bass,. 

  16. Astin, H. S. & Sax, L. J. (1996). Developing scientific talent in undergraduate women. In C. Davis, A. B. Ginorio, C. S. Hollenshead, B. B. Lazarus, P. M. Rayman, & Associates (eds.), The Equity Equation: Fostering the Advancement of Women in the Sciences, Mathematics, and Engineering. San Francisco: Jossey-Bass. 

  17. Biglan, A. (1973).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 in different academic area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7 (3), 195. 

  18. Braxton, J. M., & Hargens, L. L. (1996). Variation among academic disciplines: Analytical frameworks and research. Higher Education-New York-Agathon Press Incorporated-, 11, 1-46. 

  19. Carini, R. M., Kuh, G. D., & Klein, S. P. (2006). Student engagement and student learning: Testing the linkage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7 (1), 1-32. 

  20.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Hillsdale, NJ, 20-26. 

  21. Ho, D. E., Imai, K. K., & King, G. G. Stuart, EA. (2011). MatchIt: Nonparametric preprocessing for parametric causal inference.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42 (8), 1-28. 

  22. Huang, G., Taddese, N., & Walter, E. (2000). Entry and persistence of women and minorities in college science and engineering education. NCES 2000-601. Washington, DC: U. S. De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3. Jehng, J. C. J., Johnson, S. D., & Anderson, R. C. (1993). Schooling and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learning.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8 (1), 23-35. 

  24.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25. Kuh, G. D. (2003). What we're learning about student engagement from NSSE: Benchmarks for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s. Change: The Magazine of Higher Learning, 35 (2), 24-32. 

  26. Kuh, G. D. (2009). The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Conceptual and empirical foundations. New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Research, 2009 (141), 5-20. 

  27. Kuh, G. D., & Hu, S. (2001). The effects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in the 1990s.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24 (3), 309-332. 

  28. Kuh, G. D., Kinzie, J., Schuh, J. H., & Whitt, E. J. (2011). Student Success in cCollege: Creating Conditions that Matter. John Wiley & Sons. 

  29. Laird, T. F. N., Shoup, R., & Kuh, G. D. (2005). Deep learning and college outcomes: Do fields of study differ. Paper presented In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Institutional Research. 

  30. Laird, T. F. N., Shoup, R., Kuh, G. D., & Schwarz, M. J. (2008). The effects of discipline on deep approaches to student learning and college outcome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9 (6), 469-494. 

  31. Museus, S. D. & Liverman, D. (2010). High-performing institutio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tudying underrepresented minority students in STEM. New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Research, 148, 17-27. 

  32. Nelson Laird, T. F., Garver, A. K., & Niskode, A. S.(2007) Gender gaps: Understanding teaching styl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Paper presentation at the Annual Forum of the Association for Institutional Research, Kansas City, M., June 2-7, 2007. 

  33. Nelson Laird, T. F., Sullivan, D. F., Zimmerman, C., & McCormick, A. C. (2011). STEM/Non-STEM differences in engagement at US institutions. Peer Review, 13 (3), 23-26. 

  34. Pascarella, E. T. (1985). College environmental influences on learning and cognitive development: A critical review and synthesis. Higher educatio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1 (1), 1-61. 

  35. Paulsen, M. B., & Wells, C. T. (1998). Domain differences in the epistemological beliefs of college student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39 (4), 365-384. 

  36. Rosenbaum, P. R., & Rubin, D. B. (1983).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Biometrika, 41-55. 

  37. Tan, D. (2002). Majors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Gender and ethnic differences in persistence and graduation. Retrieved October, 10, 2015, from University of Oklahoma website, Center for Student Affair Research, http://www.ou.edu/jrcoe/csar/literature/tan_paper3.pdf 

  38. Schommer, M. (1993). Epistemological develop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secondary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 (3), 406. 

  39. Seymour, E., & Hewitt, N.M.(1997). Talking about Leaving: Why Undergraduates Leave the Sciences. Boulder, CO: Westview. 

  40. Strange, C. C., & Banning, J. H. (2001). Education by Design: Creating Campus Learning Environments That Work. The Jossey-Bass Higher and Adult Education Series. Jossey-Bass, Inc., 989 Market St., San Francisco, CA 94103. 

  41. Tinto, V. (1975). Dropout from higher education: A theoretical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5 (1), 89-1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