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고효율 전동기용 자성재료 기술동향 원문보기

전기의 세계 = The proceedings of KIEE, v.66 no.6, 2017년, pp.15 - 18  

최철진 (재료연구소) ,  김도근 (재료연구소)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초고효율 전동력 기술 융합클러스터 재료분과에서는 기존 사용되고 있는 자성소재에서 벗어나 새로운 소재 및 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재료연구소를 중심으로 다양한 핵심기술의 개발 방향 및 대학, 연구소, 기업의 공동연구 개발에 대해 기획활동을 주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그동안 기획, 추진한 초고효율 전동기의 재료설계 및 공정개발의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초고효율 자성재료기술의 동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고효율 전동력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은? 초고효율 전동력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동기의 전자계 설계 및 전동기 생산 제조기술과 더불어 전동기의 고율화를 위한 혁신적인 자성소재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초고율 전동기에 사용되는 자성재료는 영구자석재료와 연자성 재료가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 이들 소재의 특성 극대화를 위한 전 세계적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기존 사용되고 있는 자성소재에서 벗어나 새로운 소재 및 공정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초고효율 전동력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동기의 전자계 설계 및 전동기 생산 제조기술과 더불어 전동기의 고율화를 위한 혁신적인 자성소재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초고율 전동기에 사용되는 자성재료는 영구자석재료와 연자성 재료가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 이들 소재의 특성 극대화를 위한 전 세계적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초고효율 전동력 기술 융합클러스터 재료분과에서는 기존 사용되고 있는 자성소재에서 벗어나 새로운 소재 및 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재료연구소를 중심으로 다양한 핵심기술의 개발 방향 및 대학, 연구소, 기업의 공동연구 개발에 대해 기획활동을 주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고특성 연자성 분말 소재는 무엇에 대응하는 소재인가? ), 스웨덴의 훼가네스(Hoganas Co.) 등이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큰 투자율과 동시에 포화자속밀도를 동시에 증가시켜 모터 등의 소형화에 대응한고특성 연자성 분말 소재를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자벽이동 뿐만 아니라 자기이방성 및 자기변형이 투자율의 향상을 방해하는 것이 알려지면서 퍼멀로이가 개발되었는데, 제3, 제4의 원소를 첨가해서 이방성과 자기변형을 동일조성에서 동시에 제로(0)로 하는 등의 개선으로 슈퍼알로이가 개발되어, 현재까지 가장 우수한 고투자율 소재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Eckart F. kneller, Reinhard Hawig. IEEE. Trans. Magn. 27, 4 (1991) 

  2. Skomski R., J Appl Phys 76, 7059 (1994) 

  3. J. S. Jisang, S. D. Bader, Scripta Materialia. 47, 563 (2002) 

  4. X. Riu et al., Journal of Magnetism and Magnetic materials, 305, 76-82 (2006) 

  5. Eric E. Fullerton et al., Journal of Magnetism and Magnetic materials, 200, 392-404 (1999) 

  6. J. P. Liu, Y. Liu, R. Skomski, D. j. Sellmyer, IEEE Trans. Magn. 35, 5 (1999) 

  7. Ralph Skomski and J. M. D. Coey, Physical review B, 48, 15812-15816 (1993) 

  8. R. F. Sabiryanov, S. S. Jawal, Physical review B, 58, 12071 (1998) 

  9. W. H. Meiklejohn and C. P. Bean, Phys. Rev., 102, 1413 (1956) 

  10. K. H. J. Buschow, D. B. de Mooij, and H. M. van Noort, J. Less common Metals, 125,135 (1986) 

  11. K. H. J. Buschow, D. B. de Mooij, and R. Coehoorn, J. Less common Metals, 145, 601 (1988) 

  12. 한국과학기술정보 연구원, "Nd-Fe-B계 영구자석의 개발 동향", 2003. 

  13. 전자부품, "영구자석의 최신 기술동향", 

  14. 최판규, Nd-Fe-B계 자석의 특허현황., Journal of The Korea Magnetics Society, 12, 4 (2002) 

  15. 최판규, 정밀 소형 모타용 영구자석의 일본국내 시장 동향, Journal of The Korea Magnetics Society, 12, 4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