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성능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내구성(내약품성 및 내열성을 중심으로)
Durability of High Performance Polymer Concrete Composites (Focusing on Chemical Resistance and Hot Water Resistance)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3, 2017년, pp.360 - 368  

황의환 (공주대학교 화학공학부) ,  김용연 (공주대학교 화학공학부) ,  송민규 (공주대학교 화학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기능성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내구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올소타입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이소타입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폴리머 결합재로 사용하였고, 탄산칼슘실리카 미분말을 충전재로 사용하여 공시체를 제작하고 내열수성, 내약품성, 세공분석 및 SEM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소타입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공시체의 압축강도가 올소타입 불포화폴리에스테스 수지를 사용한 공시체의 압축강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탄산칼슘 충전재에 비하여 실리카 미분말을 사용한 공시체의 압축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내열수성 시험에서 이소타입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공시체가 올소타입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공시체보다 내열수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탄산칼슘 충전재를 사용한 공시체가 실리카 미분말을 사용한 공시체보다 내열수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약품성 시험 후에 측정한 압축강도 감소율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의한 압축강도 감소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황산, 염산염화칼슘 순으로 나타났다. 알칼리성인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서는 탄산칼슘을 충전재로 사용한 공시체가 실리카 미분말을 사용한 공시체보다 중량 감소율이 적게 나타났으나 황산과 염산의 산성시약에서는 실리카 미분말을 사용한 공시체가 탄산칼슘을 사용한 공시체보다 중량 감소율이 적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urability of high performance polymer concrete composites, polymer concrete specimens were prepared using the ortho-typ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UPR) and iso-type UPR as a polymer binder and the calcium carbonate and silica fine powder as a filler. The durability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최적조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탄산칼슘 및 실리카 미분말 충전재를 사용하고, 폴리머 결합재의 첨가율을 변화시켜 다양한 배합의 공시체를 제조하였다. 이들 공시체에 대한 내구성시험으로 내열수성 시험과 내약품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폴리머 결합재는 무엇인가?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는 시멘트 콘크리트와 다르게 결합재로 시멘트와 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1,5] 폴리머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만든 재료로 Resin concrete라고 부르기도 하며, 시멘트 콘크리트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가 매우 우수하나(3-5배 높음) 동일한 부피당 생산원가가 훨씬 비싸기(8-10배) 때문에[1,6] 생산원가를 낮추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6,7].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폴리머 결합재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8-10] 경제성과 가격 면에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6,10,11].
폴리머 콘크리트의 생산원가 절감을 위해 폴리머 결합재의 사용량을 절감해야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는 충전재로 탄산칼슘이나 실리카를 사용하고 있으며, 잔골재로 강모래, 굵은 골재로 강자갈 또는 쇄석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에서 폴리머 결합재의 사용량은 작업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12-13 wt%를 사용하고 있으나[10,11] 제품에서 차지하는 재료원가는 약 85% 차지하고 있기[7,15] 때문에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가격 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 폴리머 결합재의 사용량을 절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1,4,11,12].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는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가 갖고 있지 못한 고강도, 수밀성, 내구성, 내약품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 등이 매우 우수하여[1-4] 바닥재, 포장재, 방수재, 보수재, 방식재 및 프리캐스트 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1,2,8,16,17] 시멘트 콘크리트에 비하여 가격이 훨씬 비싸고 폴리머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내열성이나 내화성에 약한 단점[1,18]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기능성 재료로서의 보급에 한계성이 있다[10,18].
시멘트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특징은?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concrete polymer composite, CPC)는1950년대에 연구가 시작되어 1970년대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토목, 건축 및 화학공업분야에 실용화된 고기능성 재료이다[1-5].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는 시멘트 콘크리트와 다르게 결합재로 시멘트와 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1,5] 폴리머를 결합재로 사용하여 만든 재료로 Resin concrete라고 부르기도 하며, 시멘트 콘크리트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가 매우 우수하나(3-5배 높음) 동일한 부피당 생산원가가 훨씬 비싸기(8-10배) 때문에[1,6] 생산원가를 낮추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6,7]. 폴리머 콘크리트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폴리머 결합재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8-10] 경제성과 가격 면에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6,1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 W. Fowler, Polymers in concrete: a vision for the 21st century, Cem. Concr. Compos., 21, 449-452 (1999). 

  2. Y. Ohama, Recent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of concrete-polymer composites in Japan, Proceedings of the 12th Congress on Polymers in Concrete, September 27-28, Chuncheon, Korea (2007). 

  3. R. Griffiths and A. Ball, An assessment of the properties and degradation behaviour of glass-fibre-reinforced polyester polymer concrete, Compos. Sci. Technol., 60, 2747-2753 (2000). 

  4. M. Haidar, E. Ghorbel, and H. Toutanji, Optimization of the formulation of micro-polymer concretes, Constr. Build. Mater., 25, 1632-1644 (2011). 

  5. L. Czarnecki, A. Garbacz, and J. Kurach, On the characterization of polymer concrete fracture surface, Cem. Concr. Compos., 23, 399-409 (2001). 

  6. J. T. San-Jose, I. J. Vegas, and M. Frias, Mechanical expectations of a high performance concrete based on a polymer binder and reinforced with non-metallic rebars, Constr. Build. Mater., 22, 2031-2041 (2008). 

  7. E. H. Hwang, J. M. Kim, and J. H. Yeon, Characteristics of polyester polymer concrete using spherical aggregates from industrial by-products, J. Appl. Polym. Sci., 129, 2905-2912 (2013). 

  8. J. M. L. Reis, Fracture assessment of polymer concrete in chemical degradation solutions, Constr. Build. Mater., 24, 1708-1712 (2010). 

  9. S. W. Son and J. H. Yeon, Mechanical properties of acrylic polymer concrete containing methacrylic acid as an additive, Constr. Build. Mater., 37, 669-679 (2012). 

  10. J. P. Gorninski, D. C. Dal Molin, and C. S. Kazmierczak, Strength degradation of polymer concrete in acidic environments, Cem. Concr. Compos., 29, 637-645 (2007). 

  11. J. P. Gorninski, D. C. Dal Molin, and C. S. Kazmierczak, Comparative assessment of isophtalic and orthophtalic polyester polymer concrete: Different costs, similar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Constr. Build. Mater., 21, 546-555 (2007). 

  12. J. P. Gorninski, D. C. Dal Molin, and C. S. Kazmierczak, Study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polymer concrete compounds and comparative assessment of polymer concrete and portland cement concrete, Cem. Concr. Res., 34, 2091-2095 (2004). 

  13. E. H. Hwang and J. M. Kim, Characteristics of concrete polymer composite using atomizing reduction steel slag (I) (Use of PMMA as a shrinkage reducing agent), Appl. Chem. Eng., 25, 181-187 (2014). 

  14. E. H. Hwang and J. M. Kim, Characteristics of concrete polymer composite using atomizing reduction steel slag as an aggregate (II) (Use of polystyrene as a shrinkage reducing agent), Appl. Chem. Eng., 25, 380-385 (2014). 

  15. E. H. Hwang and J. M. Kim, Characteristics of polyester polymer concrete using spherical aggregates from industrial by-products (II) (Use of fly ash and atomizing reduction steel slag), Korean Chem. Eng. Res., 53(3), 364-371 (2015). 

  16. H. S. Kim, K. Y. Park, and D. G. Lee, A study on the epoxy resin concrete for the ultra-precision machine tool bed, J. Mater. Process. Technol., 48, 649-655 (1995). 

  17. Sezan Orak, Investigation of vibration damping on polymer concrete with polyester resin, Cem. Conc. Res., 30, 171-174 (2000). 

  18. B. W. Jo, S. K. Park, and D. K. Kim,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MMT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and polymer concrete, Const. Build. Mater., 22, 14-20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