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잔류응력의 영향을 고려한 조립 H-형강 부재의 좌굴하중 및 설계압축강도 평가
Evaluation of Buckling Load and Specified Compression Strength of Welded Built-up H-section Compression Members with Residual Stresses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9 no.1, 2017년, pp.81 - 88  

이수권 (동양미래대학교, 건축학과) ,  양재근 (인하대학교, 건축공학과) ,  강지석 (인하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강구조물의 보-기둥 접합부 혹은 변단면 부재로 구성된 PEB 구조시스템에 적용되는 접합부의 한 형태이다.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접합부를 구성하는 단부판의 두께, 고장력볼트의 게이지 거리, 고장력볼트 축부의 직경, 고장력볼트의 개수 등의 영향으로 상이한 거동특성을 나타낸다.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미국 및 유럽 등지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강구조물의 기둥-보 접합부에 적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널리 적용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는 확장단부판 접합부에 대한 설계강도식 제안, 접합부상세 제안, 내진성능 평가, 제작 및 시공지침서 개발 등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비보강 확장단부판 접합부의 국내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께 12mm의 비보강 확장단부판에 대한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및 실험을 수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idual stress is defined as stress that already exists on a structural member from the effects of welding and plastic deformation before the application of loading. Due to such residual stress, welded H-section compression members under centroidal compression load can undergo buckling and failu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기둥 부재 길이 변화에 따른 용접 조립 H-형강 압축부재의 좌굴하중 및 설계압축강도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용접에 의한 잔류응력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용접된 부재는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잔류응력이 발생합니까? 용접된 부재는 용접 시에 입열에 의하여 팽창하였다가 냉각 시에 수축하는 과정을 통하여 잔류응력이 발생한다. 잔류응력의 분포는 일반적으로 용접순서, 용접패스의 수 등에 의해서는 큰 영향을 받으나 용접전압, 용접속도, 예열온도, 예열부위 등에 의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용접부에 발생하는 잔류응력의 방향성에 따른 크기적 차이는 무엇입니까? 용접부에 발생하는 잔류응력은 용접부와 평행한 길이방향 및 용접부에 수직한 폭 방향에 따라서 정량적인 크기 차이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용접부에 수직한 폭 방향에 발생한 잔류응력은 용접부에 평행한 길이방향에 발생하는 잔류응력의 30% 값에 해당한다. 또한, 용접부 두께 방향으로 발생하는 잔류응력은 포물선 형태로 중앙부가 최대가 된다[2].
확장단부판 접합부란 무엇입니까?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강구조물의 보-기둥 접합부 혹은 변단면 부재로 구성된 PEB 구조시스템에 적용되는 접합부의 한 형태이다. 확장단부판 접합부는 접합부를 구성하는 단부판의 두께, 고장력볼트의 게이지 거리, 고장력볼트 축부의 직경, 고장력볼트의 개수 등의 영향으로 상이한 거동특성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방희선, 오종인(2007)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하이브리드용접부의 열 및 용접잔류응력 해석, 대한용접학회지, 대한용접학회, 제25권, 제6호 , pp.565-570. Bang, H.S. and Oh, C.I. (2007) Analysis of Thermal and Welding Residual Stress for Hybrid Welded Joint by finite Element Method, Journal of Korean Welding and Joining Society, KWJS, Vol.25, No.6, pp.565-570. 

  2. 김상식, 윤성기(2016) 강구조설계 3판, 문운당. Kim, S.S. and Yoon, S.K. (2016) Design of Steel Structures 3rd Edition, Munundang. 

  3. 김경식, 박헌용(2013) 수평재 및 사재로 보강된 조립기둥 시스템의 압축강도 평가,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33권, 제6호, pp. 2169-2179. Kim, K.S. and Park, H.Y. (2013) Evalu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of Assembled Column System Reinforced with Cross-Arms and Stayed Stru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ESE, Vol. 33, Issue 6, pp.2169-2179. 

  4. Franssen, J.M., Schleich, J.B., Cajot, L.G., and Azpiazu, W. (1996) A Simple Model for the Fire Resistance of Axially Loaded Members -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Elsevier, Vol.37, No.3, pp.175-204. 

  5. 윤종휘, 이치형, 윤성기(2016) 중심축 하중을 받는 고온상태 강재기둥의 압축강도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8권, 제4호, pp.253-261. Yoon, J.H., Lee, C.H., and Yoon, S.K. (2016) A Study on Compressive Strength of Centrally-Loaded Steel Columns at Elevated Temperatur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8, No.4, pp.253-261. 

  6. 용접강도연구위원회(2005)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Arc용접부의 온도 분포 예측 표준화, 대한용접학회지, 대한용접학회, 제23권, 제6호, pp.497-503. Commission of Design, Analyses and Structural Strength of Welded Structures (2005), Standardization for Temperature Distribution Prediction of the Arc Weld using FEA, Journal of Korean Welding and Joining Society, KWJC, Vol.23, No.6, pp.497-503. 

  7. Messler, Jr. and Rober, W. (2007) Principles of Welding: Processes, Physics, Chemistry, and Metallurgy. 

  8. 양재근, 강지석(2016) 중심압축 하중을 받는 용접 조립된 Built-up H-형강 압축부재의 잔류응력 평가, 한국강구조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pp.37-38. Yang, J.G. and Kang, J.S. (2016), Evaluation of Residual Stress of Welded Built-up H-section Compression Members Under Concentrically Compressed Axial Loads, Proceedings of Annual Academic or Technical Conferences of KSSC, pp.37-38. 

  9. 박호상, 서상정(2010), 국부좌굴과 뒤틀림좌굴이 발생하는 종방향 보강재로 보강된 강판의 압축강도,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제22권, 제3호, pp.219-228. Park, H.S. and Seo, S.J.(2010) The Compressive Strength of Longitudinally Stiffened Plates Undergoing Local and Distortional Buck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2, No.3, pp.219-228. 

  10. Salmon, C.G., Johnson, J.E., and Malhas, F.A. (2009) Steel Structures: Design and Behavior (5th Edition), Pearson Education , p.2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