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aging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data control activities in enterprise wide is important to secure management of data governance. However, research on data governance is limited to concept definitions and components, and data governance research on evaluation models is lacking. In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데이터 거버넌스의 관리 및 운영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의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거버넌스에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정량적인 평가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정량평가모델 개발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 거버넌스 속성지표를 평가영역으로 확장하고 평가지표로 구체화한 이후에 평가 메트릭스를 개발하였다
  • 선행연구 분석결과 데이터 거버넌스의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가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평가 산식이 포함된 평가 메트릭스 개발을 수행하고 그 개발방법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데이터 거버넌스를 도입하여 관리되는 기업에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체계의 전반적인 데이터 거버넌스 진단을 위해 원인분석과 개선사항 도출하는데 활용되는 정량평가모델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개발방법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속성지표를 기반으로 평가항목,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측정 항목, 측정 산식, 측정 항목별 척도 등이 포함된 평가메트릭스를 정의한다.
  • 본 연구는 데이터 거버넌스의 31개의 속성지표[1]를 평가영역과 평가지표로 세분화하여 수준평가를 위한 평가 메트릭스를 개발하였으며, 그 정량화모델링 과정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데이터 거버넌스의 속성지표 개발 연구[1]에서 도출된 속성지표를 활용하여 정량적인 평가모델을 도출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정량적 측정모델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델파이 기법과 KJ기법을 활용하여 전문가 검증을 통해 정량적 평가모델을 개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데이터 거버넌스의 정량평가 모델개발방법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평가영역과 평가지표로 확장하고 오류를 정제하고 구조화하는 단계에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였다. 이 연구는 조직에서 운영되고 있는 데이터 거버넌스의 수준을 점수로 환산하여 인지를 용이하게 하였으며,관리활동이 활발한 영역과 보완이 필요한 영역을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을 기업 및 기관에서 활용하면 데이터 거버넌스의 정량적 점수를 홍보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동일한 업종이나 경쟁조직의 밴치마킹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터 거버넌스의 정의는 무엇인가? 이러한 다양한 관점과 시대적 요건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거버넌스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데이터 거버넌스를 “데이터의 전반적인 활동을 관리하고 통제하기 위해 고품질 데이터의 확보를 통하여 데이터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가치창출에 기여하는 전반적인 활동”으로 정립하였다[2].
기존 데이터 품질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데이터의 시장이 급부상하고 정부의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의 추진에 따라 기업과 기관은 데이터 활용 서비스 개발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기존에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데이터 아키텍처 측면의 모델링 도구와 데이터 표준관리를 위한메타 시스템을 도입하고, 조직의 중요한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마스터 데이터 관리를 수행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성능을 위해서 데이터를 포함한 전반적인 인프라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KJ기법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KJ기법은 창안자인 가와기타 지로(Kawakita jiro)의 영문 머리글자 약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의견을 통합하거나 분류하여 새로운 대안을 찾아내는 기법이다. 이 기법은 참가자들이 문제 대상을 종이카드에 작성하고 유사항목을 통합하고 최종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1단계는 대상 목록을 정의하고 2단계는 대상 목록을 종이카드에 기록한다. 3단계에서는 종이카드를 기준으로 전문가들이 의견을 교류하면서 유사한 카드를 그룹핑 한다. 4단계는 그룹에 명칭을 정의하고 5단계에서는 그룹간의 친화도를 도식화하고 결과를 정립하는 단계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장경애, 김우제, "데이터 거버넌스 평가속성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2. 장경애, 김우제, "Data Governance 구성요소 개발과 중요도 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제41권, 제3호(2016), pp.45-58. 

  3. 장경애, 김우제, "데이터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의 구성요소 개발 및 상세화", 한국정보기술학회, 제14권, 제9호(2016), pp.549-560. 

  4. 카와기타 지로, 신현중, 김욱, (정보화 시대의)발상법, 세경멀티뱅크, 1998. 

  5.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데이터베이스 백서, (2014), pp.190-222. 

  6.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14년 DB산업 분석 결과보고서", (2014), pp.1-11. 

  7. 한국정보화진흥원, "공공정보 품질관리 매뉴얼", 2012. 

  8.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2015년 개정판)", (2015), pp.210-212. 

  9.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데이터관리 품질 점검사항 : DQC-M", 2010. 

  10.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데이터 품질 점검사항 : DQC-V", 2010. 

  11.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데이터베이스 보안 점검사항 : DQC-S", 2010. 

  12. 행정안전부, "범정부 성과참조모형 2.0", (2009), pp.34-52. 

  13. DAMA, "The DAMA Guide to the Data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2009. 

  14. Dalkey, N.C., The Delphi method :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Rand Corporation Memorandum RM-5888-PR, 1969. 

  15. IBM, "The IBM Data Governance Council Maturity Model : Building a roadmap for effective data governance," 2007. 

  16. ISO/IEC, "ISO/IEC 25010 : Systems and software engineering-Systems and software Qual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SQuaRE)-System and software quality models," 2010. 

  17. ISO/IEC, "ISO/IEC 25020 : Software engineering-Software product qual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SQuaRE)-Measurement reference model and guide," 2006. 

  18. ISO/IEC, "ISO/IEC 25030 : Software engineering-Software product Qual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SQuaRE)-Quality requirements," 2007. 

  19. ISO/IEC, "ISO/IEC 25040 : Software engineering-Software product Qual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SQuaRE)-Evaluation reference model and guide," 2009. 

  20. ISO/IEC, "ISO/IEC 25023 : Systems and software engineering-Systems and software Qual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SQuaRE), Measurement of system and software product quality," 2014. 

  21. ISO/IEC, "ISO/IEC 25022 : Systems and software engineering-Systems and software Qual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SQuaRE)- Measurement of quality in use," 2012. 

  22. ISO/IEC, "ISO/IEC 25024 : Systems and software engineering-Systems and software Qual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SQuaRE)-Measurement of data quality," 2014. 

  23. Kristin, W., O. Boris, and O. Hubert, "One size does not fit all : best practices for data governance," ACM Journal of Data and Information Quality, Vol.1, No.1(2009). 

  24. Laudon, K.C. and P. Jan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2/E : Managing the Digital Firm P. 260," Pearson Education Asia, 2002. 

  25. Otto, B., "Data Governance," Business and Information Systems Engineering, Vol.3, No.4 (2011), pp.241-244. 

  26. Rowe, G. and G. Wright, "Expert opinions in forecasting : The role of the Delphi technique in J. Armstrong(Ed.) Principles of Forecasting", Boston : Kluwer Academic, (2001), pp.125-144. 

  27. SAS institute Inc., "The SAS Data Governance Framework : A Blueprint for Success," 2014. 

  28. Thomas, G., The DGI Data Governance Framework : The Data Governance Institute, Orlando, FL, USA,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