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염 전달함수 및 DMD 기법을 이용한 모형 가스터빈의 연소불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Combustion Instability in a Model Gas Turbine Adopting Flame Transfer Function and Dynamic Mode Decomposition 원문보기

한국연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bustion, v.22 no.2, 2017년, pp.1 - 8  

손진우 (세종대학교 기계공학과) ,  손채훈 (세종대학교 기계공학과) ,  윤지수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  윤영빈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combustion instability of a gas turbine combustor, the DMD technique was applied. The mode frequency results for each fuel composition were compared with FFT(Fast Fourier Transform) results. The damping coefficient, which is a quantitative parameter for combustion instability, was 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측정된 불안정 주파수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반복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실험조건 별로 11~13번의 반복실험을 수행하여 불안정 주파수를 결정하였다
  • 그 다음, 연소 응답 특성 중 하나인 화염전달함수를 도출하기 위해 OH-PLIF 이미지를 획득하여 열방출율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Nd-YAG laser(Continuum, Surelite-I), dye laser(Continuum, ND-6000), ICCD camera(Princeton Instruments, PI-MAX2) 등이 사용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소실의 연료 조성에 따른 연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 조건을 Table 1과 같이 설정하였다. 그리고 연소불안정이 가장 크게 나타난 실험 조건에서 화염전달함수를 도출하여 연소 응답 특성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Dynamic mode decomposition(DMD) 기법을 이용하여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연료 조성에 따른 연소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FFT 해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해석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화염전달함수를 도출하기 위해, 연소실의 OH 자발광 섭동 정보를 추출 하였다.
  • 또한 각 주파수에 대응하는 섭동값(q' 또는 p' 등)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이 기법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 적용, 화염전달함수(FTF)를 도출하였다.
  • 이렇게 정립된 기법을 기반으로 다양한 해석 결과에 대한 음향학적 모드 및 주파수,그리고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쉽게 주파수에 대응하는 섭동값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이 기법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 적용, 연료 조성에 따른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하였고, 화염전달함수(FTF)를 도출하기 위한 섭동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DMD 기법의 실험 적용 과정을 Fig.
  • 다양한 연료 조성에 따른 연소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FFT 해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해석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화염전달함수를 도출하기 위해, 연소실의 OH 자발광 섭동 정보를 추출 하였다. 이 섭동 정보를 이용하여 화염전달함수를 도출하였고, 가진 주파수에 따른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먼저, 연료 조성에 따른 실험을 위해 총 5개의 실험 조건에서 연료 조성을 수소와 메탄의 비율을 25~75%까지 변화를 주었다. 당량비는 0.
  • 모형 가스터빈에 대한 연소해석을 위해, GE7EA 연소기를 1/3 스케일로 축소한 노즐에 맞춰 장치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가스터빈 연소기 및 분사기에 대한 개략도를 Fig.
  • 본 연구에서 적용한 DMD 기법은 다양한 해석 또는 실험 결과에 대한 음향학적 모드 및 주파수, 그리고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각 주파수에 대응하는 섭동값(q' 또는 p' 등)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이 기법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 적용, 화염전달함수(FTF)를 도출하였다.
  • 먼저, 연료 조성에 따른 실험 결과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수소, 메탄 분율에 따른 압력신호를 기반으로 FFT 분석을 수행하였다.
  • 각 연료조성에 따른 모드 주파수 결과를 FFT 결과와 비교분석 하였고, 각 실험조건에서 불안정성이 가장 많이 나타난 1000 Hz 대역에서의 차이는 약 6%로 나타났다. 연료의 조성변화에 따라 연소불안정성 평가 인자인 감쇠인자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실험조건 2가 가장 불안정한 조건으로 나왔으며, 실험조건 1과 5는 안정한 조건으로 나타났다.
  • 연소기의 응답특성인 화염전달 함수를 파악하기 위한 연료가진 장치는 일정 간격으로 구멍이 난 디스크의 회전으로 유로의 면적을 변경시키는 siren 방식을 사용하였다. 가진 주파수는 50 Hz~1000 Hz의 범위를 갖고 있으며, input fluctuation은 평균 속도의 최대 10%로 제한하였다.
  • 연소실의 음향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후단에 이동 가능한 플러그 노즐을 장착하였으며, 연소실 길이를 1110 mm~1410 mm까지 변경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화염 가시화를 위하여 석영유리관(quartztube)을 설치하였고, 압력 및 온도 계측을 위한 11개의 압력센서와 4개의 열전대를 설치하였다.
  • 위 실험 결과를 토대로 DMD 기법을 적용하여 유해주파수 및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감쇠계수를 도출하였다.
  • 또한 화염전달함수를 도출하기 위해, 연소실의 OH 자발광 섭동 정보를 추출 하였다. 이 섭동 정보를 이용하여 화염전달함수를 도출하였고, 가진 주파수에 따른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음의 값을 갖는 감쇠계수는 공진모드가 진폭을 감쇠시킴을 의미하고, 반면에 양의 값을 갖는 감쇠계수는 공진 모드가 진폭을 증가시키며, 이것을 연소불안정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이렇게 정립된 기법을 기반으로 다양한 해석 결과에 대한 음향학적 모드 및 주파수,그리고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쉽게 주파수에 대응하는 섭동값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이 기법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 적용, 연료 조성에 따른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하였고, 화염전달함수(FTF)를 도출하기 위한 섭동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 단, 앞에서와 달리 분모에서의 주파수는 100 Hz이나 분자에서의 주파수는 각 공진주파수가 된다. 즉, 100 Hz의 속도 섭동 가진에 의해 유발되는 공진주파수로 섭동하는 열방출율 구하여 그 열방출율과 속도섭동의 비를 구한 것이다.
  • 측정된 불안정 주파수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반복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실험조건 별로 11~13번의 반복실험을 수행하여 불안정 주파수를 결정하였다.
  • 연소실의 음향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후단에 이동 가능한 플러그 노즐을 장착하였으며, 연소실 길이를 1110 mm~1410 mm까지 변경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화염 가시화를 위하여 석영유리관(quartztube)을 설치하였고, 압력 및 온도 계측을 위한 11개의 압력센서와 4개의 열전대를 설치하였다.
  • 화염전달함수(FTF)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DMD 기법을 이용하여 이득과 위상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100 Hz에서 이득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상 데이터

  • 그 다음, 연소 응답 특성 중 하나인 화염전달함수를 도출하기 위해 OH-PLIF 이미지를 획득하여 열방출율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Nd-YAG laser(Continuum, Surelite-I), dye laser(Continuum, ND-6000), ICCD camera(Princeton Instruments, PI-MAX2) 등이 사용되었다. 이미지는 12,500 fps 및 512X256의 해상도로 촬영되었다.
  • 이를 위해 Nd-YAG laser(Continuum, Surelite-I), dye laser(Continuum, ND-6000), ICCD camera(Princeton Instruments, PI-MAX2) 등이 사용되었다. 이미지는 12,500 fps 및 512X256의 해상도로 촬영되었다.

데이터처리

  • 위 실험 결과를 토대로 DMD 기법을 적용하여 유해주파수 및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감쇠계수를 도출하였다. 각 실험 조건에 대한 감쇠계수를 Fig.

이론/모형

  •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DMD 기법을 적용하였다. 각 연료조성에 따른 모드 주파수 결과를 FFT 결과와 비교분석 하였고, 각 실험조건에서 불안정성이 가장 많이 나타난 1000 Hz 대역에서의 차이는 약 6%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Dynamic mode decomposition(DMD) 기법을 이용하여 연소불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연료 조성에 따른 연소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FFT 해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해석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dynamic mode decomposition(DMD) 기법을 이용하여 OH-PLIF 기법으로 촬영한 OH의 radical intensity 이미지를 열방출 섭동값인 q’으로 추출하였다.
  • 연소 불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가스터빈의 열음향 해석을 위하여 화염전달함수(Flame transfer function, FTF)를 적용하였다. 화염전달 함수는 연소실 내부의 속도섭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방출섭동의 동적 특성을 주파수 영역에서 표현한 방법이다[3,6].
  • 열발생율의 섭동항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n-τ 모델을 이용하여 화염전달함수를 아래와 같이 표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FT 기법이란?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FFT)이다. FFT 기법은 하나의 점(monitor point)에서 주어진 시간에 대해 저장된 압력 신호를 주파수에 대해 처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연소실 전체에 대한 해석이나 측정된 주파수와 관련된 음향 모드의 해석에는 한계가 있다.
전달함수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 하나가 외부 유동 섭동으로부터 화염의 열방출 사이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전달함수를 이용한 방법이다. 전달함수는 선형 열음향해석 모델인 화염전달함수(flame transfer function, FTF), 비선형 해석 모델인 화염묘사함수(flame describing function, FDF)로 나뉜다. 이 방법을 이용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7-9].
FFT 기법의 한계점은? FFT 기법은 하나의 점(monitor point)에서 주어진 시간에 대해 저장된 압력 신호를 주파수에 대해 처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연소실 전체에 대한 해석이나 측정된 주파수와 관련된 음향 모드의 해석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Dynamic mode decomposition(DMD)이 제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L. Timothy, Investigation of combustion instability mechanisms in premixed gas turbines, Ph.D. thesis,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1999) 1-52. 

  2. J.S. Yoon, M.K. Kim, M.C. Lee and Y.B Yoon, Combustion Instability Flame Structure Characteristics in Model Gas Turbine using the Chemiluminescence Measurement, The 43th KOSCO Symposium, 2011, 159-163. 

  3. D.S Kim, Introduction to Thermoacoustic Models for Combustion Instability Prediction Using Flame Transfer Function, J. of KSPE, 15(6), (2011) 98-106. 

  4. T. Poinsot, "Predic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instabilities in real engines," Proc. Combust. Inst., 2016, 1-28. 

  5. A. Urbano, Q, Douasbin, L, Selle, G. Staffelbach, B. Cuenot, T. Schmitt, S. Candel, Study of flame response to transverse acoustic modes from the LES of a 42-injector rocket engine. Proc. Combust. Inst., (2016), 2633-2639. 

  6. J.A. Kim, M.G. Yoon, D.S. Kim, Combustion stability analysis using feedback transfer function, J. Korean Soc. Combust., 21(3) (2016) 24-31. 

  7. J.S. Yoon, S.P, Joo, J.J. Kim, M.C. Lee, J.G. Lee, Y.B. Yoon, Effects of convection time on the high harmonic combustion instability in a partially premixed combustor, Proc. Combust. Inst., 36(3) (2017) 3753-3761. 

  8. G. Campa, C. Roberto, Influence of Nonlinear Flame Models on Thermoacoustic Instabilities in Combustion Chambers, ASME Turbo Expo 2016: Turbomachinery Technical Conference and Exposition. ASME, 2016, V04AT04A055. 

  9. S. Candel, D. Durox, T. Schuller, P. Palies, J.F Bourgouin, J.P. Moeck, Progress and challenges in swirling flame dynamics. Comptes. rendus. mecanique., 340 (2012) 758-768. 

  10. K.K. Chen, J.H. Tu, C.W. Rowley, Variants of dynamic mode decomposition: connections between Koopman and Fourirer analyses, J. Nonlinear Sci., 22(6) (2012) 887-915. 

  11. P.J. Schmid, Dynamic mode decomposition of numerical and experimental data, J. of Fluid Mech., 656 (2010) 5-28. 

  12. G. Golub, W. Kahan, Calculating the singular values and pseudo-inverse of a matrix. J. SIAM Numer. Anal., (1965), 205-244. 

  13. C.H. Sohn, I.S. Park, S.K. Kim, H.J. Kim, Acoustic tuning of gas-liquid scheme injectors for acoustic damping in a combustion chamber of a liquid rocket engine, J. of Sound and Vib., 304(3) (2007), 793-810. 

  14. K. Liu, V. Sanderson, The influence of changes in fuel calorific value to combustion performance for Siemens SGT-300 dry low emission combustion system, Fuel, 103 (2013) 239-246. 

  15. J.S Yoon, M.C. Lee, S.P. Joo, J.J. Kim, Y.B. Yoon, Experimental Study on Combustion Instability Mode Shifting Phenomenon at Various Fuel Composition in the Model Gas Turbine Combustor, KSAS symposium, 2013, 256-259. 

  16. J.S. Yoon, S.P, Joo, J.J. Kim, Y.B. Yoon, Change in combustion instability mode characteristics during the $H_2/CH_4$ composition variation in model gas turbine combustor, KSAS symposium, 2014, 225-2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