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PCR을 이용한 축산물 가공식품 내 소고기 성분 검출법 개발
Development of a Method to Detect Cattle Material from Processed Meat Products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9 no.2, 2017년, pp.135 - 140  

권영철 (진주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하도윤 (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  허윤위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약리.독성학교실) ,  김태규 (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  최유정 (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  조대훈 (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  남상윤 (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  손병국 (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  황보원 (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  양병선 (진주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김의경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약리.독성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한 축산물 가공식품 내에 존재하는 소고기 성분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축산물 가공식품 78종류를 무작위로 선별하였다. 가공식품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를 이용하여 소의 미토콘드리아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strain-specific primer를 직접 제작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한 후, 증폭된 반응산물의 염기서열을 분석 하였다. 축산물 가공식품 내 소고기 성분 검출을 위한 중합효소연쇄반응 수행 결과, 소고기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17개의 축산물 가공식품이 정확히 증폭되었고, 증폭산물의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소의 미토콘드리아 16S rRNA 서열과 95%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축산물 가공식품 내 소고기 성분검출을 적용하였을 시, 소고기 성분이 함유된 축산물 가공식품을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식품 원재료의 허위기재 등에 의한 불량식품 유통 근절 및 종교적 이유로 인한 금기 식품감별 등과 같은 과학적 식품 감시에 기여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used to detect cattle material from processed meat products. Seventy-eight different commercial processed meat products were purchased from several big food marts. Among them, 17 products contained cattle material (10 samples contained only cattle, 5 samples mixe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축산물 식육 원재료에서 genomic DNA를 추출하여 PCR로 식육 원재료를 판별하는 방법과는 다르게, 다양한 식품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는 축산물 가공식품으로부터 직접 genomic DNA를 추출하고 소고기 성분만을 검출할 수 있는 특이적인 primer를 제작한 후 축산물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소고기 성분을 검출 할 수 있는 PCR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축산물 가공식품으로부터 소고기 성분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PCR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방법으로 PCR 반응을 수행하면 축산물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소고기 성분의 함유 유무를 정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식품 원료의 허위 기재로 인한 소비자 건강보호 및 종교에 의한 금지 식품 조사 등에 대한 과학적 식품 감시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는 어떤 특징을 보유하고 있어 품종의 유전적 유연관계 및 유전적 차이를 구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가?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보다 더 정확하고 감도가 뛰어난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PCR)법을 이용한 유전자 수준에서 검사하는 진단법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6]. 특히,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는 염기치환율이 유전체 DNA 보다 빠르고, 상이한 DNA 분자 사이에 유전자 조환이 발생하지 않는 모성유전을 하며[7] 종간 및 동종 내에 염기치환에 의한 많은 돌연변이를 보유하고 있어[8,9] 품종의 기원, 품종의 유전적 유연관계 및 유전적 차이를 구명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로 이용되어 왔다[10-13]. 이런 이유로 축산물 가공식품으로부터 특정 식육 원재료 물질의 혼합 유무를 조사하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 DNA를 표적으로 하는 PCR법이 개발되어 왔다.
식육 원재료 감별법 중 면역혈청침강반응, 미량겔 확산법 그리고 한천겔 확산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축산물 가공식품으로부터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으로 채택된 식육 원재료 감별법은 glycogen 검사법,지방검사법 및 자비법이 있으나 감별기준이 모호하거나 검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결정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면역혈청침강반응, 미량겔 확산법 그리고 한천겔 확산법이 있으나 다른 종의 단백질과 교차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단점이 있다[5].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보다 더 정확하고 감도가 뛰어난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PCR)법을 이용한 유전자 수준에서 검사하는 진단법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6].
축산물 가공식품은 어떤 이유 때문에 안정성 및 신뢰성의 문제가 발생하는가? 우리나라에서의 축산물 소비는 고도 경제 성장 및 서구화된 식생활의 변화 등에 축산물 가공식품 위주로 폭발적으로 증가해 왔다[1]. 그러나 축산물 가공식품은 식육 원재료를 직접 보고 구매하는 것과 다르게 가공과정에서 그 식육 원재료를 눈으로 확인 할 수 없기에 안정성 및 신뢰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2]. 이로 인해 최근 값싼 식품원료를 사용하거나 식품의 원재료명을 허위로 기재한 가짜 식품의 제조 및 유통으로 인하여 식품의 안정성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으며[3], 종교적 이유, 알러지 물질과 같은 건강에 대한 우려 등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an SH. Special Report-Meat Product. Food Engineering Progress. 1990;103-125. 

  2. Hsieh HM, Tsai CC, Tsai LC, Chiang HL, Huang NE, Shih RTP, et al. Species identification of meat products using cytochrome b gene. Forensic Science Journal. 2005;4(1):29-36. 

  3. Park YC, Ahn CY, Jin SO, Lim JY, Kim KH, Lee JH, et al. Identification of raw materials in processed meat products by PCR using species-specific primer. J Food Hyg Saf. 2012;27(1):68-73. 

  4. Ballin NZ. Authentication of meat and meat products. Meat Science. 2010;86(3):577-587. 

  5. Heo EJ, Ko EK, Seo KH, Kim YJ, Park HJ, Wee SH, et al. Validation of PCR and ELISA test kits for identification of domestic animal species in raw meat and meat products in Korea. J Food Hyg Saf. 2014;29(2):158-163. 

  6. Yang BS. Detection of extended-spectrum ${\beta}$ -lactamase 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by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Korean J Clin Lab Sci. 2006;38(3):173-178. 

  7. Brown WM. Polymorphism in mitochondrial DNA of human as revealed by restriction endonuclease analysis. Proc Natl Acad Sci USA. 1980;77(6):3605-3609. 

  8. Brown WM, Prager EM, Wang A, Wilson AC. Mitochondrial DNA sequences of primates: tempo and mode of evolution. J Mol Biol. 1982;18(4):225-239. 

  9. Lansman RA, Avise JC, Aquadro CF, Shapira JF, Daniel SW. Extensive genetic variation in mitochondria DNA'S among geographic population of the deer mouse. Peromyscus maniculatus. Evolution. 1983;37(1):1-16. 

  10. Amano T, Miyakoshi Y, Tokada T, Kikkawa T, Suzuki M. Genetic variants of ribosomal DNA and mitochondrial DNA between swamp and river buffaloes. Anim Genet. 1994;25(1):29-36. 

  11. Kikkawa, Y, Amano T, Suzuki H.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of domestic cattle in East and Southeast Asia in terms of variations in restriction sites and sequences of mitochondrial DNA. Biochem Genet. 1995;33(1):51-60. 

  12. Mannen H, Kojima T, Oyama K, Mukai F, Ishida T, Tsuji S. Effect of mitochondrial DNA variation on carcass traits of Japanese black cattle. J Anim Sci. 1998;76(1):36-41. 

  13. Mannen H, Tsuji S, Loftus RT, Bradley DG. Mitochondrial DNA variation and evolution of Japanese black cattle (Bos taurus). Genetics. 1998;150(3):1169-1175. 

  14. Soichi T, Makiko H, Takeo Y, Masahiko S, Tatsuya F, Hiroshi A. A real-time quantitative PCR detection method for pork, chicken, beef, mutton, and horeseflesh in foods.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7;71(12):3131-3135. 

  15. Hong Y, Kim MJ, Yang SM, Yoo IS, Kim HY. Development of duplex PCR method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and cat (Felis catus) meats. J Appl Biol Chem. 2015;58(4):383-387. 

  16. Koh BRD, Kim JY, Na HM, Park SD, Kim YH. Development of species-specific multiplex PCR assays of mitochondrial 12S rRNA and 16S rRNA for the identification of animal species. Korean J Vet Serv. 2011;34(4):417-428. 

  17. Bartlett JMS, Stirling D. PCR Protocols. 2nd ed. New York: Humana; 2003. p89-99. 

  18. Lahiff S, Glennon M, O'Brien L, Lyng J, Smith T, Maher M, et al. Species-specific PCR for the identification of ovine, porcine and chicken species in meat and bone meal (MBM). Mol Cell probes. 2001;15(1):27-3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