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형 코칭이 감성지능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현장실험연구
A Field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Coaching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6, 2017년, pp.245 - 253  

조성진 (중부대학교 교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감성지능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현장실험연구를 통해 밝히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충남 소재 4년제 대학교에서 코칭 교과목을 수강하면서 코칭을 받은 대학생 39명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 39명, 총78명이며, 분석도구는 감성지능 검사와 커뮤니케이션 역량 검사이다. 연구대상자들에게 9주 동안 코칭 교육을 하고 이어서 4주간 총4회의 코칭을 진행한 후, 대조군과 실험군의 코칭 전후의 감성지능과 커뮤니케이션 역량 측정치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코칭을 진행한 후에 실험군의 감성지능과 커뮤니케이션 역량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코칭이 사람들의 감성지능 수준 향상과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이 되는 유효한 도구라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코칭이 영향을 미치는 결과변수를 추가로 발견함으로써 코칭 연구의 진일보에 기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field experimental study investigated the positive effects of coaching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experimental group(39 university students) had to two months of coaching education and four face-to-face coaching sessions. The control group(39 un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시 말하면, 연구대상자들에게 일정 기간 동안 사전 코칭 교육에 이어 전문코치의 코칭을 병행하여 진행한 후, 그것이 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감성지능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측정치 변화 관찰을 통해 객관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코칭의 효과를 증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대상자인 대학생에게 코칭 교육과 코칭을 진행한 후, 코칭이 감성지능과 커뮤니 케이션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면 다음 과 같다.
  • 선행연구에 따르면,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다양한 측면 에서 이해되고 있지만[28], 본 연구에서는 경영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상과 결과에 주목하고자 한다.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직무만족[29,30], 조직몰입[31,32], 이직의도[33]에 영향을 미쳤고, 자기주도학습과 조직학습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34]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런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 유사실험연구(quasi-experimental field study)를 통해 코칭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연구대상자들에게 일정 기간 동안 사전 코칭 교육에 이어 전문코치의 코칭을 병행하여 진행한 후, 그것이 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감성지능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측정치 변화 관찰을 통해 객관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코칭의 효과를 증명하고자 한다.
  • 다시 말하면, 연구대상자들에게 일정 기간 동안 사전 코칭 교육에 이어 전문코치의 코칭을 병행하여 진행한 후, 그것이 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감성지능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측정치 변화 관찰을 통해 객관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코칭의 효과를 증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선행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코칭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새롭게 발견함으로써 코칭 연구의 진일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성지능이란? 물론 감성경영이 주요 관심사로 등장한 이후, 기업들은 구성원들의 감성 역량을 증대시키는 데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간단히 말하면, 감성지능은 자기 감성 인식, 타인 감성 인식, 자기 감성 조절 및 자기 감성 활용 능력의 총합을 말한다[15].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감성지능은 직무성과[15], 직 무만족[16], 조직몰입[17,18], 조직시민행동[19], 혁신 행 동과 충성심[20], 사기[21], 공정성[22] 등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즉, 커뮤니케이션이란 사람들이 집단이나 조직을 이 루어 활동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써 정보의 소통, 감정 표출, 구성원들을 조정·통합·동기부여·조직혁 신 촉진 등의 역할을 하는 활동이다[27].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커뮤니케이션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극복하고, 메시지의 발신자와 수신자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적극 노 력해야 한다는 점인데[26], 이것은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역량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개인이나 조직 구성원이 최 소한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갖추지 않으면 원만한 사회 생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관련 교육이나 훈련을 받을 필 요가 있다.
코칭은 어떤 측면에서 상담, 컨설팅 등과 다른가? 코칭은 여러 측면에서 상담, 컨설팅, 멘토링 및 훈련과 다르다. 참가자에 대한 인식, 참가자와 전문가의 관계, 전 문가의 개입 정도, 임파워먼트(empowerment) 정도, 문 제 해결 주체 및 고객의 리더십에 대한 관심 정도에서 다 른 기법과 많은 차이점이 있다. 특히 코칭은 상담과 많은 점에 비슷하지만, 문제 해결 주체에 대한 인식과 해결 방 식, 임파워먼트와 고객의 리더십 향상에 대한 관점 등에 서 상담과 아주 다르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n Standard Occupation Classification, 2012. 

  2. W. J. G. Evers, A. Brouwers, & W. Tomic, "A Quasi- experimental Study on Management Coaching Effectiven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1), pp. 69-83, 2006. 

  3. S. J. Joh, & K. C. Song, "A Field Experimental on the Effects of Coaching on Self-Efficac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Family Relations",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19(2), pp. 201-252, 2011. 

  4. S. J. Joh, "An Experimental Field Study on the Effect of Coaching for College Students 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and Family Relations",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16(1), pp. 87-96, 2014. 

  5. H. Y. Kim,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Healthy Families: Application of the Team Performance Coaching Model for Enhancing Minimum Team Performance and Its Evalua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6), pp. 637-647, 2013. 

  6. J. K. Tak, & E. H. Cho,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Coaching Leadership Scale and the Effect of the Coaching Leadership on the Organizational Attitude",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4(1), pp. 127-155, 2011. 

  7. J. W. Lee, & G. S. Ha, "Coaching leadership's influences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 Telemarketing fiel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7), pp. 97-110, 2013. 

  8. E. J. Lee, & J. K. Tak, "The effectiveness coaching program for improving team leaders' leadership competency: Focused on Coaching Leadership competency and Positive Leadership Competency",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7(2), pp. 63-92, 2015. 

  9. S. J. Joh, "A Qualitative Research of the Effects and Paths of Coaching on Awareness and Behavior Associated with Career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17(4), pp. 205-215, 2015. 

  10. C. H. Im, & J. Y. Sim, "A Study on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EEG by Brain Areas through GROW Technique of Coaching",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18(3), pp. 75-85, 2016. 

  11. S. J. Joh, "An Exploratory Study about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on Coaching Researches",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15(3), pp. 247-259, 2013. 

  12. S. J. Joh, Career Design and Coaching Leadership, Paju: Jungminsa, 2015. 

  13. S. J. Joh, & K. C. Song, "Development of Coaching Program for Coaching Effect Research",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3(1), pp. 27-74, 2010. 

  14. S. B. Kim, S. Y. Park, & W. B. Na, "Exploratory Research on the Effect of Coaching of Sales Manager on the Role Perception and Sales Performance of Salesma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4(4), pp. 159-176, 2009. 

  15. D. Goleman, R. Boyatzis, & A. McKee, "The emotional reality of teams", Journal of Organizational Excellence, 21(2), pp. 55-65, 2002. 

  16. E. S. Lee, "The Effect of Hotel Internship Trainees'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17(1), pp. 161-182, 2015. 

  17. M. H. Kang, B. H. Kim, M. J. Kim, & H. J. Lim, "Investigating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Loyalty", Journal of Korean HRD Research, 6(3), pp. 75-93, 2011. 

  18. T. C. Han, & J. K. Lim, "The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f Police Chief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5(1), pp. 253-275, 2011. 

  19. H. W. Jung, & C. H.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oder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LMX)",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4(3), pp. 167-186, 2007. 

  20. C. Cherniss, "Emotional intelligence: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New Orleans, LA, 2000. 

  21. I. Nikolaou, & I. Tsaousis,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Workplace: Exploring its Effects on Occupational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Organizational Analysis, 19(4), pp. 327-342, 2002. 

  22. C. S. Wong, & S. L. Law,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 pp. 243-274, 2002. 

  23. S. J. Joh, "The Effects of Coaching on Self-efficac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Public Official and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se Domains",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4(2), pp. 47-66, 2013. 

  24. I. S. Yang, S. H. Lee, & D. R. Lee, "A Study on the Effects of Coaching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ediating Role of Subordinates'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2(5), pp. 49-72, 2015. 

  25. S. K. Lee,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f the Nurses",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1(1), pp. 65-85, 2008. 

  26. Y. K. Shin, & C. W. Lee, Organizational Behavior, pp. 277-278, Seoul: Hankyungsa, 2014. 

  27. J. Y. Kim, K. C. Song, B. K. Chung, & S. E. Park, Organizational Behavior(3rd ed.), p. 298, Seoul: Kyungmunsa, 2014. 

  28. Y. R. Ha, "A Study on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to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7(1), pp. 81-101, 2002. 

  29. K. H. Song, & G. Ahn, "The Effect of Employe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Psychotherapy, 5(2), pp. 117-129, 2013. 

  30. A. K. Lee, J. Y. Yeo, S. W. Jung, & S. S. Byun, "Relation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The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13(12), pp. 299-308, 2013. 

  31. A. R. Gwon, & S. J. Han,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6), pp. 1009-1017, 2015. 

  32. H. S. Lee, & J. K. Kim,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6(4), pp. 488-496, 2010. 

  33. S. H. Kim, & M. A. Le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3), pp. 332-341, 2014. 

  34. J. H. Lee, & C. Lee, "The Relationship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Organizational of College Graduates with Early Careers in Large Corporation: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5(5), pp. 97-126, 2016. 

  35. S. J. Joh, "The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Life on University Students through Coaching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0(3), pp. 107-137, 2016. 

  36. G. H. Hu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6), pp. 380-408, 20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