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합창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유사언어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어 합창 딕션을 중심으로-
A Study on use of Para-languages affecting Choral Communication -focused on diction of Korean choral music-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6, 2017년, pp.299 - 309  

김형일 (극동대학교 미디어홍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합창에 영향을 미치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가운데 가사의 의미 형성에 핵심적인 요소인 유사 언어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커뮤니케이션에서 유사언어는 언어가 가진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비언어적 요소로, 합창에서는 가사의 발성과 딕션이 대표적인 유사언어이다. 그런데 그동안은 합창의 음악적 표현을 강조하면서 발성을 중시한 나머지 딕션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함으로써 합창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가사의 의미가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합창에서 발성은 딕션과 별개의 것이 아니라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음악적인 차원에서뿐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도 완성도가 높은 합창연주가 가능하다. 이 연구는 합창 지휘자로서의 활동 경험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토대로 한국어 합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딕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aimed at finding an effective use of para-languages, which are important to communicate the meaning of the korean choral music. Para-language is a nonverbal communic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livery of a more expressive language. In choral music, vocalization and diction are impo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크먼(Ekman)은 비언어적 요소가 어떤 기능을 한다고 주장하는가? 비언어적 요소들은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많은 효과를 발생시킨다. 일찍이 에크먼(Ekman)은 언어와 비언어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비언어적 요소는 언어적 메시지를 반복, 불일치, 보완, 대체, 강조/절제 또는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고 했다[14]. 실제로 커뮤니케이션 주체들이 상호작용 관리, 표현력, 타인지향성, 긴장완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눈맞춤, 속도, 유창함, 목소리의 신뢰감, 발음, 자세, 질문, 고개의 끄덕임, 몸의 기울임, 적절한 유머, 목소리 크기와 다양성, 제스처, 얼굴 표정, 타인지향적 말하기 등과 같은 구체적인 테크닉을 통해 발현된다[15].
음악이란? 음악(music)은 인간이 자신의 감정이나 사상을 예술 적으로 표현하고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는 커뮤 니케이션 활동의 하나이다. 물론 음악을 단순히 자신 내부의 감정적 에너지를 표출하는 개인적 예술 행위로 볼수도 있지만 의도적으로 음악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들려줌으로써 다른 사람의 공감을 얻고자 하는 경우는 분명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구두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은? 이처럼 가사가 담긴 음악을 연주하는 것은 말로 이루 어지는 구두 커뮤니케이션(verbal communication)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다. 구두로 커뮤니케이션할 때는 그에 수반되는 다양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nonverbal communication) 요소들이 결합하여 언어의 의미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준다[6]. 이러한 비언어적 요소는 시각적 요소와 청각적 요소로 구분되지만, 음악의 경우 기본적으로 “소리(sound)를 재료로 해서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 하는 청각예술”[1]이라는 점에서 청각적 요소가 특히 많은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E. K. Min, H. S. Shin & J. H. Jeon, Understanding of Western Music, Yesol, 2009 

  2. R. A. Kendall & E. C. Carterette., "The communication of musical expression", Music Perception, 8, pp.129-164, 1990 

  3. P. N. Juslin, "Five facets of musical expression: A psychologist's perspective on music performance", Psychology of Music, 31(3), pp.273-302, 2003 

  4. J. Marvin, "Mastery of choral ensemble", in Webb, G. B. (ed.), Up Front! Becoming the complete choral conductor, Boston, MA: Schirmer Music Company, pp.137-172, 1993 

  5. E. K. Kim, An effective method of deliver words in the performance of choru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 thesis, 1999 

  6. M. L. Knapp & J. A. Hall, Nonverbal Communication in Human Interaction(6th ed.). Thomson Wadsworth. 2006 

  7. D. J Shin, S. K. Lee & Y. Y. You, "Research on the Effects of a Consultant's Nonverbal Communications on a Client's Evalu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3), pp.167-178, 2015 

  8. H. I., Kim, "An exploratory study for conceptualizing a communication model in choral music",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7), pp. 412-422, 2015 

  9. R. Robinson & A. Winold, The Choral Experience. IL: Waveland press, 1992 

  10. S. H. Jo, Research on diction training methods: the effective way of delivering Korean lyrics through chorus, Choong-ang University, MA thesis, 2004 

  11. S. J. Kim, Research on Diction and Vocal training for Chorus, Choong-ang University, MA thesis, 2007 

  12. L. A. Samovar, R. E. Poter & N. C. Jain, Understand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adsworth Publishing Co., 1981 

  13. C. H. Dodd, Dynamics of Interculture Communication,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1982 

  14. P. Ekman, "Communication through Nonverbal Behavior: A Source of Information about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 S. Tomkins & C. E. Izzards(eds.), Affect, Cognition and Personality, New York: Spring Publishing Co., 1965 

  15. B. H. Spitzberg & & H. T. Hurt, "The measurement of interpersonal skills in instructional context", Communication Education, 36, pp.28-45, 1987 

  16. G. M. Goldhaber,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A: W. C. Brown Publishers, 1983 

  17. J. C. McCroskey & V. P. Richmond, Fundamentals of human communication: An interpersonal perspective, IL: Waveland, 1996 

  18. B. K. Cha, Speech, Gihaksa, 1995 

  19. T. S. Im, Speech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ooks, 2010 

  20. W. Apple, L. A. Streeter & R. M. Krauss, "Effects of pitch and sppech rate on personal attribu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pp.715-727, 1979 

  21. K. R. Scherer, "Voice and speech correlates of perceived social influence in simulated juries", in H. Giles & R. N. St Clair(Eds.).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Oxford: Blackwell, 1979 

  22. A. Mehrabian & M. Williams, "Nonverbal Concomitant of Perceived and Intended Persuasiv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3, pp.37-58, 1969 

  23. M. Argyle, Bodily Communication(2nd ed.). London & New York: Methuen & Co., 1988 

  24. C. D. Lee, Life and Speech, Pjbooks, 2000 

  25. D. Y. Lee, "Verbal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creation", Korean elementary language education, 20, pp.32-34, 2001 

  26. D. J. Grout & C. V. Palisca, A History of Western Music(4nd ed.). Sekwang publication, 1996 

  27. S. I. Kim, Western music history, Taerim, 1990 

  28. M. A. Kim, Western church music, Samho publication, 1990 

  29. Y. K. Kim, Music & English. Deulkotnuri, 2006 

  30. J. S. Hong & H. S. Oh, Music aesthehics, Music world, 1990 

  31. I. K. Jeong & A. R. Loh, "Communication Process of Classic Music Performance", Communication Theory, 6(2), pp.48-81, 2010 

  32. D. Kim, Choral music education, Kye-myeong Univ., 2003 

  33. J. P. Hong, A Concise Guide to Choral excellence, Joongang-art, 2005 

  34. Y. S. Kim, "Diction education(1)", Church music Journal, 2003 

  35. D. H. Lee, Choral conducting, DJ Music Publishing, 2007 

  36. J. C. Hong, For Choral Conductor, Yesol Publishing, 2008 

  37. D. S. Kim, Voice & Vocal, Idam Books, 2013 

  38. D. Neuen, Choral concepts, Wadworth, 2002 

  39.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Korean Grammar for Foreigner(1), Communication Books, 2005 

  40. P. Brandvik, "Choral Sound", in Webb, G. B. (ed.), Up Front! Becoming the complete choral conductor, Boston, MA: Schirmer Music Company, pp.205-258, 1993 

  41. M. H. Shin, "The Effect of Convergence for Pronunciation and Listening Activities on Listening Ability and Learning Interes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3), pp.71-75,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